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글
어둠이 내려앉은 도시, 서울. 이곳은 한때 민주주의의 심장이었으나, 이제는 차가운 군홧발 아래 신음하고 있다. 역사 속에서 자유를 위해 싸워온 대한민국은 다시 한 번 시험대에 올랐다. 정당한 권력은 폭력으로 대체되었고, 국회와 언론은 무력에 의해 장악되었다. 시민들의 목소리는 침묵 속에 묻혀버렸다.
2024년 12월 3일, 대한민국의 운명이 바뀌던 날이었다. 대통령은 계엄을 선포했고, 그 순간 모든 것이 변했다. 국회의사당은 군인들에 의해 봉쇄되었고, 의원들은 필사적으로 저항했지만, 총구 앞에서 무력했다. 언론은 무너졌고, 방송국은 계엄군의 손에 넘어갔다. 거리는 침묵에 휩싸였고, 사람들은 숨죽이며 다가올 날들을 예측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역사는 침묵 속에서도 움직인다. 무너진 국회와 억눌린 언론 뒤편에서, 자유를 향한 작은 불씨가 살아남아 있었다. 거리에 나선 시민들, 광장에서 촛불을 들고 모여든 사람들, 그리고 어둠 속에서 서로의 손을 맞잡은 저항자들. 그들은 포기하지 않았다.
이 이야기는 단순한 픽션이 아니다. 이는 인간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필사의 투쟁이며, 한 시대의 비극이자 희망의 기록이다. 대한민국은 다시 한 번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침묵을 받아들일 것인가, 아니면 저항할 것인가?
어떤 선택을 하든, 역사는 이를 기억할 것이다.
제1장: 붉은 새벽
2024년 12월 3일, 오후 11시30분.
서울 한복판, 여의도 국회의사당은 차가운 어둠 속에서 서서히 장악당하고 있었다. 1시간 전쯤 비상계엄이 선포된 순간, 검은 그림자가 도시를 덮쳤다. 계엄군의 군홧발이 대리석 바닥을 두드리며 거칠게 움직였다.
박은수 계엄사령관은 첫 번째 명령을 내렸다.
“국회 봉쇄. 주요 인사 구금. 즉각 실행하라.”
특수부대의 사령관은 명을 받아 수사에 나섰고 국회의원들은 사지가 들려져 계엄군이 준비한 밴에 옮겨지고 있었다.
1시간 전.
윤석준 대통령이 담담한 얼굴로 계엄령을 선포했다. 곧이어 김용운 국방부장관, 곽수근 육군특수전사령관, 이종우 수도방위사령관, 여신영 국군방첩사령관, 조신우 경찰청장, 문종호 정보사령부장, 그리고 김봉준 서울경찰청장이 비화폰으로 연락을 받았다.
“이제부터 시작이야.”
윤석준은 이번 계엄을 반드시 성공시키겠다는 집념이 대단해보였다. 완벽한 권력의 그림자였다.
국회의원들은 TV를 통해 계엄 소식을 접하고, 황급히 국회로 달려왔다. 그러나 국회 정문은 이미 철저히 봉쇄된 상태였다.
“막지 마! 이건 불법이야!”
이준식 의원이 경찰들에게 목소리를 높였다. 영신포경찰서의 핵심 간부가 당황하며 김봉준 서울경찰청장에 전화를 걸었다. 김 청장의 명령은 단호했다.
“출입 금지. 누구도 들이지 마라.”
그러나 의원들은 포기하지 않았다. 어둠 속에서 국회 담장을 넘는 모습이 포착됐다. 누군가는 가로등을 타고 올랐고, 누군가는 경비를 따돌리고 본회의장으로 향했다. 담을 넘으면서 다치는 의원들도 있었다. 무릎과 발목이 삐끗한 이들도 있었다. 부상에도 그들은 본회의장을 향해 달렸다.
어떻게해서든 계엄 해제 표결에서 151표를 넘겨야 했다.
본회의장,
모두가 두려운 눈빛이었다. 우상식 국회의장이 표결을 준비하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가 전기가 나갔다. 본회의장은 칠흙같이 됐다. 의원들이 핸드폰의 플래시를 켰다. 174명의 플래시 때문에 다시 환해졌다.
그 순간, 콰직!
거대한 충돌음이 들려왔다. 특수부대가 국회 유리창을 깨고 진입했고 이어 본회의장 문을 도끼로 깨부셨다. 곽수근 특수전사령관의 명령과 김연태 특수단장의 지휘 아래, 계엄군이 거칠고 신속하게 움직였다. 모두 윤석준 대통령이 비화폰으로 직접 지휘했다.
국회 내부는 아비규환 직전이었다. 보좌관들과 의원들은 몸으로 바리케이드를 쌓고 필사적으로 저항했고 계엄군의 본회의장 진입을 막았다. 그런데 본회의장 문이 잠기자, 특수부대는 곧바로 단전을 시도했다. 사전에 단전 정보를 받았기에 빠른 단전이 가능했다.
계엄군은 모든 전원을 끊고 국회를 장악하기 시작했다.
모든 '방해자'들을 떨쳐낸 계엄군이 본회의장으로 진입하자 “투표를 막을 수 없어! 우리는 끝까지 싸운다!”라는 외침이 들렸다. 노상면 의원은 평소에도 목소리가 컸는데 이날은 그의 소리가 더 크게 들렸다. 깜깜한 본회의장에 휴대폰 플래시가 여기저기를 비추며 마치 쇼가 연출되는 듯했다.
보좌관들은 본회의장 전기를 다시 켰다. 막간을 이용해 여야 의원들이 긴급 의결을 시도했다. 그러나 계엄군은 의원들의 전원이 들어오자 의원들의 위치를 더 쉽게 파악했고 김연태 단장은 소리쳤다.
“싹 다 잡아들여.”
순간, 탕! 탕!
총소리가 들렸고 정적이 흘렀다. 모두 깜짝놀라 눈을 크게 떴다. 공포탄이었다.
더많은 검은 복장의 군인들이 본회의장으로 밀려들어왔다. 총구가 번쩍였고, 의원들의 얼굴에 공포가 스쳤다. 몇몇은 연단으로 뛰쳐나와 저항했고, 몇몇은 책상 밑으로 몸을 숨겼다.
야당 이지명 대표는 소리쳤다.
“이건 불법이다! 국회의 권한을 무력으로 빼앗을 수는 없어!” 그의 손엔 유튜브 생방송을 하는 스마트 폰이 보였다.
그러나 군인들은 무자비했다. 이지명 대표의 폰을 뺏어 집어던진 후 사지를 잡아 끌고 '수거' 작업을 했다. 바닥으로 질질 끌려가는 의원들의 모습이 본회의장 방청석에서 취재하던 기자들에 의해 그대로 유튜브로 생중계됐다. 하지만 기자들도 곧바로 체포되어 생중계는 곧바로 끊겼다.
자유의힘 한성훈 대표는 본회의장 구석에서 땀을 흘리고 있었다. 그는 믿을 수 없다는 듯 중얼거렸다.
“이건… 불법이다.”
그리고 그는 계엄군의 손아귀에 잡혔다. 한 대표가 소리를 지르기 시작했다. 그가 소리칠수록, 그의 존재는 위협으로 간주됐다.
“한성훈이 난리 친다. 어떻게 할까요?”
김연태 특수단장이 곽수근 특수부대 사령관에게 전화를 걸었다. 곽수근은 짧게 대답했다.
“한성훈이고 이지명이고 싹 다 잡아들여.”
우상식 국회의장은 절규했다.
“이 나라가 끝장났다! 독재의 시대가 다시 돌아왔다!”
군인들은 그를 거칠게 끌고 나갔다. 절규의 소리는 점점 작아졌다.
아비규환은 국회만이 아니었다.
MBS, JTBS 등 주요 방송국들도 계엄군의 표적이 됐다. 기자들과 직원들은 몸싸움을 벌이며 저항했지만, 무장한 군인들은 그들을 무자비하게 진압했다.
카메라가 바닥에 내팽개쳐졌다. 뉴스 데스크는 엉망이 됐다.
그 순간, 방송국 앵커가 마지막 외침을 남겼다.
“여기는 대한민국 방송입니다. 곧 방송이 중단될 것 같습니다. 계엄군이 방송국을 장악했습니다.”
그리고 “펑!”
방송이 강제로 종료됐다. 전기가 끊겼다.
서울은 어둠 속으로 빠져들었다.
새벽 2시.
대한민국 전역에 ‘국가 안정을 위한 특별 방송’이 KBF를 통해 송출됐다. 텅 빈 화면이 깜빡이더니, 윤 대통령이 차분한 표정으로 등장했다.
“자유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세력을 척결하고, 국가를 바로 세우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입니다.”
그의 목소리는 낮고 침착했지만, 그 안에 숨겨진 권력의 무게는 분명했다.
대한민국은 침묵했다. 국회는, 언론은, 국민은 조용히 숨을 죽였다.
그러나 그 침묵이 영원할 수 있을까?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