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원내대책회의에서 현 과도정부에 미국과의 협상을 서둘지 말라고 경고하고 있는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사진 - NjTelegraph Park Chan-dae, floor leader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warns the current interim administration not to rush negoti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during a party strategy meeting at the National Assembly on the 22nd. Photo – NjTelegraph
2025년 4월22일. 박찬대 “한미 통상 협상, 국익 우선·결정은 차기 정부로 넘겨야”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2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제37차 원내대책회의 모두발언에서 오는 24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고위급 통상 협상을 겨냥해 “어떠한 최종 결론도 지금 정부가 내리지 말아야 한다”며 협상 권한을 차기 정부에 넘길 것을 촉구했다.
이번 협상에는 최상목 경제부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참석해 스캇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와 회담할 예정이다. 의제는 조율 중이나 관세와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 문제 등이 논의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은 대선 유세 당시부터 한국을 '머니 머신(Money Machine)'이라 부르며, 한국이 방위비 분담금으로 100억 달러를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또한,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은 동맹국에 대한 방위비 증액 압박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한 새로운 지침을 내부적으로 공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내에서는 현재의 과도 정부가 방위비 분담 문제 등 중대한 결정을 내리지 않고 44일 후에 출범하는 차기 정부에 이양해야 한다는 여론이 들끓고 있다. 심지어 정부 편에 서 있는 국민의힘 대선 후보인 나경원 의원마저도 “협상 타결을 서두르다가는 최대한 양보를 얻어내려는 미국의 압박 속에서 ‘졸속 합의’의 길로 들어설 수 있다. 한미 간 협상은 대부분 국회 비준 동의나 국민적 공감대가 필요한 사안들이다. 특히 수십조 원의 투자가 필요한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사업은 경제성과 장기적 에너지 전략을 종합 검토해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 필요한 것은 속도가 아니다. 안보·통상 협상 유예 기간을 더 늘려 우리에게 유리한 협상을 끌고 오는 것이다.”라고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다.
나 의원은 “범정부 실무선에서는 치밀하게 준비하고 협상에 임하되, 최종적인 담판과 결정은 우리 국익에 가장 유리한 타이밍에 해야 한다. 우선 협상자라고 하지만, 자칫 섣부르게 대응했다가는 좋지 않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다른 국가와의 협상과 한미 양국의 정세를 면밀히 살피며 윈윈 카드를 적극 활용하고, 경제와 안보 이슈를 분리하는 등 실리적 접근으로 시간을 벌며 국익을 극대화할 전략을 짜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의 박 원내대표도 “정부 협상단은 국익을 최우선 기준으로 삼고, 줏대 있게 협상에 임해야 한다”며 “국민과 민주당은 이번 협상이 차기 정부의 권한으로 남겨지길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최근 한덕수 국무총리와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간의 통화 내용을 언급하며 “우리가 가진 협상 카드를 이미 모두 노출해 버린 것이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트럼프는 통화 직후 관세와 방위비를 묶어 ‘원스톱 쇼핑(one-stop shopping)’이라며 재협상을 압박하고 있다”며, “이는 한덕수 총리의 경솔하고 무책임한 태도로 인해 대한민국이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경고”라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국익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정부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며, “협상 결과는 향후 출범할 새 정부가 결정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박 원내대표는 이날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혐의 재판과 관련된 발언도 이어갔다. 그는 “윤석열 피고인이 카메라를 향해 웃는 모습은 반성과 책임 의식이 결여된 것”이라며, “헌정 질서를 파괴한 내란 사태를 끝내기 위해서는 압도적 정권 교체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 원내대표는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12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두고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이 되기엔 턱없이 부족하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박 원내대표는 “내수 침체와 소비 위축 극복을 위해선 대규모 추경이 필요하다고 여러 차례 요구해왔고, 대형 산불과 미국과의 통상 분쟁 등 새로운 변수까지 고려하면 정부안은 너무 작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정부 추경안 가운데 통상 및 재난 대응 분야에 7조 6천억 원이 배정된 반면, 민생 지원 분야는 4조 3천억 원에 그쳐 전체의 3분의 1 수준이다.
특히 그는 “정부가 재해 재난 예비비 외에도 일반 예비비 4천억 원을 슬그머니 끼워 넣었다”며, 기획재정부의 태도에 대해 “국민 세금을 가지고 꼼수를 부리고 있다”고 강도 높게 질타했다. 이어 “지난 3년간 이런 운영이 민생과 경제를 망가뜨렸다”고 언급하며, 최상목 경제부총리를 겨냥해 “경제 폭망의 책임자”라고 비판했다.
Korean Opposition Leader Urges Caution on U.S. Trade Talks, Calls for Delay Until New Government Takes Office
By BK Park, April 22, 2025
Seoul ― South Korean opposition floor leader Park Chan-dae urged the current administration not to finalize any agreements in the upcoming high-level trade talks with the United States, stressing the need to prioritize national interest and defer key decisions to the incoming government set to take office in 44 days.
Speaking at a party policy meeting at the National Assembly on Monday, Park, a senior member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called on Seoul to avoid concluding negotiations prematurely ahead of the April 24(KST) talks in Washington, D.C. Finance Minister Choi Sang-mok (최상목) and Industry Minister Ahn Duk-geun are expected to meet with U.S. Treasury Secretary Scott Besent and U.S. Trade Representative Jamison Greer, with tariffs and defense cost-sharing among the main agenda items.
Public sentiment in South Korea is largely opposed to the interim government making long-term decisions, particularly regarding defense contributions. Even Na Kyung-won, the ruling People Power Party’s presidential candidate, echoed calls for caution. She warned that rushing negotiations under pressure from the U.S. could result in a lopsided agreement, referencing the extensive investments tied to projects like the Alaska LNG deal, which she said must be carefully evaluated in terms of national strategy.
Rep. Na emphasized that while working-level talks should proceed with thorough preparation, final decisions must align with optimal timing for Korea's interests. She advocated a pragmatic, issue-separating approach that would allow South Korea to secure more favorable outcomes while buying time in the negotiation process.
Rep. Park criticized Prime Minister Han Duck-soo’s recent phone call with former U.S. President Donald Trump, arguing that the administration had effectively exposed its negotiating position. Following the call, Trump described the defense and tariff discussions as a "one-stop shopping" deal, signaling an aggressive stance on renegotiation.
Citing the call, Rep. Park accused Han of jeopardizing South Korea’s negotiating leverage and potentially causing significant national losses through reckless diplomacy. He reiterated that any deal from the Washington talks should be left to the incoming administration to conclude.
On the same day, Park commented on former President Yoon Suk-yeol’s trial for alleged insurrection, denouncing his demeanor in court and calling for a decisive regime change to restore constitutional order.
Additionally, Park criticized the government’s supplementary budget proposal of 12 trillion won ($8.57 billion), labeling it insufficient for addressing domestic economic challenges. He pointed out that while 7.6 trillion won ($5.43 billion) was allocated to trade and disaster response, only 4.3 trillion won ($3.07 billion) was dedicated to livelihood support—less than a third of the total. He also condemned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for discreetly adding 400 billion won ($286 million) in general reserves, accusing it of fiscal trickery.
In a pointed remark aimed at Finance Minister Choi, Park blamed him for the economic downturn of the past three years, calling him a symbol of policy failure.
#ParkChandae #USKoreaTrade #NaKyungwon #DonaldTrump #YoonTrial
2025년 4월10일. "이완규 헌재 재판관 지명은 제2의 친위 쿠데타"
더불어민주당은 10일 국회 본청에서 열린 제37차 정책조정회의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 본격화된 조기대선 정국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박찬대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번 조기대선을 “헌정 수호와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역사적 분기점”이라고 규정하며 국민의힘과 윤석열 전 대통령을 강하게 비판했다.
박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이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해 어떠한 징계 조치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내란 세력이 다시는 발붙이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대선을 “상식과 정의 대 몰상식과 불의의 대결”로 규정하며, 더불어민주당이 6월 3일 대선에서 승리해 “국가 정상화”를 이뤄내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박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이 이번 대선 후보를 낼 자격이 없다며, 내란 사태의 책임 정당이 후보를 낸다면 국민의 심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그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지목된 한덕수 국무총리가 최근 헌법재판소 재판관으로 이완규 변호사를 지명한 데 대해 강한 반발을 나타냈다.
그는 한 총리의 지명 권한에 대해 “헌법상 대통령만이 헌법재판관을 지명할 수 있다”는 헌법재판소와 국회 입법조사처, 학계의 견해를 언급하며, 이번 지명을 “위헌·위법한 권한 남용”이라고 규정했다. 또한 한 총리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지시로 헌재를 장악하려 한다며 이를 “제2의 친위 쿠데타”로 표현했다.
이완규 변호사에 대해서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개인적·정치적 연루를 지적하며, 검찰총장 시절 변호인, 대선 캠프 법률자문, 장모 사건 변호 등을 맡았던 대표적인 친윤 인사라고 밝혔다. 박 원내대표는 이 변호사가 12.3 사태 당시 주요 관계자들과의 회동, 휴대전화 교체 등 행위로 내란 방조 혐의도 받고 있다며, 헌재 재판관 지명은 “헌법 파괴 행위”라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헌법재판관 지명 철회를 요구하며, 한덕수 총리에게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박 원내대표는 “한 총리가 대통령직을 노리고 있다면 그 꿈은 헛된 망상”이라며, 헌법을 파괴하는 자가 다시 국민의 선택을 받으리라 믿는 것은 착각이라고 비판했다. 끝으로 그는 한 총리를 “120년 전 을사오적”에 비유하며, 역사의 죄인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조기대선정국
#윤석열파면
#헌재지명논란
#민주당입장
#헌정수호
2025년 4월7일. "국힘은 대선 후보 낼 자격 없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4월 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과 관련해 “국민의힘은 대통령 보궐선거에 후보를 낼 자격이 없다”며 강도 높은 비판을 이어갔다.
박 원내대표는 “이번 대통령 보궐선거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행위로 인해 발생한 것”이라며, “국회예산정책처 추계에 따르면 이로 인한 선거 비용만 4,949억여 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어 “국민의힘이 최소한의 염치가 있다면 후보를 내지 말아야 한다”며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했다.
그는 “국민의힘은 윤석열을 내란 수괴로 만든 주역이자 비호자였고, 파면 이후에도 출당 등 최소한의 조치조차 하지 않았다”며, “누가 보더라도 명백한 내란 동조 정당”이라고 규정했다. 박 원내대표는 특히 “21대 국회에서 재보궐 선거 책임 법안을 8건이나 발의했는데, 그 중 7건은 국민의힘이 낸 법안”이라며, “스스로 낸 법안의 정신을 따르라”고 강조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대선 당시 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박 원내대표는 “허위사실 공표, 불법 여론조작, 공천 개입 등으로 이미 당선무효형에 해당할 정황과 증거가 넘친다”며, “기소하지 않는다면 검찰은 정치적 편파 수사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윤 전 대통령이 당선무효형을 받을 경우, 국민의힘이 당시 수령한 397억 원의 보조금도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를 향해서는 “헌법 수호, 내란 진압, 공정한 대선 관리를 위한 책임을 다하라”며, 대통령기록관장에 윤석열 정부 인사를 임명하려는 움직임을 두고 “내란 관련 증거 인멸 시도”라는 의혹까지 제기했다. 또한 “내란 재판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관련 기록물은 전면 공개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박 원내대표는 “새 정부 출범 전까지 고위공직자 인사와 공공기관 인사를 전면 동결해야 한다”며, “부당한 채용과 낙하산 인사에 대해서는 끝까지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박찬대 #대통령보궐선거 #내란책임 #국민의힘 #윤석열파면
2025년 4월4일. 박찬대 “윤석열 파면은 국민의 승리…내란 잔불까지 완전히 꺼야”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4일 오후 국회 본청 246호에서 열린 제75차 비상의원총회 모두발언에서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결정을 “국민이 일군 민주주의의 승리”라고 평가하며, 내란 사태의 책임자들에 대한 단호한 조치를 촉구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윤 전 대통령이 국회를 군사력으로 침탈한 지 123일째 되는 날, 헌재가 만장일치로 파면을 결정했다”며 “이는 국민 주권과 헌정 질서를 수호한 정의로운 판단”이라고 밝혔다. 그는 헌재 재판관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며, 이번 판결이 대한민국이 민주공화국임을 다시 증명한 계기였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지난 겨울부터 봄까지 거리를 지킨 시민들의 목소리를 언급하며 “헌법 제1조를 몸소 증명한 국민의 헌신에 깊은 존경과 감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윤 전 대통령이 파면 결정 후에도 반성이나 사과 없이 침묵하고 있다며, 헌법 파괴와 내란 행위에 따른 책임은 반드시 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국민의힘에 대해 “윤석열을 비호하고 내란에 동조한 책임이 크다”며, 당내 윤 전 대통령 제명과 관련 의원 징계를 촉구했다.
그는 “그것이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라고 밝혔다. 박 원내대표는 헌정질서가 무너졌던 지난 넉 달 동안 민주주의뿐 아니라 경제와 민생 역시 큰 타격을 입었다고 진단하며, “국회가 이제 국민의 헌신에 책임 있게 응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내란의 상처를 치유하고, 남은 불씨까지 완전히 꺼야 할 때”라며 당내 의원들에게 책임 있는 자세를 당부했다. 끝으로 박 원내대표는 “이번 빛의 혁명을 완수하는 것은 민주당의 사명”이라며, 민주주의를 지켜낸 국민의 뜻에 부응해 더 나은 나라를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국회의원 박찬대 재산내역 공개 (2024년 12월31일 기준, 2025년 3월28일 발표)
박찬대 원내대표가 2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2025년 3월21일. 헌법재판소는 왜 거북이 걸음인가?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심우정 검찰총장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 원투 펀치를 날렸다.
박 원내대표는 심우정 총장에 대해 "윤석열 구속 취소를 지휘한 심우정 검찰총장은 윤 대통령 부인 김건희의 오빠 김진우와 휘문고 동창"이라며, 검찰과 윤 대통령 측근 간의 유착 의혹을 거론하며 원펀치, 최상목 부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을 겨냥해 "헌법 수호의 책무를 다할 기회가 주어졌지만 그는 이를 거부했다"며 투펀치를 날렸다.
박 원내대표는 인천검사장이었던 심우정과 김건희 측의 유착관계 등을 두 개의 상설특검법(인천세관 마약 수사외압 의혹 관련 특검법, 김건희 상설특검법)을 통해 파헤칠 것이라고 다짐했다. 그는 이어 "헌법 수호의 책무를 저버린 자는 공직자로서 자격이 없다"며 "최상목 대행은 윤석열이 무너뜨린 헌정 질서를 바로 세워야 할 자리에 있으면서 오히려 내란 종식을 방해하고 국헌 문란 행위를 일삼았다"고 덧붙였다.
박 원내대표는 "최상목 대행은 내란 종식과 국가 정상화의 걸림돌"이라며 "누구든 헌정 질서를 유린하는 자는 처벌받는다는 원칙을 세우는 것이 내란으로 무너진 헌정 질서를 바로 세우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탄핵되면 자리에서 내려오겠다고 한 최상목은) 비겁하게 도망가지 말고 법의 심판을 받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밖에 "헌법재판소가 다음 주 월요일 한덕수 총리 탄핵심판 선고를 하기로 했다"며 "최우선 처리하겠다고 했던 윤석열 선고 일정조차 잡히지 않은 상황에서 한 총리를 먼저 선고하는 것을 납득할 국민이 얼마나 있겠느냐"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윤석열은 잘못을 반성하기는커녕 끝없는 선동으로 헌정 질서를 유린하고 있다"며 "윤석열 파면이 늦어질수록 나라와 국민이 입을 피해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질 게 자명한데, 헌법재판소는 왜 거북이 걸음인지 국민들이 묻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진- 박찬대TV
2025년 3월20일. 헌재 앞 기자회견 "윤석열 파면을 국민은 이미 결정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20일 오후 헌법재판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신속한 파면 선고를 촉구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오늘은 12.3 내란 사태 발생 108일째, 국회가 탄핵소추안을 가결한 지 98일째 되는 날"이라며 "헌법재판소가 탄핵 심판 변론을 종결한 지 24일이 지났음에도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파면 선고 일정이 잡히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윤 대통령보다 늦게 탄핵된 한덕수 총리의 선고가 먼저 진행되는 것을 국민이 납득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12.3 사태 이후 경제적·외교적 피해가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미 국내총생산(GDP) 6조 3천억 원이 증발했고, 생산·소비·투자 심리 모두 최악"이라며 "OECD는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1.5%로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국제사회가 한국을 ‘독재화가 진행되는 나라’, ‘결함 있는 민주주의 국가’로 평가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사회적 혼란과 불안정도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 원내대표는 "내란 잔당의 증거인멸과 보복이 현실화하고 있고, 폭도들의 불특정 다수에 대한 난동과 위협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오늘 아침 헌법재판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하던 더불어민주당 백혜련 의원이 극우 세력의 달걀 투척 공격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그는 "경찰이 이를 목격하고도 방관한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극우 폭도들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엄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 원내대표는 "12.3 내란 사태를 끝내고 대한민국을 정상화하는 첫 번째 조건은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이라며 "12월 3일 밤, 헌정질서와 민주주의를 군홧발로 짓밟은 윤 대통령의 행태를 국민이 목격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윤석열 파면을 국민은 이미 결정했다"며 "헌법재판소가 만장일치 파면 선고를 내리는 것이 당연한 수순"이라고 주장했다.
끝으로 그는 "헌법재판소는 헌법과 민주주의를 수호하는 최후의 보루"라며 "신속하고 단호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국민이 헌법재판소의 역할을 주시하고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경고하며 기자회견을 마쳤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가 삭발식에 참여한 세 의원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 사진-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2025년 3월11일. @삭발식, 박찬대 원내대표 "(삭발의 각오로) 주권자 국민과 함께 하겠다"
11일 오후 1시30분, 국회 본관 계단 앞에서 삭발식이 열렸다.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조기 파면 촉구 삭발식'을 열고 헌법재판소의 조속한 탄핵 심판을 촉구했다. 삭발식에 참여한 세 의원은 박홍배, 김문수, 전진숙 의원이었다.
박홍배 의원은 “지금 국민은 밤잠을 제대로 주무시지 못하고 있다. 3권 분립을 존중해야 할 대통령은 군대를 동원했다. 검찰은 권력자의 시녀로 전락했다. 헌법 질서가 무너지는데 내란수괴는 여전히 법의 심판을 받지 않고 있다. 더는 기다릴 수 없다. 독재자를 가만 둬서는 안 된다. 헌법재판관님, 부디 국민의 뜻을 거스른 권력을 심판해주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김문수 의원은 “윤석열은 불법한 판사와 검찰 총장의 도움으로 ‘탈옥’했다. 대한민국이 혼란에 빠졌다. 국민은 불안해하고 불면증에 시달리고 있다. 헌법재판관은 대한민국이 더는 혼란에 빠지지 않도록 윤석열에 대한 조속한 파면을 선고해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전진숙 의원은 “5.18때 초등학생이었고 광주에 있었기에 계엄이 무엇인지 너무나 잘 안다. 계엄 이후 저는 밥을 제대로 먹을 수 없었고 잠을 제대로 잘 수가 없었다. 수천만 국민이 똑같은 마음일 것이다. 불안을 가중시킨게 윤석열의 석방이었다. 믿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났다. 계엄 선포하고 내란을 책동했던 자를 법원과 검찰이 풀어줬다. 이 분노를 이 화를 어떻게 억누를까. 많은 분들이 저에게 문자를 보내왔다. ‘단식의 단자도 꺼내지 마라. 윤석열을 파면시키는데 힘쓰라‘고 했다. 그래서 단식 대신 삭발에 동참하게 됐다. 국민이 윤석열 파면을 절절히 원한다는 것을 헌법재판관들이 알아주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야5당의 의원들은 윤석열이 파면될 때까지 최선을 다할 것이다. 주권자 국민 앞에서 말씀드린다. 주권자 국민과 함께 하겠다”라고 말했다.
이날 삭발식에는 많은 민주당 의원들이 나와 세 의원을 격려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윤석열을 파면하라”는 구호를 외치고 이 행사를 마쳤다.
2025년 3월09일. 심우정은 사퇴하라!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10일 국회 로텐더홀 계단에서 규탄대회를 갖고 심우정 검찰총장 사퇴와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요구했다.
박 원내대표는 "다른 사람도 아닌 국민을 상대로 총부리를 겨눴던 내란수괴가 버젓이 거리를 활보할 수 있다는 상황을 어떤 국민께서 납득하시겠느냐"며 윤 전 대통령의 즉각적인 파면을 촉구했다.
박 원내대표는 12.3 비상계엄 사태를 거론하며 "평온했던 저녁, 느닷없이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경찰과 군대를 동원해 국회를 통제하는 모습을 온 국민이 생중계로 지켜봤다"며 "비상계엄이 헌법과 법률에서 정하는 요건과 절차를 중대하게 위배했으며, 이는 영구집권을 획책한 친위 쿠데타"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헌정 질서와 민주주의를 파괴한 12.3 비상계엄으로 인해 국가 경제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다"며 "비상계엄으로 GDP 6조 3천억 원이 증발했고, 윤 전 대통령의 구속 취소 소식에 주가는 폭락하고 환율이 치솟았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헌법재판소의 신속한 결정을 촉구했는데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심판 변론이 종결된 지 14일째로, 과거 대통령 탄핵 심판 절차를 고려하면 선고를 내리기에 충분한 시간이 지났다"며 "쟁점이 명확하고 증거가 넘치는 만큼 헌법재판소가 신속하게 선고를 내려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대한민국의 운명이 걸려 있다는 점을 명심해달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박 원내대표는 심우정 검찰총장의 즉각적인 사퇴를 요구했다. 그는 "심 총장은 이번 사태의 가장 큰 책임이 있다"며 "구속 기간 연장을 불허한 법원의 결정에도 불구하고 즉시 기소하지 않고 검사장 회의를 여는 등 시간을 허비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더불어민주당은 심 총장에 대한 즉각적인 고발 조치를 취하고, 스스로 사퇴하지 않을 경우 탄핵을 포함한 모든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경고했다.
이병철 변호사,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 취소 관련 공수처 고발
한편, 법률 전문가인 이병철 변호사는 윤 전 대통령의 구속 취소 및 항고 포기와 관련해 심우정 검찰총장과 지귀연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를 공수처에 고발한다고 밝혔다.
이 변호사는 "형사소송법상 구속기간은 '날'로 산정하도록 명시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권력자에게 유리하게 '시간'으로 적용하여 형사사법 시스템에 대혼란을 야기했다"며 "이는 헌법이 보장하는 법 앞의 평등을 정면으로 위반한 행위"라고 주장했다. 그는 "특수본이 강하게 반발했음에도 불구하고 법원의 잘못된 결정을 바로잡을 수 있는 즉시항고를 포기하고 윤 전 대통령의 석방을 지휘한 심우정 검찰총장을 직권남용 및 직무유기 혐의로 공수처에 고발한다"고 밝혔다.
고발장 접수는 3월 10일 오전 11시 공수처 고객안내센터 앞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고발인은 시민단체 ‘사법정의바로세우기시민행동(사세행)’이며, 피고발인은 지귀연 부장판사와 심우정 검찰총장이다.
이 변호사는 "윤석열 전 대통령 석방 결정으로 인한 국가적 혼란을 바로잡고 헌법 질서를 수호하기 위해 적극적인 이웃들에게 알려주실 것을 부탁한다"고 덧붙였다.
7일 긴급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는 박찬대 원내대표. 사진 -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2025년 3월7일. 윤석열 구속취소 결정에 유감 표명…검찰 즉시 항고 촉구
더불어민주당은 7일 윤석열 피고인의 구속취소 결정을 두고 강한 유감을 표하며, 검찰이 즉시 항고를 통해 국민적 상식에 부합하는 판단이 나오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윤석열이 법률과 헌법을 중대하게 위반한 사실은 변함이 없다"며 "더불어민주당은 내란의 신속한 종결을 위해 모든 조치를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용우 의원은 "이번 구속취소 결정과 관련해 어떠한 헌재의 판단도 없었다"며 "이를 헌재 판단과 결부시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구속적부심 청구 기간을 시간으로 계산한 점과 체포적부심 기간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점이 핵심 쟁점이었으며, 법원이 이 사안에 대해 변호인 측 주장을 모두 수용한 것은 전례 없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박균택 의원은 "사법부의 판단을 존중하지만, 동의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라고 말했다. "과거에는 구속기간을 날짜 단위로 계산해왔으나, 이번 사건에서 처음으로 시간을 기준으로 삼았다"며 "이러한 판단이 윤석열 피의자에게만 적용된 것은 매우 의아한 일"이라고 박 의원은 비판했다.
그는 "즉시 항고를 통해 법원의 판단을 다시 검토받아야 할 사안"이라며 "과거의 관행과도 다르기 때문에 항고심에서 다시 한 번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검찰이 항고를 하지 않을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도 입장을 밝혔다. 박균택 의원은 "검찰이 구속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영장을 청구했고, 법원도 이를 받아들였다"며 "이제 와서 검찰이 입장을 바꾸어 석방해야 한다고 주장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 즉시 항고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석열 피고인의 보석 청구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이 나왔다. 박균택 의원은 "지금까지 여러 차례 보석을 신청해 왔던 만큼, 항고가 받아들여질 경우 이번에도 보석 청구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며 "다만 이는 사법 절차상 별개의 문제이므로 크게 평가하고 싶지는 않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구속취소 결정이 형사 재판에서 내란죄의 실체적 판단과는 무관하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이용우 의원은 "공소제기는 여전히 유효하며, 내란범으로서의 법적 구성요건도 변함이 없다"며 "헌재의 탄핵심판과도 무관한 결정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법원이 변호인 측 주장을 참고한다고 했을 뿐, 피고인의 혐의가 무죄라는 판단을 한 것이 아니다"며 "검찰이 즉시 항고를 통해 사법부의 입장을 다시 한 번 확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민주당은 구속취소 결정과 관련해 검찰의 의도적 시간 계산 착오 가능성을 제기한 일부 의원들의 주장에 대해서는 당의 공식 입장이 아니라고 밝혔다. 박균택 의원은 "검찰의 의도가 어땠는지 단정할 수는 없지만, 즉시 항고를 통해 법적 절차를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내란 피고인 윤석열에 대한 법원의 판단이 유감스럽지만, 이는 내란죄의 성립 여부와는 별개의 문제"라며 "검찰이 즉시 항고해 구속 취소 여부를 다시 한 번 판단받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2025년 2월27일. 박찬대 “명태균 게이트가 12.3 내란 사태의 트리거”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27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야5당과 함께 ‘명태균 특검법’을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박 원내대표는 “명태균과 윤석열·김건희의 여론 조작 및 부정선거 의혹, 김건희의 공천 개입 국정농단 의혹을 밝혀내는 것이 특검의 핵심”이라며 “윤석열 대통령이 이를 덮기 위해 12.3 내란 사태를 일으켰다”고 주장했다.
박 원내대표는 작년 10월 31일 민주당이 윤 대통령의 공천 개입을 입증할 육성을 공개한 사실을 언급하며, “윤석열이 ‘당에서 말이 많네’라고 했던 명태균과의 통화 녹취록이 그 증거”라고 말했다. 이어 11월 4일 창원지검이 명태균과 윤 대통령 부부의 대화를 담은 수사보고서를 작성했고, 11월 7일 윤 대통령이 기자회견을 열어 관계를 부인하며 김건희 특검법이 헌법에 반한다고 주장했다고 설명했다.
민주당 주도로 11월 14일 국회 본회의에서 김건희 특검법이 통과됐으나, 윤 대통령은 11월 26일 거부권을 행사했다. 이후 명태균이 구속되고,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특검법 재의결에 대한 입장을 바꾸면서 윤 대통령이 초조해졌다는 것이 박 원내대표의 주장이다. 그는 “명태균이 구속 전에 한 언론사 기자에게 통화 녹음 파일이 담긴 USB를 건넸고, 김건희 여사가 해당 매체 폐간을 언급할 정도로 격노했다”고 밝혔다. 이어 “12월 2일 명태균이 황금폰 공개를 예고하자 윤석열은 다음 날 비상계엄을 선포했다”며 “명태균 게이트가 12.3 내란 사태의 트리거”라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명태균 특검은 정쟁이 아니라 헌정질서를 바로잡고 민주주의를 회복하기 위한 것”이라며 “윤 대통령 부부가 명태균과 야합해 벌인 범죄의 증거는 충분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이 특검을 반대하는 이유에 대해 “여전히 김건희가 V0이며, 국민의힘이 범죄 옹호 정당이기 때문”이라며 “양심 있는 의원들이 있는지 국민이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윤석열 파면은 민생 회복과 경제 정상화의 길”이라며 “12월 3일 국회로 무장한 채 쳐들어온 장면을 국민은 잊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비상계엄으로 GDP 6조 3천억 원이 날아갔고, 윤석열이 복귀하면 국가가 폭동과 무법천지로 변할 것”이라며 “파면이 나라를 정상화하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끝으로 “국민의힘은 내란을 옹호하고 사법부에 대한 폭동을 선동하는 등 반국가적 행위를 해왔다”며 “권영세 비대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는 즉시 사과하고 헌법재판소 결정에 승복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2025년 2월14일. "김건희, 12.3 내란 연루된 거 아닌가?" - 박찬대 원내대표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12.3 비상계엄 개입 가능성을 제기하며 철저한 조사를 촉구했다.
박 원내대표는 14일 국회 최고위원회의에서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계엄 선포 하루 전 김 여사와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았다는 사실을 인정했다고 밝혔다. 박 원내대표에 따르면, 조 원장은 김 여사로부터 두 건의 문자를 받은 후 다음 날 답장을 보냈으나, 해당 메시지의 내용을 기억하지 못한다고 답변했다.
이에 대해 박 원내대표는 “평소 연락을 주고받는 사이는 아니라고 하면서도 계엄 직전 주고받은 문자의 내용을 기억하지 못한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민간인 신분의 김건희가 국정원장과 연락을 주고받아야 할 이유가 무엇인지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김건희가 경호처의 비화폰을 지급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만큼, 계엄 논의와 실행 과정에 개입했는지 수사해야 한다”며, “12.3 비상계엄이 명태균 게이트를 덮기 위한 조치라면 김 여사가 깊이 연루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박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이 명태균 특검법을 반대하는 것에 대해서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전날 명태균 특검을 “여당을 겨냥한 자객 특검”이라며 반대했다고 언급하며, “불과 일주일 전에는 ‘추진하려면 해보라’고 하더니 갑자기 태도를 바꾼 이유가 궁금하다”고 말했다.
또한, 박 원내대표는 명태균 측 변호사의 발언을 인용하며 “특검을 반대하거나 답변을 회피하는 자들이 명태균 사단”이라는 논리를 강조했다. 그는 “이 논리대로라면 권 원내대표 역시 오세훈 서울시장, 윤상현 의원과 마찬가지로 무언가 숨기고 있는 것이 아니냐”고 지적했다.
그는 과거 국민의힘이 명태균을 ‘사기꾼’이라고 비난했던 점을 언급하며, “그렇다면 오히려 특검을 통해 진실을 밝히고 억울함을 해소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특검을 거부하는 것이 오히려 의혹을 키울 뿐”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박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발표한 35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안을 언급하며 신속한 논의를 촉구했다. 그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권한대행도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추경의 필요성을 인정한 만큼 논의가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12.3 비상계엄 이후 얼어붙은 경제를 살리고 민생 회복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며, 국민의힘과 정부가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 적극 협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2025년 2월7일. 최상목은 내란 대행인가?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검찰의 내란 수사 태도를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검찰이 내란 수사를 축소·은폐하고 있다”며 “비화폰 수사를 방해하는 것이 대표적 사례”라고 지적했다.
박 원내대표는 “12.3 내란의 핵심 인물들은 경호처가 지급한 비화폰을 사용했다”며 “특수전·방첩·수방사령관 등은 지난해 4월 경호처에서 비화폰을 지급받았고,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도 경호처 비화폰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그는 “내란 당일 윤석열 대통령이 경호처 비화폰으로 국회 진입과 국회의원 체포 등을 지시했다”며 “내란 핵심 세력들의 통화 내역을 확인하는 것이 사건의 전모를 밝히는 데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비화폰 수사의 핵심은 경호처가 보관하고 있는 서버의 압수수색인데, 이를 가로막고 있는 인물이 김성훈 경호차장”이라며 “김 차장은 계엄 하루 전 비화폰을 민간인에게 제공했고, 계엄 해제 이후에는 증거 인멸을 위해 불출 대장 삭제를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나 검찰은 김성훈 차장에 대한 경찰의 구속영장 신청을 두 차례나 반려했다”며 “검찰이 내란 사건을 축소·은폐하려는 것이 아니라면 영장 신청을 반려할 이유가 없다”고 비판했다.
또한 “검찰은 이미 경호처 비화폰의 존재를 알고 있었다”며 “김용현 전 장관이 검찰에 출석하기 전, 이진동 대검 차장이 그의 비화폰으로 직접 통화한 사실이 드러났다”고 말했다. 그는 “출석을 설득하려는 통화였다는 해명은 궁색하다”며 “검찰이 사용한 비화폰은 김용현이 아닌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에게 지급된 것이었다”고 지적했다.
박 원내대표는 “검찰이 진실을 감추려 한다는 의심을 거둘 수 없다”며 “거듭 경고하지만 내란 사건을 축소·은폐·왜곡하려는 시도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그는 “경찰의 김성훈 차장 구속영장 신청에 협력하고, 비화폰 서버 압수수색을 방해하지 말아야 검찰의 결백을 증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박 원내대표는 내란 국정조사에서 최상목 경제부총리 직무대행의 태도를 문제 삼으며 “헌법을 지킬 의지가 없다면 공직자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헌법재판소 임명 결정을 따를 것이냐는 질문에 최 대행이 즉답을 회피했다”며 “헌재 결정을 존중한다면서도 예단할 수 없다는 답변은 헌재 결정을 따르지 않을 수도 있다는 의미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헌법재판소법에 따르면 헌재의 권한쟁의심판 결정은 모든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를 기속한다”며 “공직자로서 헌재 결정을 전적으로 따르겠다는 말을 왜 하지 못하는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 당연한 답변조차 하지 못한다면 공직자 자격이 없다는 자백”이라며 “국민들은 최 대행이 권한대행인지 내란대행인지 묻고 있다”고 비판했다.
2025년 1월8일. "윤석열을 관저에서 끌어내야"
국회 본청 당대표회의실에서 열린 제62차 최고위원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12.3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 및 법률 위반을 강하게 비판하며, 윤 대통령의 파면은 시간문제라고 주장했다.
박 원내대표는 "헌법재판소와 법원이 윤 대통령의 헌법 및 법률 위반을 판단하고 있다"며, "12.3 비상계엄은 헌법 위반이자 형법상 내란죄에 해당하며, 윤석열 대통령은 내란 수괴라는 결론을 바꿀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계엄 선포와 국회 활동 방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대한 불법 압수수색 등은 중대한 헌법 및 법률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국민의힘에 대해 "헌법과 법률을 부정하며 내란 동조 정당으로 나아가고 있다"며, "국민의힘 의원들은 윤 대통령과 헌법, 법률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시점에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비상계엄 해제 요구안에 찬성표를 던진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에게 "지금의 당이 제대로 된 길을 가고 있다고 생각하느냐"고 반문하며, 특검법 찬성을 촉구했다.
박 원내대표는 윤 대통령 탄핵 표결에 찬성한 국민의힘 의원들에게도 "헌법과 법률, 양심에 따라 특검법을 찬성해 달라"고 호소했다. 그는 "철저한 수사를 통해 내란의 책임자를 가려내 엄벌하는 것이 대한민국과 국민을 지키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박 원내대표는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재발부와 관련해 "공수처와 경찰 공조수사본부가 모든 가용 인력과 장비를 동원해 신속히 체포영장을 집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내란 수괴 체포는 국가 정상화를 위한 첫걸음"이라며, 경호처 경호관들에게도 "법 집행 방해는 불법임으로 반드시 처벌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박 원내대표는 "온 국민과 세계가 지켜보고 있다"며, "특검법에 대한 찬성이 대한민국의 헌법 질서와 민주주의를 굳건히 세우는 길"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국회 연설 후 이재명 대표를 비롯한 동료의원들의 축하인사를 받고 있는 박찬대 원내대표. 사진 -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Log 들어가는 글]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 3선 국회의원으로서 입지 강화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인천 연수구 갑 지역구에서 승리하며 3선 의원으로서 입지를 확고히 했다. 박 원내대표는 경제 및 교육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의정활동을 이어가며 당내 핵심 인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박 원내대표는 인천 출신으로, 인하대학교에서 경영학을 전공한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어린 시절부터 학업에 대한 열정이 남달랐던 그는 가정 형편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학업을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했다. 대학 시절에는 학문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아리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폭넓은 대인관계를 형성했다. 이러한 경험은 훗날 정치인으로서의 소통 능력을 키우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졸업 후 금융감독원과 회계법인에서 활동하며 금융 전문가로 경력을 쌓았다. 공인회계사 자격을 취득한 그는 민간과 공공 부문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으며 경제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이러한 배경 덕분에 국회에 입성한 이후 경제 및 교육 관련 정책 입안에 적극적으로 나서며 주목받았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출마해 연수구 갑에서 첫 승리를 거둔 박 원내대표는 이후 연이어 당선되며 정치적 기반을 공고히 했다. 그는 2020년 제21대 총선에서도 높은 지지율로 재선에 성공했으며, 2024년 22대 총선에서도 국민의힘 정승연 후보를 꺾고 3선 의원이 됐다.
국회에서 박 원내대표는 교육위원회 간사,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입법 활동에 힘썼다. 특히 대학 등록금 반환 문제와 대안교육기관 지원 확대 등에 앞장섰으며, 이를 통해 교육 정책 분야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2022년에는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로 임명되며 당 운영 전반에도 깊이 관여했다.
2024년 5월, 그는 당내 원내대표 선거에 출마해 단독 후보로 나서 찬반 투표를 거쳐 당선됐다. 이후 국회운영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며 원내 지도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같은 해 6월에는 이재명 대표의 사퇴로 인해 당대표 직무대행을 맡아 당을 이끄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박 원내대표는 정책적 방향에 있어서도 적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는 언론 인터뷰에서 1주택 실거주자의 종합부동산세 폐지를 주장하며 과세 형평성 강화를 강조했다. 다만, 이 같은 발언에 대해 당내 일부에서 정책적 검토가 선행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그는 당 운영에서도 혁신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원내대표로 선출된 후 '개혁기동단'이라는 이름으로 22명의 원내대표단을 구성하며 개혁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이를 통해 당의 조직력을 강화하고 정책 추진력을 높였다.
박 원내대표는 경제 정책에서 지속적인 개혁을 추진했다. 그는 중소기업 지원 확대, 스타트업 육성, 금융산업 발전 등을 주요 과제로 삼고 있으며, 특히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법안 마련에도 앞장서고 있다. 그는 "국민 경제가 회복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정책을 마련하고 지원 방안을 확대하겠다"고 언급하며 경제 성장 전략을 밝혔다.
또한, 그는 교육 분야에서도 적극적인 정책 추진을 이어가고 있다. 대학 등록금 부담을 줄이기 위한 장학금 지원 확대, 학자금 대출 이자 경감 등의 정책을 추진하며 청년층과 학부모의 부담을 덜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는 "교육은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며, 학생들이 경제적 어려움 없이 학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박 원내대표는 당내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그는 원내대표단과의 정기 회의를 확대하고, 당내 의견 수렴 과정을 보다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정책 결정 과정에서 의원들의 참여를 높이고, 당내 결속력을 강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와 함께, 박 원내대표는 청년 및 신진 정치인의 정치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제안하고 있다. 청년 정치학교 운영, 정치 후원금 활성화 방안 마련 등을 통해 미래 정치 지도자를 육성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는 "정치의 문턱을 낮추고 더 많은 인재가 국회에서 활약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박 원내대표는 개인적으로도 꾸준한 자기계발을 이어가고 있다. 그는 여가 시간에 독서를 즐기며, 특히 경제학과 역사 관련 서적을 통해 정책적 통찰력을 기르는 데 집중하고 있다. 또한, 운동을 통해 체력을 관리하며 의정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유지하는 데 힘쓰고 있다. 동료 의원들은 그를 성실하고 끈기 있는 정치인으로 평가하며, 그의 리더십에 대한 신뢰를 보내고 있다.
박 원내대표의 이러한 행보는 향후 더불어민주당의 정책 방향과 조직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그의 리더십과 정책적 비전이 어떻게 실현될지, 그리고 이를 통해 더불어민주당이 어떤 변화를 맞이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