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맨위로

[+영상] '내란선전선동죄, 이보다 명확한 설명은 없다' - 정청래의 사이다 해설

#정청래 #법사위 #내란현재진행형 #헌법11조 #헌법84조 #형사불소추권 #내란선전선동죄 #체포영장 #국가기관권능 #내란진압 #법치주의 #공수처수사 #국정안정 #헌법조화 #내란죄

등록일 2025년01월13일 14시44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정청래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은 13일 국회에서 열린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천대엽 법원행정처장과 김석우 법무부 차관에게 내란이 끝난 게 아니라 내란은 현재 진행형인 이유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해 관심을 모았다. 

 

그는 내란 선전선동죄를 설명하기 위해 헌법 11조와 84조의 조화로운 해석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그는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다고 규정된 헌법 11조와 대통령에게 형사 불소추권을 인정하는 헌법 84조가 충돌하지 않도록 제대로 해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헌법 84조가 대통령의 특수한 지위를 규정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대통령의 형사 불소추권은 국가 원수로서의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예외적 조치일 뿐, 내란죄나 외환죄와 같은 중대 범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설명한 뒤 "내란 행위는 형사 불소추권의 예외로 명확히 규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대통령 수사가 진행 중이고 법원이 체포영장을 발부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도둑을 목격한 사람이 이를 외치자 오히려 외친 자가 시끄럽다고 처벌하고 도둑은 방치하는 것은 논리에 맞지 않는다"며 '내란 피해자'를 옹호하는 게 아닌 "내란 피의자나 공범을 옹호하는 것은 도둑을 옹호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비유를 들어 설명했다.

 

정 위원장은 "내란 행위를 옹호하거나 선동하는 것은 형법에 따라 처벌 대상인데 법무부 차관과 국민의힘은 내란이 이미 끝났다고 하는데 현재 상황은 법적으로도 내란 상태가 끝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정 위원장은 내란죄의 정의를 상기시키며 "헌법과 법률에 의하지 않고 국가 기관의 권능을 무력화하는 행위가 내란"이라며 "공수처와 경찰이 헌법기관인 법원에서 발부한 체포영장을 집행하려는 것을 무력으로 저지하려는 시도는 내란 상태가 지금도 이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내란 진압이 곧 국정 안정을 위한 최우선 과제"라며 "국가기관은 헌법과 법률이 정한 권한을 흔들림 없이 행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본 기사는 유료기사로 기사의 일부만 제공됩니다.
- 결제 즉시 유료 기사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디지털 콘텐츠 특성상 환불되지 않습니다. (단, 미사용시 환불 요청 가능)
- 결제한 내역은 마이페이지 결제내역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환불 및 변경 문의와 관련해서는 메인페이지 하단 [이용약관 및 고객지원]을 통해
더 자세한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정기회원권은 회원가입 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 정기회원권은 마이페이지 또는 사이트 우측 상단 이용권결제를 이용해주세요.
@현장에서 박병기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가장 많이 본 뉴스

뉴스 인물 교육 시리즈 짘놀

포토뉴스 더보기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