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중앙당사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후 당사 앞 야외에서 유튜버들과 별도의 인터뷰를 하고 있는 박찬대 후보. 그는 늘 유튜버들을 챙기고 감사를 표현한다. 사진- NjT
박찬대 의원이 23일 민주당 중앙당사에서 대선운동 때 신었던 신발을 신고 나와 당대표 출마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 NjT.
2025년 6월23일. "즐거워하는 자들과 함께 즐거워하고 우는 자들과 함께 우는 정치"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은 "즐거워하는 자들과 함께 즐거워하고 우는 자들과 함께 우는 정치"를 늘 꿈꿨다. 그는 그런 정신으로 이재명 대통령의 당대표 시절 수석 대변인으로 섬겼고 원내대표가 되어 역시 같은 마음으로 국민과 당을 위해 충성했다.
그가 원내대표 임기를 끝내고 잠시 휴식기를 갖다가 23일 마침내 차기 당대표 경선 출마를 공식화했다. 그의 경쟁자는 정청래 법사위원장이다. 두 사람 모두 무도한 윤석열 정권이 막을 내리는 데 혁혁한 공을 세운 바 있다. 박 의원은 기존의 그런 '과열된 경쟁'이 아니라 '역할 경쟁'을 통해 당내 화합과 개혁 동력을 동시에 확보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자신이 지지하지 않은 후보를 깎아내리는 것은 결코 옳지 않다고 그는 강조했다.
그는 출마 선언문을 통해 당대표로서의 자격, 민주당의 전략적 방향, 개혁 과제 실현, 당내 시스템 혁신 등을 조목조목 제시하며, 이재명 정부의 성공적 국정 운영을 위한 강력한 의지를 드러냈다.
박 의원은 스스로에게 먼저 "거대 여당의 대표로서 자격이 있는가"를 물었다고 했다. 그래서 휴식기에 출마를 숙고했다. 그는 '결국 중요한 순간마다 판단의 기준은 개인이 아닌 조직, 특정인이 아닌 시스템, 언론 논조가 아닌 당원과 국민의 여론이었다'고 강조하며, 이러한 선택이 헌정질서 회복과 대선 승리로 이어졌다고 회고했다.
그는 이어 "그 판단 기준으로 보면, 민주당 대표에 도전할 자격은 있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박 의원은 당대표 선거가 단순한 권력 투쟁이 아니라, 민주당의 전략적 미래와 역할을 논하는 자리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상대를 이기기 위한 싸움이 아니라 역할을 나누는 경쟁"이라며 '멋진 경쟁', '존중하는 경쟁'을 출마 선언문 첫머리에 올린 이유를 밝혔다.
그는 후보자 간의 상호 신뢰와 당원들의 집단지성에 대한 확신도 드러냈다. 이번 당대표 선거가 당의 분열 없이 결속력을 높이는 선거가 되기를 희망했다.
그는 특히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 구성되는 민주당 지도부가 '유능한 개혁정치'를 구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박 의원은 여섯 가지 중점 과제를 제시했다.
첫째, 당정 일체를 통해 국정 운영의 시너지를 높이고, 입법·정책·정무적 대응에서 긴밀하게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둘째, 내란 특검을 전폭 지원해 윤석열-김건희 부부를 법의 심판대에 세우겠다고 했다. 그는 '통합을 빌미로 불의와 타협하는 일은 야합'이라며 '통합은 정의의 결과여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셋째로는 검찰, 사법, 언론 개혁이라는 3대 개혁을 올해 안에 반드시 입법화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정치적 여론몰이에 휘둘려 개혁을 포기해선 안 된다'며, '유능함과 유연함, 겸손과 결단력을 갖춘 리더십'을 약속했다.
넷째로는, 야당과의 협력에 대해서는 '존중하되 거래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합리적 협상은 가능하지만 구태와 저급한 거래 시도에 대해서는 단호히 거부하겠다는 입장이다.
다섯째로는 당원 권리 확대를 위한 시스템 개편을 강조했다. 박 의원은 '당권은 말이 아닌 제도로 실현돼야 한다'며, 모바일 정당 플랫폼 구축과 함께 내년 지방선거 전까지 '당원 권리 확대 방안'을 완비하겠다고 밝혔다.
여섯째는 지역주의를 넘어서는 전국 정당의 기반 구축이었다. 그는 영남과 강원 등 이른바 '험지'에서도 득표율을 끌어올리고, 지방권력 탈환을 통해 전국적 지지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을 내세웠다.
민주당 중앙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있는 박찬대 당대표 후보. 사진- NjT.
박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과의 깊은 인연도 언급했다. 그는 "2022년 대선 때 수석대변인으로 활동하면서 이재명의 위기와 도전을 함께했다"며, "지금까지는 그가 나를 지켜줬지만 이제는 내가 그의 곁을 지킬 것"이라고 말한 후 잠시 발언을 멈췄다. 그의 눈에는 눈물이 흘렀다. 그는 '이재명-박찬대 원팀', '당정대(당-정부-대통령실) 원팀'을 통해 남은 과제를 완수하고 싶다는 뜻도 밝혔다.
그는 출마 선언 말미에 "집권여당의 대표는 단순한 조직 대표가 아니라, 국가 개혁의 최전선에서 싸워야 할 리더"라며 "즐거워하는 자들과 함께 즐거워하고 우는 자들과 함께 우는 정치, 그 정신으로 혁명을 완수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국민과 당원들에게 "기회를 주신다면 반드시 약속을 지키겠다"고 거듭 호소했다.
박찬대 원내대표가 13일 마지막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NjT.
2025년 6월12일. 오직 하나뿐인 원대~
'키스 오브 라이프'의 멤버 벨(Belle)의 아빠인 가수 심신이 80년대에 대히트를 쳤던 음악 중에 '오직 하나뿐인 그대'라는 노래가 있다. 당시 그의 인기는 실로 대단했다. 댄스 음악을 부를 때 어색해서 그냥 한 번 춰본 '권총 춤'으로 그야말로 세상을 뒤집어 놓았다.
'오직 하나 뿐인 그대'를 패러디해 기자는 '오직 하나뿐인 원대'라는 표현을 생각해보았다. 원래 미국에서 스포츠, 엔터테인먼트분야 전문 기자였고 종교관련 대학원에서 신(神)과 인(人)에 대해 배운 후 한국에 와서 미래교육 교수를 했던 기자는 2년 전 인생에서 첫 직업이었던 기자로 돌아왔는데 그 분야가 마침 정치였다.
정치는 가장 관심 없는 분야였지만 한국에서 취재 기자를 할 수 있는 유일한 분야가 정치 분야, 특히 국회였다. 그 어느 분야도 신생 언론을 받아주지 않았는데 유일하게 받아준 곳이 국회였다. 그래서 나는 한국에서 가장 민주주의적인 공동체가 국회라고 말을 하고 다닌다.
스포츠 분야(특히 축구)는 미디어 멤버가 되려면 기사 150꼭지 이상을 써야 한다고 해서 그렇게 했지만 2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취재 기회를 주지 않고 있고(정몽규 시스템이 엉망이라는 걸 그 경험을 통해 알게 되었다), 영화 분야도 1년 이상 기사를 써야 한다고 해서 그렇게 했지만 여전히 취재 기회를 얻지 못하고 있다. K팝 등 엔터테인먼트 분야는 아예 시도도 해보지 못했다.
가장 민주주의적이야 할 곳들이 가장 비민주주의적이다.
신생 언론 뉴저널리스트 투데이에 기회를 열어준 곳은 국회였다. 국회는 언론사로서 기본 자격만 갖추면 취재를 허용해줬고 소위 '크레딧'이 쌓이면 레벨을 높여줬다. 지금은 바닥부터 차근차근 올라가 장기취재 기자까지 올라왔다.
국회에서 처음에는 이준석의 개혁신당을 중심으로 취재를 하다가 자연스럽게 민주당으로 취재처를 옮겨 1년 동안 취재를 했는데 그 기간에 유일하게 정기적으로 취재한 원내대표는 박찬대 의원이고 정기적으로 취재한 대표는 이재명 현 대통령이었다.
작은 언론이기에 1대1 단독 인터뷰같은 것은 엄두도 내지 못했지만 일주일에 3회는 이재명 대표의 모두 발언을 그리고 원내대표 회의까지 있는 박찬대 원내대표는 일주일 5회 정도 모두 발언을 영상과 글로 담으면서 그들의 진심과 의도를 정확하게 알수 있게 되었다. 두 사람 모두 국민에 대해 진심이었고 나라 사랑이 깊었다.
다른 당도 정기적으로 취재를 다니다가 도저히 취재가 어렵다고 판단하고 기자에게 오직 하나뿐인 대표와 원내대표(이재명, 박찬대) 중심으로 취재를 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1년이 지나니 오직 하나뿐인 대표는 용산으로 옮겨가셨고(박수~~), 오직 하나뿐인 원대(원내대표)는 오늘로 임기가 만료되어 더는 정기적으로 그들을 볼 수 없게 되었다. 참으로 아쉽고, 허전했다.
'오직 하나뿐인 원대'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13일 원내대표로서 가진 마지막 최고위원회에서 "임기를 살아서 마칠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참으로 공감이 되는 말이었다. 2024년 12월3일 이재명 대표가 유튜브 라이브 방송을 켜지 않고 시민들이 국회로 달려와서 계엄군을 막아내지 못했다면 이재명, 박찬대, 김민석, 정청래 이런 의원들은 지금 무덤에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매우 작은 언론이지만 뉴저널리스트 투데이도 윤석열, 김건희에 대해 1년 이상 매우 비판적이었고 최재영 목사를 인터뷰하고 상세히 다뤘기에 결국에는 가만히 내버려두지 않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임기를 살아서 마칠 수 있어서 기쁘다는 그의 말에 무척 공감이 됐다.
그는 '내란을 종식하고 국민주권정부를 세운 뒤 임기를 마무리하게 되어 더욱 의미 있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지난 1년간 국회와 국민,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함께한 최고위원들께 깊은 감사를 전한다"며 앞으로도 민주당과 국회, 대한민국을 위해 지속적인 조언과 헌신을 요청했다.
'알찬대'라는 그의 별명처럼 박찬대 원대는 '알차게' 자신의 역할을 잘 해냈다. 그의 알찬 서비스를 '대한민국 국민'은 다시 받을 수 없게 될까. 많은 이가 그의 당 대표 출마를 기대하고 있다. 기자도 그렇다.
12일 고별기자회견을 갖고 있는 박찬대 원내대표. 406일 동안 인천 집에 들어간 날이 30여일밖에 안될 정도로 국민과 의회를 위해 큰 수고를 했던 원내대표로 기억될 것이다. 사진- NjT.
2025년 6월12일. 박찬대 고별 기자간담회 "국민과 함께 고난의...영광의 대장정 완수"
박찬대 원내대표가 12일 국회에서 고별 기자간담회를 열고, 1년 1개월 10일(406일)간의 임기를 마무리하며 그간의 성과와 소회를 밝혔다.
박 원내대표는 "1년이 10년 같았다"며 "개혁 국회를 실천하겠다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 열심히 일했고 윤석열 정권과 치열하게 싸웠다"고 돌아봤다. 그는 국민과 함께 "대한민국을 지켜내고 정권 교체를 이뤄냈다"는 점을 가장 큰 성과로 꼽았다.
그는 원내대표 임기 동안 인천 자택에서 머문 날이 37일에 불과했으며, 나머지 369일은 국회에서 숙직하거나 비상 대기했다고 소개했다. '박찬대 오늘도 국회에서 잔대'라는 말까지 돌았다고 전했다.
박 원내대표는 제22대 총선 결과를 반영한 원 구성 협상 당시, 국민의 뜻을 받드는 '책임국회' 운영 원칙을 세웠다고 설명했다. 법사위와 운영위를 민주당이 맡아 행정부 견제 역할을 강화했고, 법사위, 과방위, 예결위 등 주요 상임위 운영에도 심혈을 기울였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이들 상임위가 최근 국회의장으로부터 최우수 상임위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지난 1년간 민주당은 상임위 전체회의 335회, 입법 현안 청문회·공청회 36회, 현안 질의 61회를 진행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를 통해 실천하는 개혁 국회, 행동하는 민주당의 면모를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작년 국정감사에서는 김건희 국정 농단과 명태균 게이트, 주가 조작, 양평고속도로 특혜 의혹, 대통령실 공사 불법 특혜 등을 폭로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의 공천 개입 발언 녹취록 공개로 국민적 공분을 이끌어냈다고 덧붙였다.
박 원내대표는 "대화와 타협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헌법이 보장한 입법부 권한인 탄핵 소추권을 행사할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방송통신위원장 4인과 검사 탄핵 추진도 '국민의 명령'에 따른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민주당이 추진한 특검이 윤석열 정권에 가장 큰 위협이었다고 평가하며 "12·3 내란 사태도 김건희 특검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명태균 구속 직후 비상계엄 선포가 이뤄졌다"고 덧붙였다.
이번 주 이재명 대통령이 내란 특검, 김건희 특검, 해병대원 특검을 공포한 데 대해 "기나긴 투쟁의 성과"라고 평가했다.
예산 심사 기능 회복도 주요 성과로 꼽았다. 박 원내대표는 국회선진화법 이후 처음으로 세법과 예산안을 국회법 절차에 따라 처리했으며, 권력기관 특활비 전액 삭감과 민생 예산 정상화 등을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박 원내대표는 국민과 함께 정권 교체를 이뤄낸 경험을 가장 뜻깊게 회고했다. 지난해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국회 담장 넘어 190명 의원 전원 찬성으로 계엄 해제, 이어진 윤 대통령 탄핵 추진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며 "12월 14일 탄핵안 가결과 시민들의 국회 진군은 지금도 감격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의 명령을 모조리 무시한 오만과 독선이 윤석열 대통령 파면의 원인"이었다고 평가하며, "경고가 현실로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박 원내대표는 "민주당은 책임 있는 집권 여당으로서 이재명 대통령과 함께 민생 회복과 국민통합 과제를 완수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또 "새로 선출되는 제2기 원내대표단이 개혁 입법과 민생 경제 회복을 반드시 완성해 주리라 믿는다"고 밝혔다.
임기 동안 함께해 준 원내대표단과 보좌진, 언론인들에게도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하며, 앞으로도 '모두가 잘 사는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힘을 보태겠다고 다짐했다.
박찬대 원내대표 고별 기자간담회 일문일답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2일 고별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1년여 원내대표 임기를 돌아보고 향후 계획과 주요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다음은 이날 기자들과의 일문일답 요지.
원내대표 자평과 대선 인상 깊은 순간은.
박 원내대표는 "학점으로 치면 A- 정도는 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원내대표 3명이 바뀌는 동안 민주당 의원단의 협력으로 대과 없이 임기를 마칠 수 있었다고 자평했다. 대선 현장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순간으로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국민들 얼굴에 희망과 밝음이 보였던 점"을 꼽았다.
가장 의미 있었던 통과 법안은.
박 원내대표는 "이태원 참사 특별법은 합의로 통과시킨 의미 있는 법안"이라며 "그러나 가장 의미 있었던 것은 윤석열 탄핵안 통과였다"고 강조했다. 12월 14일 국회에서 탄핵안이 가결된 것은 "기적 같은 일"이었다고 덧붙였다.
민생 입법 우선 과제는.
"새 정부 출범 후 민생 경제 회복이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현재 추경 준비 중이며 물가 안정 TF도 운영 중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시장 신뢰를 높이기 위한 상법 개정안을 균형감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검 추천 논의 진행 상황은.
박 원내대표는 "대통령실에서 공문이 오면 절차대로 진행할 예정"이라며 "이번 주 안에 오면 현 지도부에서 처리하고, 다음 주로 넘어가면 새 지도부에서 처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대표 출마 계획은.
출마 여부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공식 결정은 아직 내리지 않았다"고 밝혔다.
정무위 선택 이유는.
"회계사 출신으로 경제·금융 분야에 전문성이 있다"며 "이번에는 정무위에서 활동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과의 인상 깊은 에피소드와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가장 좋았던 기억은 아재개그로 이재명 대표를 웃게 만든 것"이라며 "지금은 민생 회복과 경제 성장, 국민 통합을 이루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표와 의견 충돌 사례는.
대선 경선 룰에서 "이재명 후보는 선거인단 모집 방식을 선호했지만, 본인은 권리당원과 여론조사 50:50 방식을 주장해 관철시켰다"고 설명했다.
검찰 개혁 법안 처리 방향은.
박 원내대표는 "검찰 개혁 법안은 새 원내대표가 추진할 예정"이라며 "속도는 내되 무리하게 서두르지 않고 당정 협의와 야당과의 조율을 거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Park Chan Dae Bids Farewell: "Together With the People, We Overcame the Ordeal"
SEOUL — Park Chan Dae, floor leader and acting leader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더불어민주당), delivered a farewell address on Thursday, reflecting on his 406-day tenure and highlighting key accomplishments during a turbulent political period.
Speaking at the National Assembly, Park said, "This past year felt like ten. I pledged to create a reformed National Assembly and fought relentlessly against the Yoon Suk Yeol administration to fulfill that promise." He described the joint achievement of defending democracy and changing the government as the most significant outcome of his leadership.
Park noted that he spent only 37 days at his home in Incheon during his term, while staying on standby in the National Assembly or nearby accommodations for 369 days. "There's even a joke going around that says 'Park Chan Dae sleeps at the Assembly again,'" he remarked.
Following the April 2024 general elections, Park and his leadership team prioritized forming a "responsible National Assembly" that reflected the will of the electorate. The Democratic Party secured control of key committees, including the Legislation and Judiciary, Steering, and Budget Committees, which Park said were later recognized as the best-performing standing committees.
Over the past year, the Democratic Party held 335 full committee sessions, organized 36 public hearings, and conducted 61 inquiries into major issues. Park emphasized that these efforts embodied the party’s commitment to active and reform-driven governance.
During last year’s audit, the party exposed a range of scandals, including allegations of manipulation involving Kim Keon Hee, illicit dealings linked to the Yangpyeong Expressway project, and unlawful construction at the presidential residence. Notably, the release of an audio recording of President Yoon’s remarks about election interference intensified public outrage.
Citing the administration’s refusal to engage in dialogue, Park defended the National Assembly’s decision to exercise its constitutional authority to initiate impeachment proceedings. The Democratic Party moved to impeach four members of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several prosecutors for alleged misconduct.
According to Park, the independent counsel investigations pursued by the party, particularly the probe into Kim Keon Hee’s affairs, posed the greatest threat to Yoon’s administration. "Wasn’t the December 3 insurrection triggered by the special investigation targeting Kim Keon Hee?" Park asked, asserting that fears over further revelations led to the declaration of martial law.
Park welcomed this week’s promulgation of three major special investigation acts—covering the December 3 insurrection, Kim Keon Hee, and the death of a Marine Corps member—as the culmination of a long struggle.
He also cited the restor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s budget oversight function as a historic achievement, noting that this marked the first time both tax and budget bills were passed strictly within the bounds of parliamentary procedure since the enactment of the National Assembly Advancement Act.
Above all, Park highlighted the events of December 14—when the impeachment motion against Yoon passed with 204 votes, amid mass protests by citizens—as a deeply moving moment. "That day showed that all power truly resides with the people," he said.
Park attributed Yoon’s downfall to his consistent disregard for public demands and constitutional principles. "Our warnings became reality," he remarked.
Looking ahead, Park called on the Democratic Party to fulfill its role as the ruling party under President Lee Jae Myung, pledging to support national recovery and unity. He expressed confidence that the newly elected floor leadership would carry forward key legislative and economic initiatives.
Concluding his remarks, Park expressed heartfelt gratitude to his fellow lawmakers, aides, and members of the press, reaffirming his lifelong commitment to building a nation where all citizens prosper together.
2025년 6월11일. 박찬대 '한국 AI 기술 순위 세계 25개국 중 9위'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11일 국회에서 열린 제115차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생 경제 회복과 국가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회의 역할을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고용시장 악화, 예산 집행의 비효율, AI 기술 경쟁력 확보, 금융시장 안정 등 다양한 현안을 고루 언급하며 민주당의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박 원내대표는 지난 5월 구직자 1인당 일자리 수가 IMF 외환위기 이후 27년 만에 최악의 수준으로 하락했다고 밝혔다. 한 곳의 일자리를 놓고 약 3명이 경쟁하고 있으며, '청년부터 은퇴한 어르신까지 일자리 찾기에 매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 연령층의 소비 감소로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이 반복되고 있다'며 경기 침체가 사회적 약자에게 더 큰 타격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원내대표는 지난 정부의 취약계층과 청년 지원 예산 중 약 1조 원이 집행되지 못한 점을 비판하며, '책임감 있는 예산 집행이 이루어졌다면 피해가 줄어들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이라도 국회가 이를 바로잡아 국민의 먹고사는 문제 해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민생 추경과 관련해서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마련과 더불어 대한민국 미래를 위한 투자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AI 기술과 관련해 최근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벨퍼센터의 보고서를 인용하며 한국의 AI 기술 순위가 세계 25개국 중 9위에 그치고 있다고 언급했다. 박 원내대표는 '기술력과 인적 자원은 우수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며 '정부와 국회가 함께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금융시장과 관련해서는 '주가가 2,900포인트를 돌파하고 환율이 1,363원대까지 하락하는 등 국민들의 기대가 경제 지표에 긍정적으로 반영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박 원내대표는 '기초를 튼튼히 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외국인 투자 증가 현상도 긍정적으로 언급했다. 그는 '정치판에서 매수는 나쁘지만, 경제판에서 매수는 희망적이다'고 덧붙였다.
박 원내대표는 끝으로 '든든한 추경과 물가 안정을 통해 경제를 챙기고, 유능하고 실용적인 집권 여당의 모습을 국민 앞에 겸손하고 분명하게 보여주겠다'고 다짐했다.
Park Chan-dae Pledges Emergency Budget and AI Investment to Boost Economy and Stability
Seoul — Park Chan-dae, floor leader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더불어민주당), underscored the National Assembly’s role in supporting South Korea’s economic recovery and future competitiveness during Wednesday’s 115th Supreme Council meeting. Park addressed employment concerns, budget inefficiencies, AI competitiveness, and financial market stability in outlining the ruling party’s policy direction.
Park noted that South Korea’s job market saw its worst performance in 27 years this May, with about three job seekers vying for each available position. He stressed that this competition affects both young people and retirees alike. Additionally, he warned that declining consumer spending is compounding difficulties for small businesses and disproportionately impacting vulnerable groups.
Park criticized the previous administration for failing to execute roughly 1 trillion won in funds designated for vulnerable citizens and youth employment. He asserted that 'more responsible budget execution could have mitigated some of this harm' and pledged that the National Assembly would address these shortcomings to help resolve citizens’ livelihood issues.
On the emergency budget, Park promised it would not only provide immediate relief but also sustain crucial investments in South Korea’s future. Citing a recent report by Harvard Kennedy School’s Belfer Center, Park highlighted that the country’s AI capabilities rank only 9th among 25 nations. He emphasized that despite South Korea’s strong technical and human resources, substantial progress is still needed and that both the government and legislature must invest and support this key sector.
Addressing financial markets, Park pointed to the stock index surpassing 2,900 points and the exchange rate falling to 1,363 won per dollar as signs of public optimism reflected in key indicators. He stressed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fundamentals and pursuing sustainable growth,' and noted that rising foreign investment is a positive trend. Park quipped, 'While “buying” is frowned upon in politics, it is a hopeful sign in the economy.'
Concluding, Park vowed that the ruling party would 'ensure a robust emergency budget, stabilize prices, and present a competent and practical image of governance to the public with humility and clarity.'
2025년 6월9일. 박찬대 '물가 TF·재정 투입, 국민 체감 대책 시급'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9일 국회에서 열린 제114차 최고위원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고물가와 내수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국민을 위해 물가 안정과 경제 회복을 위한 적극적 대응에 나서겠다는 뜻을 밝혔다.
박 원내대표는 "오늘 코스피 지수가 2,850선까지 오르고 환율도 하락하고 있다"며 "시장에 긍정적 기대 심리가 반영되고 있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그는 "가공식품과 외식물가가 지속 상승하고 있고, 계란값은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해 '금란'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고 지적하며, 국민이 체감하는 물가는 여전히 높은 상황임을 강조했다.
이에 따라 박 원내대표는 "이재명 정부가 취임 첫날 비상경제점검TF를 가동하고 첫 국무회의에서 경제 현안을 보고받았다"며 '국민의 먹고사는 문제 해결을 최우선으로 삼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이를 위해 당 차원의 물가관리 TF를 구성하고 당정협의를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대책 마련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경제 회복을 위한 추경 편성에도 적극 나서겠다는 뜻도 밝혔다. 박 원내대표는 "대선 기간 동안 상인들이 '지원도 좋지만 장사가 잘 되게 해달라'고 말씀하셨다"며 "소비를 늘려 경기 회복을 유도하는 재정 투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민주당은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신속한 추경 처리에 집중하고, 필요한 예산이 현장에 빠르게 투입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박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을 향해 "대선 기간 중 30조 원 규모의 추경을 약속한 만큼, 민생을 위해 초당적인 협력을 당부한다"고 촉구했다.
마지막으로 민주당 차기 원내지도부 선출과 관련해 권리당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독려했다. 박 원내대표는 "민주당은 당원 중심의 대중정당으로, 권리당원 여러분의 한 표가 일하는 국회, 국민을 위한 국회를 만드는 데 쓰일 것"이라며 "과열 경쟁보다는 멋진 경쟁과 성원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2025년 6월5일. 박찬대 “전 정권 인수 방해, 엄중히 책임 묻겠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5일 오전 열린 제113차 최고위원회의에서, 제21대 대통령으로 이재명이 당선된 이후 민주당이 집권여당으로서의 공동 책임을 안고 국가 정상화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민주주의 회복과 민생경제 재건을 위한 골든타임이라며, 새 정부의 즉각적인 가동을 방해한 전 정권의 행위에 대해 강력 대응을 예고했다.
박 직무대행은 먼저 제70회 현충일을 하루 앞두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에 대한 추모를 표하며, 해군 장병들을 포함한 희생자들의 헌신을 잊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함께 잘 사는 나라, 진짜 대한민국”으로 가는 첫걸음을 국민들이 선택했다며, 계엄군의 폭력에 맨몸으로 맞섰던 국민의 투쟁이 민주주의 승리로 이어졌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재명 정부가 직면한 최대 과제로 민생과 경제 회복, 국가 통합을 제시하며, 민주당은 개혁 법안 처리와 실질적인 경제 활성화 대책 마련에 집중해 정부를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새 정부의 출범 과정에서 벌어진 인수인계 문제에 대해서는 강한 유감을 표했다. 박 직무대행은 전 정권이 사무실에 필기도구조차 남기지 않은 채 대통령실을 사실상 ‘무덤’처럼 만들었다며, 별정직 공무원의 집단 사표와 부처 파견 공무원의 철수 등으로 이재명 정부 인수팀이 새벽부터 강당에서 대기해야 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 5월 19일 선대위 회의에서 이 같은 사태를 경고했으며, 이는 “명백한 범죄 행위”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박 직무대행은 내란 극복과 국정 정상화를 위한 골든타임에 공직자들이 적극 협조해줄 것을 당부했다. 그는 “새 정부가 즉각 가동돼야 할 시점에 이런 방해 행위는 절대 좌시하지 않겠다”며 강력한 조치를 예고했다.
이날 국회에서는 내란 특검법, 김건희 특검법, 해병대원 특검법, 검사징계법 등이 처리될 예정이다. 박 직무대행은 내란 특검이 헌정질서를 훼손한 세력을 엄단하고, 김건희 특검은 국정농단의 실체를 드러내며, 해병대원 특검은 은폐된 수사 외압을 밝히는 데 중점을 둘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검사징계법을 통해 무너진 검찰 신뢰를 회복하겠다고도 했다.
박 직무대행은 마지막으로 이재명 정부가 국민 주권에 기반한 정부임을 강조하며, 민주당이 법치 회복과 국민 통합을 이루기 위한 무한 책임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Democratic Party Declares “Full Responsibility” for Overcoming Insurrection and Economic Crisis
Park Chan-dae, the acting leader and floor leader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affirmed the party’s commitment to stabilizing the nation and reviving the economy under the newly elected President Lee Jae-myung during a Supreme Council meeting held at the National Assembly on Thursday.
With the country commemorating its 70th Memorial Day tomorrow, the acting leader opened by honoring fallen soldiers and veterans, pledging continued support for bereaved families and remembrance of the Navy officers who sacrificed themselves to avoid civilian casualties.
He went on to frame Lee Jae-myung’s victory as a turning point, crediting the citizens who stood against military oppression as the driving force behind South Korea’s democratic resurgence. Now as the ruling party, Park, the acting leader, stated the Democratic Party would shoulder joint responsibility for governance, focusing on tangible economic recovery and national unification.
The acting leader harshly criticized the previous administration for allegedly sabotaging the governmental transition process. He claimed the presidential office was left functionally empty—with no equipment or staff for handover—forcing incoming officials to wait helplessly for hours. Park, the acting leader, called this obstruction a “criminal act” and vowed accountability for those involved, pointing out that he had already issued warnings about such actions in a May 19 campaign meeting.
Asserting that the current period is a critical window for normalizing the nation post-insurrection, the acting leader urged all public servants to cooperate actively in establishing the new government’s functions.
Later today, the National Assembly is set to vote on a set of high-profile special investigation bills. These include the December 3 Insurrection Special Counsel Act, a bill targeting allegations involving Kim Kun-hee, and legislation probing the suspected cover-up of a Marine’s death. Park, the acting leader, stated that the party will pursue each bill to restore constitutional order, unveil government misconduct, and rebuild public trust in law enforcement, particularly through the passage of the Prosecutor Disciplinary Act.
He concluded by reiterating the Democratic Party’s role as a custodian of constitutional values under the Lee Jae-myung administration and pledged full commitment to upholding justice and reuniting the nation.
2025년 6월3일. 박찬대, "투표는 총칼보다 강하다"
박찬대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상임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3일 제21대 대통령선거 투표일을 맞아,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과 12.3 내란 사태를 언급하며, 이번 선거는 "완전히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한 국민의 선택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위원장은 발언에서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인용하며, 윤석열 전 대통령이 군경 동원을 통해 헌법기관의 권한을 침해하고 국민의 기본권을 유린한 책임으로 전원 일치 탄핵됐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그는 "오늘 치러지는 대선은 바로 이 내란 사태로 인해 이루어지는 것"이라며, 국민의 투표가 헌정 회복과 민생 회생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윤석열 3년 동안의 실정으로 무너진 경제와 고통받는 민생을 다시 일으켜 세우기 위해서는 투표가 필요하다”며 “투표는 총칼보다 강하다. 투표가 국민을 살리고, 나라를 구한다”고 거듭 호소했다.
또한 그는 "오늘 투표는 저녁 8시까지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가능하다"며, 끝까지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해 줄 것을 당부했다. 박 위원장은 “위대한 대한국민의 힘을 오늘 투표로 보여주자”고 말하며 발언을 마쳤다.
Park Chan-dae: "Only the Vote Can Restore a Nation Shaken by Insurrection"
Park Chan-dae, standing chief of the Central Election Committee, declared on Tuesday that South Koreans are voting in a presidential election necessitated by former President Yoon Suk Yeol’s alleged orchestration of a failed coup. He urged citizens to see the election as a turning point for building a better, unified country.
Referencing the April 4 ruling by the Constitutional Court, Park reminded voters that Yoon had been unanimously removed from office for deploying military and police forces to undermine democratic institutions and infringe on civil liberties. “This election is happening because of that insurrection. It is time to fix what was broken,” Park said.
He appealed to voters to choose democracy and economic recovery through the ballot box, criticizing Yoon’s three years in office as a period of national decline. “Voting is stronger than bullets. Your vote can save lives and rescue the country,” he said.
Park also reminded the public that polling stations would remain open until 8 p.m. and encouraged everyone to cast their votes before the deadline. “Let the world see the power of the great people of Korea through today’s vote,” he concluded.
박찬대 원내대표. 사진- NjT.
2025년 5월30일. 박찬대, '이재명이 경제 살릴 유일한 해법'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상임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30일 중앙당사에서 열린 제11차 선거대책위원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첫날 사전투표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데 대해 “국민의 간절한 의지와 열망이 모인 결과”라고 평가했다.
그는 특히 학생, 직장인, 자영업자 등 다양한 계층의 적극적인 참여를 언급하며 “내란 종식과 대한민국 정상화를 향한 국민의 힘”이라고 강조했다.
박 위원장은 “오늘은 사전투표 마지막 날”이라며 “2022년 대선 당시 36.9%였던 기록을 다시 넘어야 한다”고 호소했다. 그는 “기호 1번 이재명, 아직 세 표가 부족하다. 반드시 투표에 참여해달라”며 지지를 당부했다. 30일 오후 3시 현재 투표율은 29.97%다.
그는 해군 초계기 사고로 인한 희생자에 대해서는 깊은 애도를 표하며, “정부는 사고 수습과 재발 방지에 만전을 기하고, 유가족 예우에도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또한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박 위원장은 선거관리위원회를 향해 일부 투표소에서 투표용지를 수령한 유권자들이 대기 중 외부에 나갔다는 보도를 언급하며, “공정하고 철저한 관리가 필수적인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사소한 실수도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경제 상황에 대해서는 “한국은행과 KDI 모두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8%로 하향 조정했다”며 “이는 윤석열 정권 3년의 실정과 12.3 내란 사태로 인한 경제 폭망의 결과”라고 비판했다. 그는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0%대 성장률을 기록한 상황에서, 민생과 경제 회복이 이번 대선의 최우선 과제”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재명이 대통령에 당선될 경우 “즉시 대통령 직속 비상경제대응TF를 구성해 국가재정을 마중물 삼아 경제를 살리겠다”며 “다시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2025년 5월26일. 박찬대 “알박기 인사 명백한 의도가 있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상임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26일 오전 중앙당사에서 열린 제9차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이번 대선은 단순한 대통령 선출이 아니라, 무너진 대한민국을 바로 세우는 역사적 전환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윤석열 정부 3년을 ‘무능과 무책임의 국정 운영’으로 규정하며, 12.3 비상계엄 사태로까지 이어진 국정 실패의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국민들은 검찰총장 출신 대통령이 정의롭게 국정을 운영하길 기대했지만, 현실은 반대였다”며 “서민 경제는 무너지고, 의료 체계는 붕괴했으며, 국정 전반이 무대책이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이번 선거는 민생 회복, 민주주의 재건, 국민 통합을 위한 결단의 장”이라며 이재명 후보를 “충직하고 유능한 일꾼”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오는 29일과 30일 양일간 실시되는 사전투표 참여를 적극 독려하며, ‘기호 1번 이재명 3표 더!’라는 ‘1-2-3 투표 캠페인’을 소개했다. 박 위원장은 “투표해야 이긴다. 국민이 투표하면 국민이 승리한다”며 유권자의 실천을 호소했다.
이어 박 위원장은 윤석열 정부의 ‘알박기 인사’ 문제를 언급했다. 그는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김대기 전 대통령 비서실장, 송언석 국회 기재위원장의 측근들이 기획재정부 예산 요직에 배치됐다는 제보를 인용하며, 이는 “차기 정부의 국정 철학을 훼손하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 또, 해당 인사가 최상목 전 부총리 사퇴 전 이루어졌다는 점을 들어 “명백한 의도”가 있다고 주장했다.
박 위원장은 한국자산관리공사와 한국농어촌공사 등 공공기관에서도 같은 방식의 인사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히며, 이주호 권한대행에게 “차기 정부 출범 전까지 전 부처 인사 동결”을 지시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새 정부가 행사해야 할 인사권을 미리 점령하는 행위는 국민이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Park Chan-dae Calls for Democratic Revival and Economic Recovery, Rallies Support for Lee Jae-myung
Park Chan-dae, chief coordinator of the Democratic Party's election committee, declared Monday that the June 3 presidential election represents a critical opportunity to restore the country after three years of what he called failed governance under President Yoon Suk Yeol.
Speaking at the Democratic Party’s headquarters, Park denounced the Yoon administration as incompetent and irresponsible, accusing it of allowing the collapse of the medical system and worsening hardship for working-class citizens. “People believed a former prosecutor-general would bring justice to governance, but instead the country was thrown into disarray,” he said.
Park stressed that the upcoming election is about much more than selecting a president — it’s about reviving livelihoods, rebuilding democracy, and reuniting a divided nation. He urged voters to support Lee Jae-myung, whom he called a capable and faithful leader.
He also spotlighted the early voting period on May 29 and 30, encouraging participation with the campaign slogan “1-2-3 Vote”—meaning “Vote for No.1, Lee Jae-myung, and give him 3 more votes.” Park emphasized, “Victory comes through voting. When people vote, the people win.”
Addressing continued political appointments by the outgoing administration, Park criticized what he termed “entrenchment personnel practices” by key Yoon allies, including former Deputy Prime Minister Choi Sang-mok and former Chief Presidential Secretary Kim Dae-ki. He claimed these figures had secured powerful budgetary positions in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even before Choi’s resignation.
Park warned that these moves could undermine the incoming administration’s fiscal policies and demanded that Acting Prime Minister Lee Ju-ho freeze all ministry appointments until the new government is formed. “The people will not tolerate any attempt to usurp the new government's appointment authority,” he said.
2025년 5월21일. 박찬대 “TK 민심 요동치고 있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상임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21일 중앙당사에서 열린 선거대책위 회의에서, 대구·경북 지역에서 민주당에 대한 지지가 확산되고 있다고 진단하며 “국민의 삶을 지키기 위해 더 빠르고 확실하게 내란을 끝내고 국가를 정상화하겠다”고 밝혔다.
박 위원장은 “대구·경북 유권자들이 ‘경제 좀 살려달라’, ‘갈라진 국론을 통합하라’고 외치고 있다”며, 자신이 직접 지역을 찾아 민심을 경청하고 지지를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재명 후보와 함께 분열과 갈등을 마무리하고 국민 통합의 새 시대를 열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법조계 논란과 관련해, 내란사건 재판을 맡고 있는 지귀연 판사의 접대 의혹과 거짓 해명이 불과 몇 시간 만에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박 위원장은 “지 판사는 내란 수괴 윤석열을 석방하고 재판을 비공개로 진행한 인물”이라며, 이미 대법원과 공수처가 각각 접대 및 뇌물수수 의혹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인 만큼, 스스로 재판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SPC 계열 공장에서 또다시 노동자 사망 사고가 발생했다며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은 기본권”이라고 지적했다. 박 위원장은 정부가 철저하고 엄정한 조사를 통해 재발 방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택배노동자의 투표권 문제도 언급했다. CJ대한통운, 한진, 롯데택배 등 주요 업체들이 본투표일인 6월 3일을 휴무일로 지정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사전투표일이 평일인 만큼, 본투표일까지 일하게 되면 수많은 특수고용직, 플랫폼 노동자들이 투표권을 행사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관련 기업에 즉각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박 위원장은 자영업자들을 상대로 한 ‘민주당 관계자 사칭 노쇼 범죄’에 대해서도 강한 유감을 표하며 “생계가 위협받는 자영업자에게 고의로 피해를 주는 악질 범죄”라고 규정했다. 그는 민주당이 가해자를 끝까지 추적해 엄벌하겠다고 밝혔다.
Park Chan-dae: “Voters in TK Call for Economic Relief and National Unity”
Park Chan-dae, standing co-chair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s (더불어민주당) election campaign committee, stated Wednesday that public sentiment in the traditionally conservative Daegu and North Gyeongsang region (TK) is shifting toward the party, with voters increasingly calling for economic recovery and an end to national division.
Speaking during a central campaign meeting, Park declared his intent to travel to the region to listen directly to citizens’ concerns and to garner support. “Together with Lee Jae-myung (이재명), we will end the era of conflict and build a truly united nation,” he said.
He also condemned Judge Jee Gui-yeon (지귀연) for allegedly lying about entertainment-related misconduct, which Park claimed was quickly exposed. The judge, who is presiding over the December 3 insurrection case, was also accused of granting release to Yoon Suk Yeol (윤석열) and holding trials behind closed doors. Park argued that Ji should voluntarily recuse himself while the Supreme Court and Corruption Investigation Office investigate his conduct.
Park addressed labor safety following another worker’s death at an SPC factory, noting it marked the third fatality in recent years. He criticized the government for failing to ensure workplace safety, despite previous promises from SPC to prevent further incidents. “A safe workplace is a basic right,” he stated, demanding a thorough investigation.
Turning to voting access, Park warned that major delivery companies such as CJ Logistics, Hanjin, and Lotte have not designated June 3 — election day — as a day off, despite the early voting days also falling on weekdays. This, he said, could deprive thousands of delivery and gig workers of their right to vote. He urged immediate action from the companies to protect workers' suffrage.
Lastly, Park addressed a troubling pattern of "no-show" restaurant bookings made by individuals impersonating Democratic Party officials, which has financially harmed small business owners. He pledged to pursue and punish the perpetrators using all legal avenues and asked the public to report suspicious cases to local authorities.
2025년 5월19일. 박찬대, "보은성 인사, 알박기 인사, 입막음 인사" 중단해야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상임총괄선대위원장은 19일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 모두발언에서, 6·3 대선을 앞두고 민생 회복과 민주주의 수호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그는 각 지역 유세에서 마주한 시민들의 절박한 호소를 전하며, 이번 선거가 ‘경제를 살릴 수 있는 유일한 기회’임을 강조했다.
박 위원장은 인천, 충청, 대전세종, 서울, 광주전남 등 전국을 돌며 시민들의 고통을 직접 들었다며, “당장 국민의 삶을 회복시키는 것이 시대정신이자 이번 대선의 최우선 과제”라고 말했다. 이어 전날 진행된 첫 TV토론을 언급하며, “이재명 후보가 무너진 경제와 민생을 책임질 유일한 적임자임이 더욱 분명해졌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윤석열 정권 퇴진 이후 대통령실 직원들의 인사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며, “공무원들이 대거 원 소속 부처로 복귀하면서 핵심 요직을 차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정진석 비서실장이 이를 주도하고 있고, 복귀자들이 주요 보직에 임명되거나 해외로 발령되고 있다는 점에서 “보은성 인사, 알박기 인사, 혹은 입막음 인사로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대통령실에서 ‘서류 파기’ 지시가 내려오고, 개인용 컴퓨터 초기화가 이뤄지고 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새 대통령이 취임하는 6월 4일에 남는 건 사람도, 자료도 없는 빈 껍데기 대통령실”이라며, 정진석 비서실장의 해명을 촉구했다. 동시에 모든 정부 부처에 대해 ‘인사 동결’을 즉시 지시하라고 행안부 권한대행에게 요구했다.
또한 박 위원장은 이날부터 시작되는 재외국민 투표를 언급하며, “26만 명의 재외국민이 투표를 신청했다. 이 숫자 자체가 12.3 내란으로 무너진 조국의 민주주의를 다시 세우겠다는 의지”라고 평가하며 참여를 독려했다. 이어 5월 29~30일 진행될 사전투표 일정도 언급하며, “평일 진행으로 불편할 수 있지만, 한 표 한 표가 내란 종식과 경제 회복의 힘이 된다”고 강조했다.
Park Chan-dae Calls for Voter Mobilization to Restore Economy and Constitutional Order
SEOUL — Park Chan-dae, senior campaign chair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emphasized the urgency of economic recovery and democratic restoration in his address at Monday's Central Election Committee meeting, just two weeks ahead of the June 3 presidential election.
Park, who has been touring key regions such as Incheon, Chungcheong, Daejeon-Sejong, Seoul, and Gwangju-Jeonnam, said he repeatedly encountered citizens who voiced their desperation over the cost of living. “Solving everyday economic hardship is the most urgent mission of this election,” he said, describing it as both a national priority and a generational mandate.
Referring to the first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 Park declared Democratic Party candidate Lee Jae-myung (이재명) as the only viable leader to “rescue the collapsing economy and take responsibility for the people’s livelihood.”
He raised concerns about reports of former presidential staff being rapidly reinstated and promoted within ministries, particularly under the coordination of Chief of Staff Chung Jin-suk (정진석). Park questioned whether these reappointments were politically motivated, aimed at rewarding loyalty or silencing those privy to sensit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cember 3 constitutional crisis.
More seriously, Park pointed to allegations that the presidential office ordered document destruction and mass data wiping on personal computers. “If true, the incoming administration will inherit an empty shell,” he warned, urging an immediate investigation and demanding a freeze on personnel appointments across all ministries until the new government is inaugurated.
Park also appealed to overseas Koreans, 260,000 of whom registered to vote, praising their commitment to restoring democracy from afar. He called on all citizens to participate in early voting on May 29 and 30, despite it taking place on weekdays. “Every ballot is a vote to end insurrection and revive the economy,” he concluded.
5일 국회에서 비상시국선언 관련 발언을 하고 있는 박찬대 위원장. 사진 - NjTelegraph
2025년 5월5일. 박찬대, “사법쿠데타는 또 다른 내란”
국회 ―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상임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5일 오후 국회 본청 앞에서 열린 ‘광장대선정치연대 비상시국선언’에서 최근 대법원의 이재명 후보 판결을 ‘사법 쿠데타’로 규정하며 강력히 반발했다. 그는 대법원이 지난 1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의 선거법 위반 사건을 파기환송한 것은 “대선 개입이자 또 다른 내란”이라고 주장했다.
박 위원장은 발언을 통해 “12.3 내란사태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윤석열 대통령과 정치검찰이 실패한 탄압 시도가 이제는 일부 사법부를 통해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그는 약 7만 쪽에 달하는 사건 기록이 단 이틀 만에 검토된 것을 언급하며 “이것은 재판이 아니라 정치”라는 법조계의 비판이 확산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조희대 대법원장을 지목하며 이번 판결이 “공정성과 중립성을 저버린 졸속재판”이며, “국민의 주권을 침해한 명백한 대선 개입”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윤석열 대통령의 세력이 사법부 내 일부 카르텔과 손잡고 유력 대선후보 이재명을 제거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해 박 위원장은 “윤석열과 그를 지지하는 극우세력, 정치검찰은 이재명을 제거하려는 여러 시도를 했지만 번번이 실패했다”며 “이제 마지막 수단으로 사법부를 이용해 이재명을 쓰러뜨리려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를 “새로운 대한민국을 향한 혁명을 좌절시키려는 최후의 몸부림”이라고 규정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에 맞서 국회와 당이 가진 모든 권한을 총동원해 사법 쿠데타를 막고, 내란 잔당의 준동을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박 위원장은 “위대한 국민과 함께 진짜 대한민국을 위해 싸우겠다”며 대선 승리에 대한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2025년 5월4일. 박찬대 “방심은 금물이 아니라 방심하면 자멸”
국회 ―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상임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5월 4일 국회에서 열린 제82차 긴급의원총회에서, 6.3 대선을 한 달 앞두고 내란 종식과 헌정질서 회복을 위한 마지막 싸움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과 정치검찰, 극우 보수세력, 일부 사법부가 결탁해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있다며, 이를 ‘사법 내란’으로 규정하고 강력히 비판했다.
박 위원장은 지난 5월 1일 대법원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선거법 위반 사건을 파기환송한 것을 언급하며, 이를 “사법 쿠데타”이자 “사법 내란”이라 지적했다. 그는 대법원의 결정이 단순한 법적 판단을 넘어 대선 개입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윤석열 대통령을 “내란 수괴”로 지칭하며, 그를 중심으로 한 정치검찰과 기득권 세력이 이재명 후보를 수백 차례의 압수수색과 기소로 제거하려 했으나 실패했다고 말했다. 그러자 이번엔 조희대 대법원장을 중심으로 한 사법권력과 손잡고 다시금 이재명 후보를 정치적으로 제거하려 시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 위원장은 한덕수 국무총리의 대선 출마 움직임에도 날을 세웠다. 그는 한 총리를 “내란 수괴 대행”이라고 표현하며,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를 대선 후보로 내세운 국민의힘과 극우 보수 세력의 행보를 "내란 세력의 최후 발악"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모든 민주당 의원들에게 사법 내란 진압과 대선 승리를 위한 총력 투쟁을 당부했다. 국회의 권한을 동원해 내란을 종식시키고, 헌정 질서를 회복하는 데 주력하자고 강조했다. 박 위원장은 “방심은 곧 패배이자 자멸”이라며, 남은 한 달 동안 모든 권한과 수단을 활용해 싸울 것을 호소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국민과 함께 웃으며 의연하게 싸우자”고 말하며 연설을 마무리했다.
1일 비상의원총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는 박찬대 원내대표. 사진- NjTelegraph
2025년 5월1일. 박찬대, "3시에 파기환송, 4시에 대선출마 선언, 짜고치는 고스톱"
국회 ― 1일 오후 대법원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파기환송 결정을 내린 데 이어, 한덕수 국무총리가 불과 한 시간 뒤 전격 사퇴를 발표하면서 사실상 대선 출마를 예고했다. 정치권에서는 이 두 사건의 시점이 절묘하게 맞물린 데 대해 강한 의구심과 비판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이날 오후 3시,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이재명 대표의 '허위사실 공표' 혐의에 대해 유죄 판단을 내린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으로 돌려보냈다. 이 판결은 선거 당시 발언의 취지를 고려하지 않았으며, 피고인의 주관적 인식과 판단을 처벌 대상으로 삼은 지나치게 추상적인 판단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전원합의체 회부 후 단 9일 만에 두 차례 심리를 거쳐 이례적으로 신속한 결론에 도달한 점도 논란이다. 민주당은 해당 재판이 "형사법 원칙에 어긋나는 조잡한 판단"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불과 한 시간 뒤인 오후 4시, 한덕수 국무총리는 전격적으로 사퇴를 발표했다. 민주당 측은 이를 두고 “사실상 대선 출마를 선언한 것”이라며, 대법원 판결 직후의 타이밍을 두고 “짜고 치는 고스톱”이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강하게 비판했다.
비상의원총회를 통해 공식 입장을 밝힌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사법부가 정치에 개입한 쿠데타적 상황”이라며, “이번 판결은 법적 상식과 헌법 원칙을 정면으로 위배한 사법 흑역사”라고 강도 높게 비난했다. 그는 조희대 대법원장을 직접 언급하며, “법원이 정의를 세우는 것이 아니라 정치에 개입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 원내대표는 윤석열 정권 3년간의 민생 파탄과 12.3 내란 상황에 침묵하던 사법부가, 유력 대선 후보에 대한 정치적 족쇄를 채우려 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결국 국민이 배심원이 되어 정의와 상식을 바로 세울 것”이라며 “대통령은 법관이 아닌 국민이 뽑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사안을 사법 쿠데타로 규정하고, 내란 종식과 정의 회복을 위해 국민과 함께 끝까지 흔들림 없이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Park Chan-dae Slams Supreme Court Ruling, Says Han Duck-soo’s Resignation Signals “Staged Coup”
SEOUL — On May 1, South Korea’s political landscape was shaken by two back-to-back events: a Supreme Court reversal in Democratic Party leader Lee Jae-myung’s (이재명) case and the sudden resignation of Prime Minister Han Duck-soo (한덕수), interpreted by many as a move toward presidential candidacy.
At 3 p.m., the Supreme Court's Grand Bench returned Lee’s public election law violation case to the Seoul High Court, overturning the lower court's conviction. The ruling drew sharp criticism from the Democratic Party, which argued that it disregarded basic legal principles such as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and the constitutional protections of political expression. Critics also questioned the speed and process of the ruling, noting that only two deliberation sessions took place within nine days—a pace considered highly unusual for such a complex case.
Just an hour later, at 4 p.m., Prime Minister Han announced his resignation, fueling speculation that he would enter the presidential race. Democratic Party officials immediately accused the ruling party and judiciary of collusion. Acting party leader and floor leader Park Chan-dae (박찬대) denounced the sequence of events as "a staged coup,” calling it “a rubber-band ruling with no consistency or fairness.”
In an emergency assembly of lawmakers, Park claimed the court’s decision was not only legally unsound but politically motivated. He argued the court failed to consider its own recent precedents and appeared to reverse its own logic to undermine a leading opposition candidate. “What kind of justice punishes subjective perceptions instead of actions?” Park asked, warning that such a precedent would permanently damage public trust in the judiciary.
Park also criticized the court's silence on the controversial December 3 martial law allegations, stating, “The judiciary stayed quiet when democracy was at risk, but is quick to intervene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Reaffirming the party’s commitment to democratic norms, Park vowed to fight against what he termed a “judicial coup,” asserting, “The people are the true sovereign of this country. It is not the courts that elect a president—it is the people.” He pledged that the Democratic Party would stand firm with the public to restore justice and end the remnants of the so-called insurrection.
27일 대선 후보 수락연설을 하고 있는 이재명 대표. 사진 - NjTelegraph
2025년 4월29일. 박찬대, "민주당, 대선 승리로 내란 종식·민생 회복 이끌 것"
국회 ―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29일 국회 본청에서 열린 제38차 원내대책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대한민국이 새로운 미래를 향한 출발선에 섰다고 강조했다. 그는 6·3 대통령선거를 35일 앞둔 시점에서, 내란 수괴 윤석열과 그 세력이 훼손한 헌정질서와 민주주의를 바로잡고,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한 대장정을 민주당이 이끌겠다고 밝혔다.
박 대행은 내일부터 민주당이 선거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여 대선 승리에 모든 당력을 집중할 것이라며, 이재명 후보와 함께 압도적인 정권 교체를 이루겠다고 다짐했다. 아울러 한덕수 국무총리의 대선 출마설과 관련해, 한 총리가 내란 공범이자 무능한 외교통상 관리자로서 출마할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박 대행은 국민 70%가 반대하는 상황에서 대선 출마를 강행할 경우, 윤석열의 하수인으로서 국민적 심판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그는 야5당이 재발의한 내란 특검법과 김건희 특검법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박 대행은 내란 특검이 비상계엄, 외환유치, 군사반란 등 12.3 내란 사태를 전방위적으로 수사하고, 김건희 특검이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및 명품백 수수 의혹뿐만 아니라 여론조작 의혹까지 포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치 검찰이 내란 수사를 회피하고 김건희 수사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을 강하게 비판하며, 민주당이 특검 관철과 검찰개혁을 반드시 이루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 대행은 12.3 내란 사태와 윤석열 정권 3년의 실정으로 민생 경제가 파탄났다고 지적했다. 특히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피해가 심각하다며, 지역화폐 예산 확대 등 실질적인 지원책을 포함한 민생 추경 편성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국회 예결위가 가동되는 오늘부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민생 예산을 관철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Park Chan-dae Declares Full Mobilization for Presidential Victory to End "Insurrection Forces"
Park Chan-dae, acting leader and floor leader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더불어민주당), stated on Tuesday that South Korea is embarking on a journey toward restoring democracy and reviving the economy, with only 35 days left until the June 3 presidential election. Speaking at the National Assembly, Park emphasized that the party would transition into full campaign mode starting tomorrow, committing all efforts to securing a decisive victory.
Park criticized Han Duk-soo (한덕수), the current Prime Minister, amid widespread reports suggesting his imminent presidential candidacy. Park asserted that Han, who allegedly failed to prevent the December 3 insurrection and protected Yoon Suk-yeol (윤석열), lacks both the qualifications and capability to run. He warned that should Han proceed, he would face overwhelming public backlash for allegedly conspiring with the remnants of the ousted regime.
The Democratic Party, Park said, reintroduced stronger versions of two special investigation bills: one targeting the December 3 insurrection and another focusing on allegations involving Kim Kun-hee (김건희). Park insisted that these measures are essential for fully dismantling the insurrection network and restoring constitutional order. He accused the prosecution of dragging its feet in investigating major cases and vowed that the party would enforce independent probes through these special prosecutors.
In addressing domestic economic issues, Park pointed out that three years of Yoon’s administration and the December 3 incident devastated the livelihoods of small businesses and the working class. Stressing the urgent need for practical support measures like expanding local currency subsidies, Park committed to pushing for a supplementary budget during the ongoing budget committee sessions, pledging to deliver tangible results for ordinary citizens.
박찬대 당대표직무대행이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 지명자에게 대선 캠페인을 위한 점퍼를 입혀주려고 옷을 펼쳐보이고 있다. 사진 -NjTelegraph Park Chan-dae, interim leader of the Democratic Party, holds out a campaign jacket to Lee Jae-myung, the party’s presidential nominee, in preparation for the upcoming election. Photo — NjTelegraph
2025년 4월28일. 이재명 후보는 "탁월한 위기관리 능력과 검증된 실력을 갖춘 후보"
국회 ―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28일 국회 본청 당대표회의실에서 열린 제110차 최고위원회의 모두발언에서, 이번 대통령선거를 "대한민국의 운명을 가르는 선거"라고 규정하고, "이재명 후보와 함께 새로운 대한민국을 반드시 만들어내겠다"고 강조했다.
박 직무대행은 이날 오전 현충원을 방문한 사실을 전하며 "이번 대선에서 승리해 민주주의와 민생을 회복하겠다는 각오를 다졌다"고 밝혔다. 그는 전날 이재명 후보가 당원과 국민의 압도적 지지를 받아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로 선출된 것을 언급하며 "대한민국을 다시 세우려는 간절한 바람과 절박한 염원이 모인 결과"라고 평가했다.
박찬대 직무대행은 현 정부 3년간 민생 파탄, 경제 실패, 공정과 상식의 붕괴가 있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번 대선은 "내란을 종식하고 헌정질서와 민주주의를 회복하며, 무너진 국가 시스템을 재건하는 선거"라며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이재명 후보를 "탁월한 위기관리 능력과 검증된 실력을 갖춘 후보"로 평가하며, 성남시장, 경기도지사, 민주당 당대표를 거치면서 쌓은 실적을 높이 평가했다. 박 직무대행은 "이재명 후보는 수많은 위기를 기회로 바꿔온 인물"이라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낼 적임자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박찬대 직무대행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과 함께 반드시 정권교체를 실현하고, 국민이 주인이 되는 시대를 열 것"이라며, "국민이 행복하고 더 강한 대한민국을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Park Chan-dae Vows to Rebuild South Korea Alongside Lee Jae-myung
By BK Park
Seoul — Park Chan-dae, interim leader and floor leader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더불어민주당), on Monday reaffirmed the party’s commitment to restoring democracy and reviving the nation’s economy, pledging full support for newly nominated presidential candidate Lee Jae-myung (이재명).
Speaking at the party’s 110th Supreme Council meeting held at the National Assembly, Park recalled visiting the National Cemetery earlier that day, renewing his determination to "create a new Republic of Korea" through victory in the upcoming presidential election. He praised Lee’s selection as the Democratic Party’s nominee, attributing it to "the overwhelming support of both party members and the broader public," fueled by a desperate desire to restore democracy and livelihoods.
Park characterized the election as a critical crossroads for the nation, lamenting the past three years as a period of “economic collapse, social disorder, and the erosion of fairness and common sense.” He asserted that the country’s constitutional order and democracy had been trampled, warning that electing a single wrong president had exacted a "severe price."
He outlined the stakes of the election, describing it as essential for ending "internal strife," rebuilding the collapsed national system, and forging a "true Republic of Korea." Park stressed the need for national recovery and growth to overcome the ongoing economic crisis and to ease societal conflicts and polarization.
Highlighting Lee Jae-myung’s track record, Park called him "the optimal candidate" to tackle the nation’s challenges, citing Lee’s achievements as mayor of Seongnam (성남시장), governor of Gyeonggi Province (경기도지사), and party leader. He emphasized Lee’s proven ability to manage crises and deliver tangible results, arguing that Lee could transform today’s adversities into opportunities.
Park concluded by pledging that the Democratic Party, in solidarity with the people, would ensure a transfer of power, usher in an era where "the people are the true masters," and build a stronger, happier South Korea.
25일 최고위원회의 모두발언에 앞서 다른 위원들의 착석을 기다리고 있는 박찬대 원내대표. 사진 - NjTelegraph. Mr. Park Chan-dae, the Democratic Party’s floor leader, waits for fellow members to take their seats before the start of the party’s Supreme Council meeting on Thursday. Photograph by NjTelegraph.
2025년 4월25일. 박찬대 "정부의 내수 기여도 0.1%, 현재의 경제 위기 초래"
국회 ―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은 25일 국회 본청에서 열린 제109차 최고위원회의 모두발언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의 국정 운영 전반에 대해 강도 높게 비판했다. 특히 시정연설을 통한 추경 호소가 이율배반적이라며, “국회를 무시하던 정부가 이제 와서 추경이 시급하다고 말하는 것은 낯뜨겁다”고 밝혔다.
박 직무대행은 정부가 제시한 추경안이 경기 회복에 충분치 않다는 점을 지적하며, 최근 IMF와 한국은행의 경제 성장률 전망 하향 조정을 인용했다. 그는 “경기 침체 국면에서 재정의 역할은 상식이지만, 윤석열 정권은 지금껏 이를 외면해왔다”고 비판했다. 이어 “건전재정과 부자감세 기조 아래 정부의 내수 기여도가 0.1%에 불과했던 지난 3년의 결과가 현재의 경제 위기”라고 지적했다.
대통령비서실의 기록물 이관 작업에 대해서도 비판이 이어졌다. 박 직무대행은 “내란 관련 혐의를 받는 대통령실 인사들이 스스로 기록물을 관리하는 상황에서 공정성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특히 대통령실 홈페이지 셧다운 이후의 기록물 복구 시점과 맞물려, “내란 관련 증거를 훼손하려는 시도가 있었던 건 아닌지 의심스럽다”며 독립적인 점검 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기소와 관련해서는 정치적 의도가 짙다고 주장했다. 박 직무대행은 “대선을 40일 앞둔 시점에서의 기소는 야당과 전직 대통령에 대한 명백한 정치 수사”라고 지적하며, 김건희 여사와 윤석열 대통령, 심우정 검찰총장에 대한 수사는 미온적이면서도, 야당 인사에게는 가혹한 수사를 벌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검찰의 불공정성은 스스로 개혁 대상임을 증명하고 있다”며 검찰개혁의 의지를 재확인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정부의 추경안을 철저히 심사해 부족한 부분을 증액하겠다고 밝히며, 내수 진작과 경제 회복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Selective Power, Economic Failure, and Record Cover-ups”…Democratic Party’s Acting Leader Slams Han Duck-soo
By BK Park, April 25(KST), 2025
Seoul — At the 109th Supreme Council meeting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held on April 25, Acting Party Leader and Floor Leader Park Chan-dae delivered a scathing critique of Prime Minister Han Duck-soo, who currently serves as Acting President.
Park criticized Han’s recent policy shift advocating for an emergency supplementary budget, noting that it contradicted the administration’s prior indifference. “A government that ignored calls for fiscal stimulus for over a year is now claiming urgency in the same hall it previously shunned,” he remarked.
He further denounced the scale and direction of the proposed budget, calling it insufficient to counter the deepening economic downturn. Citing data from the IMF and the Bank of Korea, Park emphasized the administration's failure to respond to declining growth with appropriate fiscal measures. “The government's obsession with fiscal conservatism and tax cuts for the wealthy left domestic contribution to GDP at a mere 0.1% over the last three years,” he said.
Turning to President record management, Park raised concerns about the President’s Office’s role in overseeing the transfer of records related to the December 3 martial law incident. “How can transparency be ensured when individuals suspected of involvement are tasked with managing the documents?” he asked, pointing to the shutdown and subsequent restoration of the presidential website as suspicious timing that warrants independent oversight.
Regarding the indictment of former President Moon Jae-in, Park criticized it as a politically motivated act aimed at damaging the opposition ahead of the upcoming presidential election. “The prosecution has been silent on accusations involving Kim Keon-hee and President Yoon Suk-yeol, but quick to fabricate charges against the opposition,” he argued, labeling the move as part of a broader pattern of political retaliation.
Park reaffirmed the Democratic Party’s commitment to thorough budget review and increasing allocations where necessary to address the economic crisis. He also stressed the need for judicial reform to restore public trust in the legal system.
24일 시정연설을 위해 국회 본회의장을 향해 걷고 있는 한덕수 대통령권한대행. 사진 - NjTelegraph Han Duck-soo, Acting President, walks toward the National Assembly chamber for the budget address on the 24th. Photo – NjTelegraph
2025년 4월24일. 박찬대 “한덕수 출마는 윤석열 부활을 위한 친위 쿠데타"
국회 ―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24일 국회에서 열린 제39차 정책조정회의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의 대선 출마설을 강하게 비판하며, 국민 앞에 불출마를 선언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한 총리가 지난 12.3 내란 사태 당시 책임 있는 조치를 하지 못했으며, 이후에도 내란 주도 세력에 유리한 태도를 보였다고 지적했다.
박 직무대행은 “한덕수 총리는 국민이 이룬 123일간의 혁명에 역행하며 내란 수괴 대행을 자처했고, 민생은 뒷전이었다”고 비판했다. 그는 특히 민주당이 요구한 대규모 추가경정예산안 대신, 정부가 12조 원 규모의 ‘찔끔 추경’을 제출한 점을 경제 회복의지 부족의 증거로 제시했다.
그는 이어 “한덕수 총리가 대선에 출마한다면 그것은 헌정질서 파괴의 제2차 내란이며, 윤석열 부활을 위한 친위 쿠데타와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박 직무대행은 한 총리가 과거 두 차례 국무총리를 역임하고 대통령 권한대행까지 경험한 만큼, 공직자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출마를 포기하고 국정을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박 직무대행은 내란 사건과 관련해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특검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역설했다. 그는 “윤석열은 공판에서 반성 없이 궤변으로 일관하고 있고,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징계 언급조차 정치적 음해로 몰고 있다”며 강한 유감을 나타냈다.
그는 김건희 여사와 명태균 게이트, 홍준표 여론조사 대납 의혹 등을 언급하며 “검찰은 김건희를 소환할 것처럼 하더니 끝내 아무 조치도 하지 않았고, 핵심 인물은 해외로 도피했다”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이에 따라 내란 특검과 김건희 특검을 동시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박 직무대행은 이날 밤 예정된 한미 고위급 통상 협상에 대해서도 “지금은 협상을 타결할 시기가 아니다”라며, 향후 40일간은 협상을 유예하고 다음 정부로 권한을 이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an Duck-soo’s Presidential Bid Called a ‘Coup for Yoon’s Return,’ Says Opposition Leader
By BK Park
SEOUL — April 23, 2025, Park Chan-dae, acting leader and floor leader of South Korea’s main opposition Democratic Party, issued a scathing rebuke of Acting President Han Duck-soo’s rumored presidential ambitions on Wednesday, calling it a “loyalist coup to resurrect Yoon Suk Yeol,” the gonna-be-jailed former president.
Speaking at the 39th Policy Coordination Meeting held at the National Assembly, Park urged Han to renounce any intention to run in the upcoming election and instead dedicate himself to managing a stable transition of power. He accused Han of failing to take responsibility during the December 3 insurrection and aligning himself with the remnants of the anti-democratic forces.
“Han Duck-soo betrayed the 123-day people’s revolution by serving as a proxy for the leaders of the rebellion while neglecting the economy and the people’s livelihoods,” Park said. He criticized the administration’s recently proposed supplementary budget of 12 trillion won ($9 billion), calling it an insufficient gesture in the face of the economic crisis and a sign of the government's unwillingness to pursue genuine recovery efforts.
Park went on to argue that Han’s entry into the race would constitute “a second rebellion against the Constitution” and likened it to “a loyalist coup to bring back Yoon.” Han, who previously served two terms as Prime Minister and also acted as President following Yoon’s impeachment, should consider his long public service complete and step aside, Park said.
Reiterating calls for a special counsel investigation, Park accused Yoon Suk-yeol of continuing to show no remorse in court proceedings and denounced ruling party floor leader Kweon Seong-dong for dismissing calls for Yoon’s punishment as politically motivated.
He also mentioned ongoing scandals involving former First Lady Kim Keon-hee, including the “Myung Tae-kyun Gate” and illicit poll payments linked to Hong Joon-pyo, a People Power Party presidential election candidate. Park criticized the prosecution for its inaction despite early indications of a probe, stating that a key suspect had already fled abroad. The Democratic Party, he said, would push ahead with special investigations targeting both the December 3 incident and Kim Keon-hee.
Park concluded by warning the government against concluding a major trade deal with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remaining 40 days of its term. He urged Korean negotiators to delay any agreement and defer authority to the incoming administration, stressing that this was neither the time nor the government to finalize such high-stakes negotiations.
23일 최고위원회의에 앞서 인사를 하는 김민석, 박찬대(중앙), 전현희 의원. 사진 - NjTelegraph Kim Min-seok, Park Chan-dae (center), and Jun Hyun-hee greet attendees ahead of the Supreme Council meeting on the 23rd. Photo – NjTelegraph
2025년 4월23일. 박찬대 “내란 특검 조속 재발의할 것”
국회 ―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23일 국회에서 열린 제108차 최고위원회의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국민의힘을 강하게 비판하며 내란 특검의 조속한 재발의를 예고했다.
내란 특검은 윤석열의 내란을 검찰이 제대로 수사를 하지 않기 떄문에 필요한 것으로 그동안 대통령 대행들이 계속 거부해왔다.
박 직무대행은 “윤석열 피고인이 계엄을 ‘가치중립적 법적 수단’이라 강변하며 내란을 정당화했다”며 “이는 반성과 성찰 없이 헌정질서를 파괴하려는 시도”라고 지적했다. 이어 한덕수 국무총리 권한대행의 대선 출마 움직임에 대해 “내란 방조자인 그가 권한대행이라는 존재 이유를 망각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한 정부 부처 내 ‘내란 동조 세력’의 알박기 인사가 계속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에 대해서는 “내란 동조 정당임에도 대국민 사과도, 윤석열과의 결별도, 특검 수용도 외면하고 있다”며 “이들은 내란 은폐와 연장을 위해 신당 창당과 특검 반대 등 국정농단을 지속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 원내대표는 “계엄블루의 고통을 국민이 여전히 호소하고 있고, 경제는 계엄 청구서에 허덕이는 상황에서 내란 패밀리는 오히려 대선 출마를 운운하고 있다”며 “이는 헌정 파괴 선언이자 법치 몰살의 협작”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민주당이 강화된 내란 특검 법안을 조속히 발의해 사건의 진실을 반드시 규명하겠다고 밝혔다.
핵무장 공약을 내건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들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이들이 자극적인 공약으로 외교적 고립과 경제적 피해를 자초하고 있다”며 “비핵화 원칙을 깨는 핵무장론은 NPT(핵확산금지조약)를 위반하고 한미동맹을 위협하는 위험한 포퓰리즘”이라고 지적했다.
박 직무대행은 “국민의힘이 지난 3년간 민생을 파탄 낸 데 이어, 이제는 안보까지도 파탄시키려 한다”며 “중대한 외교·안보 사안을 ‘포퓰리즘’으로 접근하는 무책임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또한 “국익을 해치는 설익은 공약은 오히려 국민 불안을 키운다”며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한편, 내란 특검에 대해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이번 주안에 발의를 할 것"이라고 백브리핑에서 밝혔다.
#박찬대 #윤석열 #내란특검 #국민의힘 #계엄블루 #내란패밀리 #핵무장공약 #법치주의
영어 해시태그: #ChanDaePark #YoonSukYeol #MartialLawProbe #PopulismWarning #RuleOfLaw
Park Vows Swift Relaunch of Martial Law Probe Amid Mounting Political Tensions
By BK Park
Seoul — Acting Democratic Party leader and floor leader Park Chan-dae on Tuesday renewed calls for an independent counsel to investigate former President Yoon Suk Yeol’s alleged role in the December 3 martial law conspiracy, signaling his party's intent to reintroduce the special prosecution bill within the week.
Speaking at the 108th Supreme Council meeting held at the National Assembly, Rep. Park condemned Yoon’s recent courtroom remarks justifying martial law as a “neutral legal tool,” calling them an attempt to rationalize what he described as an assault on constitutional order.
The proposal for a new special prosecutor has gained traction following what critics say is prosecutorial inaction, with past acting presidents refusing to authorize such an investigation.
Park accused Prime Minister Han Duck-soo, who is currently serving as acting president, of both enabling the alleged conspiracy and neglecting his constitutional responsibilities by entertaining a presidential bid.
Park further charged that key government agencies, including the Ministry of Justice and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remain infiltrated by figures sympathetic to Yoon’s alleged efforts, and accused the ruling People Power Party (PPP) of being “complicit in the cover-up” and “dodging both an apology and accountability.”
“The people still suffer under the shadow of 'Martial Law Blues', and our economy reels under the burden of the coup’s consequences,” Park said. “Yet the so-called 'Coup Family' is eyeing the presidency, blocking the probe, and plotting new political parties.”
He pledged that the Democratic Party’s reintroduced special counsel bill would feature stronger legal provisions and reaffirmed that only an independent investigation could fully expose the truth behind what he called a “historic assault on democracy and the rule of law.”
Park also criticized the rising rhetoric of nuclear armament among PPP presidential hopefuls. Without naming names, he warned that such proposals undermine South Korea’s long-standing denuclearization policy, breach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NPT), and endanger the U.S.-South Korea alliance.
“These populist pledges won’t protect the nation—they will isolate it diplomatically and wreck it economically,” Park asserted. “The People Power Party, having devastated livelihoods for the past three years, now appears ready to sabotage national security.”
Later, Democratic Party spokesperson Hwang Jung-a told reporters that the party plans to introduce the new special counsel bill “within this week,” stressing the urgency of institutional accountability.
#ChanDaePark #YoonSukYeol #MartialLawProbe #PopulismWarning #RuleOfLaw
22일 원내대책회의에서 현 과도정부에 미국과의 협상을 서둘지 말라고 경고하고 있는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사진 - NjTelegraph Park Chan-dae, floor leader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warns the current interim administration not to rush negoti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during a party strategy meeting at the National Assembly on the 22nd. Photo – NjTelegraph
2025년 4월22일. 박찬대 “한미 통상 협상, 국익 우선·결정은 차기 정부로 넘겨야”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2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제37차 원내대책회의 모두발언에서 오는 24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고위급 통상 협상을 겨냥해 “어떠한 최종 결론도 지금 정부가 내리지 말아야 한다”며 협상 권한을 차기 정부에 넘길 것을 촉구했다.
이번 협상에는 최상목 경제부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참석해 스캇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와 회담할 예정이다. 의제는 조율 중이나 관세와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 문제 등이 논의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은 대선 유세 당시부터 한국을 '머니 머신(Money Machine)'이라 부르며, 한국이 방위비 분담금으로 100억 달러를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또한,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은 동맹국에 대한 방위비 증액 압박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한 새로운 지침을 내부적으로 공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내에서는 현재의 과도 정부가 방위비 분담 문제 등 중대한 결정을 내리지 않고 44일 후에 출범하는 차기 정부에 이양해야 한다는 여론이 들끓고 있다. 심지어 정부 편에 서 있는 국민의힘 대선 후보인 나경원 의원마저도 “협상 타결을 서두르다가는 최대한 양보를 얻어내려는 미국의 압박 속에서 ‘졸속 합의’의 길로 들어설 수 있다. 한미 간 협상은 대부분 국회 비준 동의나 국민적 공감대가 필요한 사안들이다. 특히 수십조 원의 투자가 필요한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사업은 경제성과 장기적 에너지 전략을 종합 검토해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 필요한 것은 속도가 아니다. 안보·통상 협상 유예 기간을 더 늘려 우리에게 유리한 협상을 끌고 오는 것이다.”라고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다.
나 의원은 “범정부 실무선에서는 치밀하게 준비하고 협상에 임하되, 최종적인 담판과 결정은 우리 국익에 가장 유리한 타이밍에 해야 한다. 우선 협상자라고 하지만, 자칫 섣부르게 대응했다가는 좋지 않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다른 국가와의 협상과 한미 양국의 정세를 면밀히 살피며 윈윈 카드를 적극 활용하고, 경제와 안보 이슈를 분리하는 등 실리적 접근으로 시간을 벌며 국익을 극대화할 전략을 짜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의 박 원내대표도 “정부 협상단은 국익을 최우선 기준으로 삼고, 줏대 있게 협상에 임해야 한다”며 “국민과 민주당은 이번 협상이 차기 정부의 권한으로 남겨지길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최근 한덕수 국무총리와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간의 통화 내용을 언급하며 “우리가 가진 협상 카드를 이미 모두 노출해 버린 것이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트럼프는 통화 직후 관세와 방위비를 묶어 ‘원스톱 쇼핑(one-stop shopping)’이라며 재협상을 압박하고 있다”며, “이는 한덕수 총리의 경솔하고 무책임한 태도로 인해 대한민국이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경고”라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국익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정부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며, “협상 결과는 향후 출범할 새 정부가 결정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박 원내대표는 이날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혐의 재판과 관련된 발언도 이어갔다. 그는 “윤석열 피고인이 카메라를 향해 웃는 모습은 반성과 책임 의식이 결여된 것”이라며, “헌정 질서를 파괴한 내란 사태를 끝내기 위해서는 압도적 정권 교체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 원내대표는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12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두고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이 되기엔 턱없이 부족하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박 원내대표는 “내수 침체와 소비 위축 극복을 위해선 대규모 추경이 필요하다고 여러 차례 요구해왔고, 대형 산불과 미국과의 통상 분쟁 등 새로운 변수까지 고려하면 정부안은 너무 작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정부 추경안 가운데 통상 및 재난 대응 분야에 7조 6천억 원이 배정된 반면, 민생 지원 분야는 4조 3천억 원에 그쳐 전체의 3분의 1 수준이다.
특히 그는 “정부가 재해 재난 예비비 외에도 일반 예비비 4천억 원을 슬그머니 끼워 넣었다”며, 기획재정부의 태도에 대해 “국민 세금을 가지고 꼼수를 부리고 있다”고 강도 높게 질타했다. 이어 “지난 3년간 이런 운영이 민생과 경제를 망가뜨렸다”고 언급하며, 최상목 경제부총리를 겨냥해 “경제 폭망의 책임자”라고 비판했다.
Korean Opposition Leader Urges Caution on U.S. Trade Talks, Calls for Delay Until New Government Takes Office
By BK Park, April 22, 2025
Seoul ― South Korean opposition floor leader Park Chan-dae urged the current administration not to finalize any agreements in the upcoming high-level trade talks with the United States, stressing the need to prioritize national interest and defer key decisions to the incoming government set to take office in 44 days.
Speaking at a party policy meeting at the National Assembly on Monday, Park, a senior member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called on Seoul to avoid concluding negotiations prematurely ahead of the April 24(KST) talks in Washington, D.C. Finance Minister Choi Sang-mok (최상목) and Industry Minister Ahn Duk-geun are expected to meet with U.S. Treasury Secretary Scott Besent and U.S. Trade Representative Jamison Greer, with tariffs and defense cost-sharing among the main agenda items.
Public sentiment in South Korea is largely opposed to the interim government making long-term decisions, particularly regarding defense contributions. Even Na Kyung-won, the ruling People Power Party’s presidential candidate, echoed calls for caution. She warned that rushing negotiations under pressure from the U.S. could result in a lopsided agreement, referencing the extensive investments tied to projects like the Alaska LNG deal, which she said must be carefully evaluated in terms of national strategy.
Rep. Na emphasized that while working-level talks should proceed with thorough preparation, final decisions must align with optimal timing for Korea's interests. She advocated a pragmatic, issue-separating approach that would allow South Korea to secure more favorable outcomes while buying time in the negotiation process.
Rep. Park criticized Prime Minister Han Duck-soo’s recent phone call with former U.S. President Donald Trump, arguing that the administration had effectively exposed its negotiating position. Following the call, Trump described the defense and tariff discussions as a "one-stop shopping" deal, signaling an aggressive stance on renegotiation.
Citing the call, Rep. Park accused Han of jeopardizing South Korea’s negotiating leverage and potentially causing significant national losses through reckless diplomacy. He reiterated that any deal from the Washington talks should be left to the incoming administration to conclude.
On the same day, Park commented on former President Yoon Suk-yeol’s trial for alleged insurrection, denouncing his demeanor in court and calling for a decisive regime change to restore constitutional order.
Additionally, Park criticized the government’s supplementary budget proposal of 12 trillion won ($8.57 billion), labeling it insufficient for addressing domestic economic challenges. He pointed out that while 7.6 trillion won ($5.43 billion) was allocated to trade and disaster response, only 4.3 trillion won ($3.07 billion) was dedicated to livelihood support—less than a third of the total. He also condemned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for discreetly adding 400 billion won ($286 million) in general reserves, accusing it of fiscal trickery.
In a pointed remark aimed at Finance Minister Choi, Park blamed him for the economic downturn of the past three years, calling him a symbol of policy failure.
#ParkChandae #USKoreaTrade #NaKyungwon #DonaldTrump #YoonTrial
2025년 4월10일. "이완규 헌재 재판관 지명은 제2의 친위 쿠데타"
더불어민주당은 10일 국회 본청에서 열린 제37차 정책조정회의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 본격화된 조기대선 정국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박찬대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번 조기대선을 “헌정 수호와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역사적 분기점”이라고 규정하며 국민의힘과 윤석열 전 대통령을 강하게 비판했다.
박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이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해 어떠한 징계 조치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내란 세력이 다시는 발붙이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대선을 “상식과 정의 대 몰상식과 불의의 대결”로 규정하며, 더불어민주당이 6월 3일 대선에서 승리해 “국가 정상화”를 이뤄내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박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이 이번 대선 후보를 낼 자격이 없다며, 내란 사태의 책임 정당이 후보를 낸다면 국민의 심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그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지목된 한덕수 국무총리가 최근 헌법재판소 재판관으로 이완규 변호사를 지명한 데 대해 강한 반발을 나타냈다.
그는 한 총리의 지명 권한에 대해 “헌법상 대통령만이 헌법재판관을 지명할 수 있다”는 헌법재판소와 국회 입법조사처, 학계의 견해를 언급하며, 이번 지명을 “위헌·위법한 권한 남용”이라고 규정했다. 또한 한 총리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지시로 헌재를 장악하려 한다며 이를 “제2의 친위 쿠데타”로 표현했다.
이완규 변호사에 대해서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개인적·정치적 연루를 지적하며, 검찰총장 시절 변호인, 대선 캠프 법률자문, 장모 사건 변호 등을 맡았던 대표적인 친윤 인사라고 밝혔다. 박 원내대표는 이 변호사가 12.3 사태 당시 주요 관계자들과의 회동, 휴대전화 교체 등 행위로 내란 방조 혐의도 받고 있다며, 헌재 재판관 지명은 “헌법 파괴 행위”라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헌법재판관 지명 철회를 요구하며, 한덕수 총리에게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박 원내대표는 “한 총리가 대통령직을 노리고 있다면 그 꿈은 헛된 망상”이라며, 헌법을 파괴하는 자가 다시 국민의 선택을 받으리라 믿는 것은 착각이라고 비판했다. 끝으로 그는 한 총리를 “120년 전 을사오적”에 비유하며, 역사의 죄인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조기대선정국
#윤석열파면
#헌재지명논란
#민주당입장
#헌정수호
2025년 4월7일. "국힘은 대선 후보 낼 자격 없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4월 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과 관련해 “국민의힘은 대통령 보궐선거에 후보를 낼 자격이 없다”며 강도 높은 비판을 이어갔다.
박 원내대표는 “이번 대통령 보궐선거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행위로 인해 발생한 것”이라며, “국회예산정책처 추계에 따르면 이로 인한 선거 비용만 4,949억여 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어 “국민의힘이 최소한의 염치가 있다면 후보를 내지 말아야 한다”며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했다.
그는 “국민의힘은 윤석열을 내란 수괴로 만든 주역이자 비호자였고, 파면 이후에도 출당 등 최소한의 조치조차 하지 않았다”며, “누가 보더라도 명백한 내란 동조 정당”이라고 규정했다. 박 원내대표는 특히 “21대 국회에서 재보궐 선거 책임 법안을 8건이나 발의했는데, 그 중 7건은 국민의힘이 낸 법안”이라며, “스스로 낸 법안의 정신을 따르라”고 강조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대선 당시 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박 원내대표는 “허위사실 공표, 불법 여론조작, 공천 개입 등으로 이미 당선무효형에 해당할 정황과 증거가 넘친다”며, “기소하지 않는다면 검찰은 정치적 편파 수사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윤 전 대통령이 당선무효형을 받을 경우, 국민의힘이 당시 수령한 397억 원의 보조금도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를 향해서는 “헌법 수호, 내란 진압, 공정한 대선 관리를 위한 책임을 다하라”며, 대통령기록관장에 윤석열 정부 인사를 임명하려는 움직임을 두고 “내란 관련 증거 인멸 시도”라는 의혹까지 제기했다. 또한 “내란 재판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관련 기록물은 전면 공개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박 원내대표는 “새 정부 출범 전까지 고위공직자 인사와 공공기관 인사를 전면 동결해야 한다”며, “부당한 채용과 낙하산 인사에 대해서는 끝까지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박찬대 #대통령보궐선거 #내란책임 #국민의힘 #윤석열파면
2025년 4월4일. 박찬대 “윤석열 파면은 국민의 승리…내란 잔불까지 완전히 꺼야”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4일 오후 국회 본청 246호에서 열린 제75차 비상의원총회 모두발언에서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결정을 “국민이 일군 민주주의의 승리”라고 평가하며, 내란 사태의 책임자들에 대한 단호한 조치를 촉구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윤 전 대통령이 국회를 군사력으로 침탈한 지 123일째 되는 날, 헌재가 만장일치로 파면을 결정했다”며 “이는 국민 주권과 헌정 질서를 수호한 정의로운 판단”이라고 밝혔다. 그는 헌재 재판관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며, 이번 판결이 대한민국이 민주공화국임을 다시 증명한 계기였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지난 겨울부터 봄까지 거리를 지킨 시민들의 목소리를 언급하며 “헌법 제1조를 몸소 증명한 국민의 헌신에 깊은 존경과 감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윤 전 대통령이 파면 결정 후에도 반성이나 사과 없이 침묵하고 있다며, 헌법 파괴와 내란 행위에 따른 책임은 반드시 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국민의힘에 대해 “윤석열을 비호하고 내란에 동조한 책임이 크다”며, 당내 윤 전 대통령 제명과 관련 의원 징계를 촉구했다.
그는 “그것이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라고 밝혔다. 박 원내대표는 헌정질서가 무너졌던 지난 넉 달 동안 민주주의뿐 아니라 경제와 민생 역시 큰 타격을 입었다고 진단하며, “국회가 이제 국민의 헌신에 책임 있게 응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내란의 상처를 치유하고, 남은 불씨까지 완전히 꺼야 할 때”라며 당내 의원들에게 책임 있는 자세를 당부했다. 끝으로 박 원내대표는 “이번 빛의 혁명을 완수하는 것은 민주당의 사명”이라며, 민주주의를 지켜낸 국민의 뜻에 부응해 더 나은 나라를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국회의원 박찬대 재산내역 공개 (2024년 12월31일 기준, 2025년 3월28일 발표)
박찬대 원내대표가 2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2025년 3월21일. 헌법재판소는 왜 거북이 걸음인가?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심우정 검찰총장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 원투 펀치를 날렸다.
박 원내대표는 심우정 총장에 대해 "윤석열 구속 취소를 지휘한 심우정 검찰총장은 윤 대통령 부인 김건희의 오빠 김진우와 휘문고 동창"이라며, 검찰과 윤 대통령 측근 간의 유착 의혹을 거론하며 원펀치, 최상목 부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을 겨냥해 "헌법 수호의 책무를 다할 기회가 주어졌지만 그는 이를 거부했다"며 투펀치를 날렸다.
박 원내대표는 인천검사장이었던 심우정과 김건희 측의 유착관계 등을 두 개의 상설특검법(인천세관 마약 수사외압 의혹 관련 특검법, 김건희 상설특검법)을 통해 파헤칠 것이라고 다짐했다. 그는 이어 "헌법 수호의 책무를 저버린 자는 공직자로서 자격이 없다"며 "최상목 대행은 윤석열이 무너뜨린 헌정 질서를 바로 세워야 할 자리에 있으면서 오히려 내란 종식을 방해하고 국헌 문란 행위를 일삼았다"고 덧붙였다.
박 원내대표는 "최상목 대행은 내란 종식과 국가 정상화의 걸림돌"이라며 "누구든 헌정 질서를 유린하는 자는 처벌받는다는 원칙을 세우는 것이 내란으로 무너진 헌정 질서를 바로 세우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탄핵되면 자리에서 내려오겠다고 한 최상목은) 비겁하게 도망가지 말고 법의 심판을 받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밖에 "헌법재판소가 다음 주 월요일 한덕수 총리 탄핵심판 선고를 하기로 했다"며 "최우선 처리하겠다고 했던 윤석열 선고 일정조차 잡히지 않은 상황에서 한 총리를 먼저 선고하는 것을 납득할 국민이 얼마나 있겠느냐"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윤석열은 잘못을 반성하기는커녕 끝없는 선동으로 헌정 질서를 유린하고 있다"며 "윤석열 파면이 늦어질수록 나라와 국민이 입을 피해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질 게 자명한데, 헌법재판소는 왜 거북이 걸음인지 국민들이 묻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진- 박찬대TV
2025년 3월20일. 헌재 앞 기자회견 "윤석열 파면을 국민은 이미 결정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20일 오후 헌법재판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신속한 파면 선고를 촉구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오늘은 12.3 내란 사태 발생 108일째, 국회가 탄핵소추안을 가결한 지 98일째 되는 날"이라며 "헌법재판소가 탄핵 심판 변론을 종결한 지 24일이 지났음에도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파면 선고 일정이 잡히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윤 대통령보다 늦게 탄핵된 한덕수 총리의 선고가 먼저 진행되는 것을 국민이 납득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12.3 사태 이후 경제적·외교적 피해가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미 국내총생산(GDP) 6조 3천억 원이 증발했고, 생산·소비·투자 심리 모두 최악"이라며 "OECD는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1.5%로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국제사회가 한국을 ‘독재화가 진행되는 나라’, ‘결함 있는 민주주의 국가’로 평가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사회적 혼란과 불안정도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 원내대표는 "내란 잔당의 증거인멸과 보복이 현실화하고 있고, 폭도들의 불특정 다수에 대한 난동과 위협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오늘 아침 헌법재판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하던 더불어민주당 백혜련 의원이 극우 세력의 달걀 투척 공격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그는 "경찰이 이를 목격하고도 방관한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극우 폭도들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엄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 원내대표는 "12.3 내란 사태를 끝내고 대한민국을 정상화하는 첫 번째 조건은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이라며 "12월 3일 밤, 헌정질서와 민주주의를 군홧발로 짓밟은 윤 대통령의 행태를 국민이 목격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윤석열 파면을 국민은 이미 결정했다"며 "헌법재판소가 만장일치 파면 선고를 내리는 것이 당연한 수순"이라고 주장했다.
끝으로 그는 "헌법재판소는 헌법과 민주주의를 수호하는 최후의 보루"라며 "신속하고 단호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국민이 헌법재판소의 역할을 주시하고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경고하며 기자회견을 마쳤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가 삭발식에 참여한 세 의원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 사진-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2025년 3월11일. @삭발식, 박찬대 원내대표 "(삭발의 각오로) 주권자 국민과 함께 하겠다"
11일 오후 1시30분, 국회 본관 계단 앞에서 삭발식이 열렸다.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조기 파면 촉구 삭발식'을 열고 헌법재판소의 조속한 탄핵 심판을 촉구했다. 삭발식에 참여한 세 의원은 박홍배, 김문수, 전진숙 의원이었다.
박홍배 의원은 “지금 국민은 밤잠을 제대로 주무시지 못하고 있다. 3권 분립을 존중해야 할 대통령은 군대를 동원했다. 검찰은 권력자의 시녀로 전락했다. 헌법 질서가 무너지는데 내란수괴는 여전히 법의 심판을 받지 않고 있다. 더는 기다릴 수 없다. 독재자를 가만 둬서는 안 된다. 헌법재판관님, 부디 국민의 뜻을 거스른 권력을 심판해주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김문수 의원은 “윤석열은 불법한 판사와 검찰 총장의 도움으로 ‘탈옥’했다. 대한민국이 혼란에 빠졌다. 국민은 불안해하고 불면증에 시달리고 있다. 헌법재판관은 대한민국이 더는 혼란에 빠지지 않도록 윤석열에 대한 조속한 파면을 선고해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전진숙 의원은 “5.18때 초등학생이었고 광주에 있었기에 계엄이 무엇인지 너무나 잘 안다. 계엄 이후 저는 밥을 제대로 먹을 수 없었고 잠을 제대로 잘 수가 없었다. 수천만 국민이 똑같은 마음일 것이다. 불안을 가중시킨게 윤석열의 석방이었다. 믿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났다. 계엄 선포하고 내란을 책동했던 자를 법원과 검찰이 풀어줬다. 이 분노를 이 화를 어떻게 억누를까. 많은 분들이 저에게 문자를 보내왔다. ‘단식의 단자도 꺼내지 마라. 윤석열을 파면시키는데 힘쓰라‘고 했다. 그래서 단식 대신 삭발에 동참하게 됐다. 국민이 윤석열 파면을 절절히 원한다는 것을 헌법재판관들이 알아주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야5당의 의원들은 윤석열이 파면될 때까지 최선을 다할 것이다. 주권자 국민 앞에서 말씀드린다. 주권자 국민과 함께 하겠다”라고 말했다.
이날 삭발식에는 많은 민주당 의원들이 나와 세 의원을 격려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윤석열을 파면하라”는 구호를 외치고 이 행사를 마쳤다.
2025년 3월09일. 심우정은 사퇴하라!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10일 국회 로텐더홀 계단에서 규탄대회를 갖고 심우정 검찰총장 사퇴와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요구했다.
박 원내대표는 "다른 사람도 아닌 국민을 상대로 총부리를 겨눴던 내란수괴가 버젓이 거리를 활보할 수 있다는 상황을 어떤 국민께서 납득하시겠느냐"며 윤 전 대통령의 즉각적인 파면을 촉구했다.
박 원내대표는 12.3 비상계엄 사태를 거론하며 "평온했던 저녁, 느닷없이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경찰과 군대를 동원해 국회를 통제하는 모습을 온 국민이 생중계로 지켜봤다"며 "비상계엄이 헌법과 법률에서 정하는 요건과 절차를 중대하게 위배했으며, 이는 영구집권을 획책한 친위 쿠데타"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헌정 질서와 민주주의를 파괴한 12.3 비상계엄으로 인해 국가 경제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다"며 "비상계엄으로 GDP 6조 3천억 원이 증발했고, 윤 전 대통령의 구속 취소 소식에 주가는 폭락하고 환율이 치솟았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헌법재판소의 신속한 결정을 촉구했는데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심판 변론이 종결된 지 14일째로, 과거 대통령 탄핵 심판 절차를 고려하면 선고를 내리기에 충분한 시간이 지났다"며 "쟁점이 명확하고 증거가 넘치는 만큼 헌법재판소가 신속하게 선고를 내려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대한민국의 운명이 걸려 있다는 점을 명심해달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박 원내대표는 심우정 검찰총장의 즉각적인 사퇴를 요구했다. 그는 "심 총장은 이번 사태의 가장 큰 책임이 있다"며 "구속 기간 연장을 불허한 법원의 결정에도 불구하고 즉시 기소하지 않고 검사장 회의를 여는 등 시간을 허비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더불어민주당은 심 총장에 대한 즉각적인 고발 조치를 취하고, 스스로 사퇴하지 않을 경우 탄핵을 포함한 모든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경고했다.
이병철 변호사,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 취소 관련 공수처 고발
한편, 법률 전문가인 이병철 변호사는 윤 전 대통령의 구속 취소 및 항고 포기와 관련해 심우정 검찰총장과 지귀연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를 공수처에 고발한다고 밝혔다.
이 변호사는 "형사소송법상 구속기간은 '날'로 산정하도록 명시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권력자에게 유리하게 '시간'으로 적용하여 형사사법 시스템에 대혼란을 야기했다"며 "이는 헌법이 보장하는 법 앞의 평등을 정면으로 위반한 행위"라고 주장했다. 그는 "특수본이 강하게 반발했음에도 불구하고 법원의 잘못된 결정을 바로잡을 수 있는 즉시항고를 포기하고 윤 전 대통령의 석방을 지휘한 심우정 검찰총장을 직권남용 및 직무유기 혐의로 공수처에 고발한다"고 밝혔다.
고발장 접수는 3월 10일 오전 11시 공수처 고객안내센터 앞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고발인은 시민단체 ‘사법정의바로세우기시민행동(사세행)’이며, 피고발인은 지귀연 부장판사와 심우정 검찰총장이다.
이 변호사는 "윤석열 전 대통령 석방 결정으로 인한 국가적 혼란을 바로잡고 헌법 질서를 수호하기 위해 적극적인 이웃들에게 알려주실 것을 부탁한다"고 덧붙였다.
7일 긴급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는 박찬대 원내대표. 사진 -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2025년 3월7일. 윤석열 구속취소 결정에 유감 표명…검찰 즉시 항고 촉구
더불어민주당은 7일 윤석열 피고인의 구속취소 결정을 두고 강한 유감을 표하며, 검찰이 즉시 항고를 통해 국민적 상식에 부합하는 판단이 나오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윤석열이 법률과 헌법을 중대하게 위반한 사실은 변함이 없다"며 "더불어민주당은 내란의 신속한 종결을 위해 모든 조치를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용우 의원은 "이번 구속취소 결정과 관련해 어떠한 헌재의 판단도 없었다"며 "이를 헌재 판단과 결부시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구속적부심 청구 기간을 시간으로 계산한 점과 체포적부심 기간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점이 핵심 쟁점이었으며, 법원이 이 사안에 대해 변호인 측 주장을 모두 수용한 것은 전례 없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박균택 의원은 "사법부의 판단을 존중하지만, 동의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라고 말했다. "과거에는 구속기간을 날짜 단위로 계산해왔으나, 이번 사건에서 처음으로 시간을 기준으로 삼았다"며 "이러한 판단이 윤석열 피의자에게만 적용된 것은 매우 의아한 일"이라고 박 의원은 비판했다.
그는 "즉시 항고를 통해 법원의 판단을 다시 검토받아야 할 사안"이라며 "과거의 관행과도 다르기 때문에 항고심에서 다시 한 번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검찰이 항고를 하지 않을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도 입장을 밝혔다. 박균택 의원은 "검찰이 구속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영장을 청구했고, 법원도 이를 받아들였다"며 "이제 와서 검찰이 입장을 바꾸어 석방해야 한다고 주장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 즉시 항고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석열 피고인의 보석 청구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이 나왔다. 박균택 의원은 "지금까지 여러 차례 보석을 신청해 왔던 만큼, 항고가 받아들여질 경우 이번에도 보석 청구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며 "다만 이는 사법 절차상 별개의 문제이므로 크게 평가하고 싶지는 않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구속취소 결정이 형사 재판에서 내란죄의 실체적 판단과는 무관하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이용우 의원은 "공소제기는 여전히 유효하며, 내란범으로서의 법적 구성요건도 변함이 없다"며 "헌재의 탄핵심판과도 무관한 결정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법원이 변호인 측 주장을 참고한다고 했을 뿐, 피고인의 혐의가 무죄라는 판단을 한 것이 아니다"며 "검찰이 즉시 항고를 통해 사법부의 입장을 다시 한 번 확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민주당은 구속취소 결정과 관련해 검찰의 의도적 시간 계산 착오 가능성을 제기한 일부 의원들의 주장에 대해서는 당의 공식 입장이 아니라고 밝혔다. 박균택 의원은 "검찰의 의도가 어땠는지 단정할 수는 없지만, 즉시 항고를 통해 법적 절차를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내란 피고인 윤석열에 대한 법원의 판단이 유감스럽지만, 이는 내란죄의 성립 여부와는 별개의 문제"라며 "검찰이 즉시 항고해 구속 취소 여부를 다시 한 번 판단받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2025년 2월27일. 박찬대 “명태균 게이트가 12.3 내란 사태의 트리거”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27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야5당과 함께 ‘명태균 특검법’을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박 원내대표는 “명태균과 윤석열·김건희의 여론 조작 및 부정선거 의혹, 김건희의 공천 개입 국정농단 의혹을 밝혀내는 것이 특검의 핵심”이라며 “윤석열 대통령이 이를 덮기 위해 12.3 내란 사태를 일으켰다”고 주장했다.
박 원내대표는 작년 10월 31일 민주당이 윤 대통령의 공천 개입을 입증할 육성을 공개한 사실을 언급하며, “윤석열이 ‘당에서 말이 많네’라고 했던 명태균과의 통화 녹취록이 그 증거”라고 말했다. 이어 11월 4일 창원지검이 명태균과 윤 대통령 부부의 대화를 담은 수사보고서를 작성했고, 11월 7일 윤 대통령이 기자회견을 열어 관계를 부인하며 김건희 특검법이 헌법에 반한다고 주장했다고 설명했다.
민주당 주도로 11월 14일 국회 본회의에서 김건희 특검법이 통과됐으나, 윤 대통령은 11월 26일 거부권을 행사했다. 이후 명태균이 구속되고,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특검법 재의결에 대한 입장을 바꾸면서 윤 대통령이 초조해졌다는 것이 박 원내대표의 주장이다. 그는 “명태균이 구속 전에 한 언론사 기자에게 통화 녹음 파일이 담긴 USB를 건넸고, 김건희 여사가 해당 매체 폐간을 언급할 정도로 격노했다”고 밝혔다. 이어 “12월 2일 명태균이 황금폰 공개를 예고하자 윤석열은 다음 날 비상계엄을 선포했다”며 “명태균 게이트가 12.3 내란 사태의 트리거”라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명태균 특검은 정쟁이 아니라 헌정질서를 바로잡고 민주주의를 회복하기 위한 것”이라며 “윤 대통령 부부가 명태균과 야합해 벌인 범죄의 증거는 충분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이 특검을 반대하는 이유에 대해 “여전히 김건희가 V0이며, 국민의힘이 범죄 옹호 정당이기 때문”이라며 “양심 있는 의원들이 있는지 국민이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윤석열 파면은 민생 회복과 경제 정상화의 길”이라며 “12월 3일 국회로 무장한 채 쳐들어온 장면을 국민은 잊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비상계엄으로 GDP 6조 3천억 원이 날아갔고, 윤석열이 복귀하면 국가가 폭동과 무법천지로 변할 것”이라며 “파면이 나라를 정상화하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끝으로 “국민의힘은 내란을 옹호하고 사법부에 대한 폭동을 선동하는 등 반국가적 행위를 해왔다”며 “권영세 비대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는 즉시 사과하고 헌법재판소 결정에 승복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2025년 2월14일. "김건희, 12.3 내란 연루된 거 아닌가?" - 박찬대 원내대표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12.3 비상계엄 개입 가능성을 제기하며 철저한 조사를 촉구했다.
박 원내대표는 14일 국회 최고위원회의에서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계엄 선포 하루 전 김 여사와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았다는 사실을 인정했다고 밝혔다. 박 원내대표에 따르면, 조 원장은 김 여사로부터 두 건의 문자를 받은 후 다음 날 답장을 보냈으나, 해당 메시지의 내용을 기억하지 못한다고 답변했다.
이에 대해 박 원내대표는 “평소 연락을 주고받는 사이는 아니라고 하면서도 계엄 직전 주고받은 문자의 내용을 기억하지 못한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민간인 신분의 김건희가 국정원장과 연락을 주고받아야 할 이유가 무엇인지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김건희가 경호처의 비화폰을 지급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만큼, 계엄 논의와 실행 과정에 개입했는지 수사해야 한다”며, “12.3 비상계엄이 명태균 게이트를 덮기 위한 조치라면 김 여사가 깊이 연루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박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이 명태균 특검법을 반대하는 것에 대해서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전날 명태균 특검을 “여당을 겨냥한 자객 특검”이라며 반대했다고 언급하며, “불과 일주일 전에는 ‘추진하려면 해보라’고 하더니 갑자기 태도를 바꾼 이유가 궁금하다”고 말했다.
또한, 박 원내대표는 명태균 측 변호사의 발언을 인용하며 “특검을 반대하거나 답변을 회피하는 자들이 명태균 사단”이라는 논리를 강조했다. 그는 “이 논리대로라면 권 원내대표 역시 오세훈 서울시장, 윤상현 의원과 마찬가지로 무언가 숨기고 있는 것이 아니냐”고 지적했다.
그는 과거 국민의힘이 명태균을 ‘사기꾼’이라고 비난했던 점을 언급하며, “그렇다면 오히려 특검을 통해 진실을 밝히고 억울함을 해소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특검을 거부하는 것이 오히려 의혹을 키울 뿐”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박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발표한 35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안을 언급하며 신속한 논의를 촉구했다. 그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권한대행도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추경의 필요성을 인정한 만큼 논의가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12.3 비상계엄 이후 얼어붙은 경제를 살리고 민생 회복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며, 국민의힘과 정부가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 적극 협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2025년 2월7일. 최상목은 내란 대행인가?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검찰의 내란 수사 태도를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검찰이 내란 수사를 축소·은폐하고 있다”며 “비화폰 수사를 방해하는 것이 대표적 사례”라고 지적했다.
박 원내대표는 “12.3 내란의 핵심 인물들은 경호처가 지급한 비화폰을 사용했다”며 “특수전·방첩·수방사령관 등은 지난해 4월 경호처에서 비화폰을 지급받았고,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도 경호처 비화폰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그는 “내란 당일 윤석열 대통령이 경호처 비화폰으로 국회 진입과 국회의원 체포 등을 지시했다”며 “내란 핵심 세력들의 통화 내역을 확인하는 것이 사건의 전모를 밝히는 데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비화폰 수사의 핵심은 경호처가 보관하고 있는 서버의 압수수색인데, 이를 가로막고 있는 인물이 김성훈 경호차장”이라며 “김 차장은 계엄 하루 전 비화폰을 민간인에게 제공했고, 계엄 해제 이후에는 증거 인멸을 위해 불출 대장 삭제를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나 검찰은 김성훈 차장에 대한 경찰의 구속영장 신청을 두 차례나 반려했다”며 “검찰이 내란 사건을 축소·은폐하려는 것이 아니라면 영장 신청을 반려할 이유가 없다”고 비판했다.
또한 “검찰은 이미 경호처 비화폰의 존재를 알고 있었다”며 “김용현 전 장관이 검찰에 출석하기 전, 이진동 대검 차장이 그의 비화폰으로 직접 통화한 사실이 드러났다”고 말했다. 그는 “출석을 설득하려는 통화였다는 해명은 궁색하다”며 “검찰이 사용한 비화폰은 김용현이 아닌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에게 지급된 것이었다”고 지적했다.
박 원내대표는 “검찰이 진실을 감추려 한다는 의심을 거둘 수 없다”며 “거듭 경고하지만 내란 사건을 축소·은폐·왜곡하려는 시도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그는 “경찰의 김성훈 차장 구속영장 신청에 협력하고, 비화폰 서버 압수수색을 방해하지 말아야 검찰의 결백을 증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박 원내대표는 내란 국정조사에서 최상목 경제부총리 직무대행의 태도를 문제 삼으며 “헌법을 지킬 의지가 없다면 공직자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헌법재판소 임명 결정을 따를 것이냐는 질문에 최 대행이 즉답을 회피했다”며 “헌재 결정을 존중한다면서도 예단할 수 없다는 답변은 헌재 결정을 따르지 않을 수도 있다는 의미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헌법재판소법에 따르면 헌재의 권한쟁의심판 결정은 모든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를 기속한다”며 “공직자로서 헌재 결정을 전적으로 따르겠다는 말을 왜 하지 못하는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 당연한 답변조차 하지 못한다면 공직자 자격이 없다는 자백”이라며 “국민들은 최 대행이 권한대행인지 내란대행인지 묻고 있다”고 비판했다.
2025년 1월8일. "윤석열을 관저에서 끌어내야"
국회 본청 당대표회의실에서 열린 제62차 최고위원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12.3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 및 법률 위반을 강하게 비판하며, 윤 대통령의 파면은 시간문제라고 주장했다.
박 원내대표는 "헌법재판소와 법원이 윤 대통령의 헌법 및 법률 위반을 판단하고 있다"며, "12.3 비상계엄은 헌법 위반이자 형법상 내란죄에 해당하며, 윤석열 대통령은 내란 수괴라는 결론을 바꿀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계엄 선포와 국회 활동 방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대한 불법 압수수색 등은 중대한 헌법 및 법률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국민의힘에 대해 "헌법과 법률을 부정하며 내란 동조 정당으로 나아가고 있다"며, "국민의힘 의원들은 윤 대통령과 헌법, 법률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시점에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비상계엄 해제 요구안에 찬성표를 던진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에게 "지금의 당이 제대로 된 길을 가고 있다고 생각하느냐"고 반문하며, 특검법 찬성을 촉구했다.
박 원내대표는 윤 대통령 탄핵 표결에 찬성한 국민의힘 의원들에게도 "헌법과 법률, 양심에 따라 특검법을 찬성해 달라"고 호소했다. 그는 "철저한 수사를 통해 내란의 책임자를 가려내 엄벌하는 것이 대한민국과 국민을 지키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박 원내대표는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재발부와 관련해 "공수처와 경찰 공조수사본부가 모든 가용 인력과 장비를 동원해 신속히 체포영장을 집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내란 수괴 체포는 국가 정상화를 위한 첫걸음"이라며, 경호처 경호관들에게도 "법 집행 방해는 불법임으로 반드시 처벌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박 원내대표는 "온 국민과 세계가 지켜보고 있다"며, "특검법에 대한 찬성이 대한민국의 헌법 질서와 민주주의를 굳건히 세우는 길"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국회 연설 후 이재명 대표를 비롯한 동료의원들의 축하인사를 받고 있는 박찬대 원내대표. 사진 -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Log 들어가는 글]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 3선 국회의원으로서 입지 강화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인천 연수구 갑 지역구에서 승리하며 3선 의원으로서 입지를 확고히 했다. 박 원내대표는 경제 및 교육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의정활동을 이어가며 당내 핵심 인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박 원내대표는 인천 출신으로, 인하대학교에서 경영학을 전공한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어린 시절부터 학업에 대한 열정이 남달랐던 그는 가정 형편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학업을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했다. 대학 시절에는 학문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아리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폭넓은 대인관계를 형성했다. 이러한 경험은 훗날 정치인으로서의 소통 능력을 키우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졸업 후 금융감독원과 회계법인에서 활동하며 금융 전문가로 경력을 쌓았다. 공인회계사 자격을 취득한 그는 민간과 공공 부문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으며 경제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이러한 배경 덕분에 국회에 입성한 이후 경제 및 교육 관련 정책 입안에 적극적으로 나서며 주목받았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출마해 연수구 갑에서 첫 승리를 거둔 박 원내대표는 이후 연이어 당선되며 정치적 기반을 공고히 했다. 그는 2020년 제21대 총선에서도 높은 지지율로 재선에 성공했으며, 2024년 22대 총선에서도 국민의힘 정승연 후보를 꺾고 3선 의원이 됐다.
국회에서 박 원내대표는 교육위원회 간사,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입법 활동에 힘썼다. 특히 대학 등록금 반환 문제와 대안교육기관 지원 확대 등에 앞장섰으며, 이를 통해 교육 정책 분야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2022년에는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로 임명되며 당 운영 전반에도 깊이 관여했다.
2024년 5월, 그는 당내 원내대표 선거에 출마해 단독 후보로 나서 찬반 투표를 거쳐 당선됐다. 이후 국회운영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며 원내 지도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같은 해 6월에는 이재명 대표의 사퇴로 인해 당대표 직무대행을 맡아 당을 이끄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박 원내대표는 정책적 방향에 있어서도 적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는 언론 인터뷰에서 1주택 실거주자의 종합부동산세 폐지를 주장하며 과세 형평성 강화를 강조했다. 다만, 이 같은 발언에 대해 당내 일부에서 정책적 검토가 선행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그는 당 운영에서도 혁신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원내대표로 선출된 후 '개혁기동단'이라는 이름으로 22명의 원내대표단을 구성하며 개혁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이를 통해 당의 조직력을 강화하고 정책 추진력을 높였다.
박 원내대표는 경제 정책에서 지속적인 개혁을 추진했다. 그는 중소기업 지원 확대, 스타트업 육성, 금융산업 발전 등을 주요 과제로 삼고 있으며, 특히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법안 마련에도 앞장서고 있다. 그는 "국민 경제가 회복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정책을 마련하고 지원 방안을 확대하겠다"고 언급하며 경제 성장 전략을 밝혔다.
또한, 그는 교육 분야에서도 적극적인 정책 추진을 이어가고 있다. 대학 등록금 부담을 줄이기 위한 장학금 지원 확대, 학자금 대출 이자 경감 등의 정책을 추진하며 청년층과 학부모의 부담을 덜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는 "교육은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며, 학생들이 경제적 어려움 없이 학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박 원내대표는 당내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그는 원내대표단과의 정기 회의를 확대하고, 당내 의견 수렴 과정을 보다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정책 결정 과정에서 의원들의 참여를 높이고, 당내 결속력을 강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와 함께, 박 원내대표는 청년 및 신진 정치인의 정치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제안하고 있다. 청년 정치학교 운영, 정치 후원금 활성화 방안 마련 등을 통해 미래 정치 지도자를 육성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는 "정치의 문턱을 낮추고 더 많은 인재가 국회에서 활약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박 원내대표는 개인적으로도 꾸준한 자기계발을 이어가고 있다. 그는 여가 시간에 독서를 즐기며, 특히 경제학과 역사 관련 서적을 통해 정책적 통찰력을 기르는 데 집중하고 있다. 또한, 운동을 통해 체력을 관리하며 의정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유지하는 데 힘쓰고 있다. 동료 의원들은 그를 성실하고 끈기 있는 정치인으로 평가하며, 그의 리더십에 대한 신뢰를 보내고 있다.
박 원내대표의 이러한 행보는 향후 더불어민주당의 정책 방향과 조직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그의 리더십과 정책적 비전이 어떻게 실현될지, 그리고 이를 통해 더불어민주당이 어떤 변화를 맞이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