배너 닫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맨위로

내란 지지 및 선동은 국가보안법 위반이 될 수도, 징역 7년

#윤석열 #내란 #국가보안법 #표현의자유 #기본권 #헌법 #법적판단 #법치주의 #민주주의 #안보 #사회질서 #법적쟁점 #선전선동 #의견표출 #국가안전 #법적분석

등록일 2024년12월30일 07시39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김민기 국회사무처장이 계엄군의 우원식 의장 관저 출동 장면을 보여주며 제2차 계엄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사진 - 국회사무처

 

내란을 지지하는 행위가 국가보안법 위반에 해당될 수도 있다. 

 

해당 행위가 국가보안법에서 정한 "반국가단체의 활동 찬양·고무·선전 또는 이에 동조하거나 국가 변란을 선전·선동"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즉 윤석열에 대해 내란죄가 확정된다면 내란을 동조하고 내란을 선전하고 내란죄를 옹호한 자들은 국가보안법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국가보안법 제7조 1항에 따르면, "국가의 존립·안전 또는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위태롭게 한다는 점을 알면서 반국가단체나 그 구성원의 활동을 찬양·고무·선전 또는 이에 동조하거나 국가 변란을 선전·선동한 자"는 7년 이하의 징역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내란 동조죄, 내란 선동죄보보다 죗값이 무겁다. 내란 지지 및 선동 행위가 이 조항에 해당하려면 행위의 목적, 행위의 내용, 그리고 구체적 결과라는 세 가지 요소가 충족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행위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위태롭게 할 의도가 있었는지, 내란과 관련된 선전·선동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국가의 안전을 실제로 위협하거나 사회질서의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해야 한다.

 

만약 내란 지지 행위가 단순한 표현의 자유를 넘어 내란을 실제로 선동하거나 지지하여 실행 가능성을 높이는 행위로 평가된다면,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국가보안법 적용은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국가보안법 제1조 2항은 법 적용의 한계를 명시하며, 기본권 보호를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단순한 의견 표출에 그친 내란 지지 행위는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보기 어렵지만, 선전·선동 수준에 이르러 내란을 조장하거나 실행 가능성을 높인다면 위법으로 판단될 여지가 있다.

본 기사는 유료기사로 기사의 일부만 제공됩니다.
- 결제 즉시 유료 기사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디지털 콘텐츠 특성상 환불되지 않습니다. (단, 미사용시 환불 요청 가능)
- 결제한 내역은 마이페이지 결제내역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환불 및 변경 문의와 관련해서는 메인페이지 하단 [이용약관 및 고객지원]을 통해
더 자세한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정기회원권은 회원가입 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 정기회원권은 마이페이지 또는 사이트 우측 상단 이용권결제를 이용해주세요.
박성훈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내란국조특위 보고서 채택되었지만 내란의힘 85명은 반대
[+영상] 한덕수 "계엄 잘못된 일" 기재부 "국회 마비 시도!"에 고개 끄덕
내란 종료 시점이 중요한 이유 [에디터 칼럼]
‘도량발호(跳梁跋扈)’- 윤석열과 국힘에 꼭 맞는 올해의 한자성어
[내란국정조사-Log] 내란 관련자 정성우의 장군 진급 말이 되나?
정의를 조롱한 12.3 내란사태와 영화 피고인(1988) [에디터 칼럼]
가톨릭 사제단에 살해 협박 메일 보낸 윤석열 지지자
윤석열 측의 내란선동죄와 이석기의 내란선동죄 [에디터 칼럼]
[Special Report] 내란을 정당화하거나 부추기는 발언은 내란선동죄
[이병철의 시사직격] 공소장 보니 윤석열은 사형이 합당
[이병철의 시사직격] 윤석열 퇴진, 오늘 역사의 물꼬를 트다!

가장 많이 본 뉴스

뉴스 인물 교육 시리즈 짘놀

포토뉴스 더보기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