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글 (매회 반복)
어둠이 내려앉은 도시, 서울. 이곳은 한때 민주주의의 심장이었으나, 이제는 차가운 군홧발 아래 신음하고 있다. 역사 속에서 자유를 위해 싸워온 대한민국은 다시 한 번 시험대에 올랐다. 정당한 권력은 폭력으로 대체되었고, 국회와 언론은 무력에 의해 장악되었다. 시민들의 목소리는 침묵 속에 묻혀버렸다.
2024년 12월 3일, 대한민국의 운명이 바뀌던 날이었다. 대통령은 계엄을 선포했고, 그 순간 모든 것이 변했다. 국회의사당은 군인들에 의해 봉쇄되었고, 의원들은 필사적으로 저항했지만, 총구 앞에서 무력했다. 언론은 무너졌고, 방송국은 계엄군의 손에 넘어갔다. 거리는 침묵에 휩싸였고, 사람들은 숨죽이며 다가올 날들을 예측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역사는 침묵 속에서도 움직인다. 무너진 국회와 억눌린 언론 뒤편에서, 자유를 향한 작은 불씨가 살아남아 있었다. 거리에 나선 시민들, 광장에서 촛불을 들고 모여든 사람들, 그리고 어둠 속에서 서로의 손을 맞잡은 저항자들. 그들은 포기하지 않았다.
이 이야기는 단순한 픽션이 아니다. 이는 인간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필사의 투쟁이며, 한 시대의 비극이자 희망의 기록이다. 대한민국은 다시 한 번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침묵을 받아들일 것인가, 아니면 저항할 것인가?
어떤 선택을 하든, 역사는 이를 기억할 것이다.
제4장: 내부의 균열
2024년 12월 4일, 오전 11시.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
국방부 청사의 긴 복도는 어둠에 잠겨 있었다. 계엄령 선포 이후, 국방부 내부는 극도의 긴장감 속에 휩싸여 있었다. 일부 장교들은 이미 숙청되었고, 남아 있는 자들은 두려움 속에서 침묵을 유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계엄군 내부에서조차 불만과 의심이 점점 커지고 있었다.
작전회의실.
박은수 계엄사령관이 무표정한 얼굴로 회의를 주재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초긴급 회의를 소집했다. 특히 미국은 윤 대통령에게 직접 경고 메시지를 보냈다. 윤 대통령은 단호하게 ‘내정간섭’이라며 거부했지만, 미국이 더 강경한 조치를 고려 중이다."
국방부 차관 김종문이 신중한 목소리로 물었다.
"중국과 일본도 움직이고 있습니다. 일본은 긴급 안보회의를 열었고, 중국은 한반도 접경지역에 병력을 추가 배치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개입하면 동북아 전체가 요동칠 수도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계엄을 지속하는 것이 가능합니까?"
김용운 국방부 장관이 단호하게 말했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내부 단속과 외부의 압력을 무력화하는 것이다. 계엄은 국가 안정을 위한 조치다. 우리가 단결하지 않으면 무너진다."
그러나 수도방위사령관 이종우 대장은 미묘한 표정을 지었다. 그는 이미 군 내부에서 이상한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음을 알고 있었다. 일부 장교들이 계엄령에 반대하며 비밀리에 접촉하고 있었고, 몇몇 병력은 연락이 두절된 상태였다.
"계엄군 내부에서 불만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그가 신중하게 말했다.
"일부 부대에서 연락이 끊겼고, 특히 공군과 해군 내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습니다. 전투기 출격 대기 명령을 받은 조종사들 사이에서 명령 이행을 거부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회의실이 정적에 휩싸였다.
박은수 계엄사령관이 눈을 가늘게 뜨며 말했다.
"내부 반란 가능성을 차단해야 한다. 해당 부대 지휘관들을 즉각 체포하고 군을 재편성해라."
그러나 그 순간, 김연태 특수단장이 서류를 펼쳐 보이며 말했다.
"반대 세력이 단순한 일부가 아닙니다. 수도방위사령부 내부에서도 균열이 발생하고 있고, 해군은 독자적으로 움직이려는 조짐이 있습니다. 공군에서는 일부 장교들이 조종사들에게 계엄령 이행을 거부하라고 독려하고 있습니다."
곽수근 육군특수전사령관이 비웃듯 말했다.
"별 것 아닌 일에 너무 호들갑 떠는 것 아닌가? 이미 다 장악했어. 반대 세력? 얼마든지 제거하면 된다."
그러나 이종우 대장은 속으로 한숨을 쉬었다. 그는 군 내부에서 변화가 시작되고 있음을 직감했다.
2024년 12월 4일, 정오. 서울, 계엄사령부 내부 비밀 감찰실.
국방부 내부에서는 기밀 조사가 진행 중이었다. 숙청된 장교들의 명단이 한 줄씩 늘어났고, 의심받는 인물들의 통화 내역과 메시지가 철저히 분석되고 있었다.
그러나 계엄군 내부에서는 예상보다 빠르게 균열이 발생하고 있었다.
대한민국 해군본부.
서울 작전지휘실에서 몇몇 해군 장교들이 조용히 모였다.
"육군이 이렇게 나라를 짓밟는 걸 두고만 볼 수 없다."
중령 계급의 한 해군 장교가 낮은 목소리로 말했다.
"해군은 언제나 나라를 지켜왔다. 수도권 병력을 움직일 계획이다. 적절한 시점이 오면 우리가 행동해야 한다."
몇몇 장교들이 고개를 끄덕였다.
한편, 공군 작전사령부에서는 일부 전투기 조종사들이 비밀리에 회의를 진행하고 있었다.
"계엄에 반대하는 군인들에게도 발포 명령이 내려졌다고 한다."
같은 시각, 종로에 있는 한 지하 벙커.
계엄군의 감시를 피해 살아남은 일부 국회의원들과 시민운동가들이 모여 있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아요."
한 국회의원이 긴장된 목소리로 말했다.
"그러나 이 침묵이 계속될 수는 없습니다. 군 내부에서도 균열이 시작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요. 국제사회도 압박을 가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시간을 벌어야 합니다."
한 시민운동가가 주먹을 쥐었다.
"인터넷이 막혔어도, 우리는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퍼뜨릴 수 있습니다. 이미 시민들이 VPN을 통해 외부로 국내 소식을 전하고 있어요. 국내에서도 SNS를 통해 계엄의 부당성을 알리고 톨레그램으로 메시지를 남기고, 대면 접촉을 통해 정보를 전달해야 합니다."
그 순간, 한 어르신이 조용히 입을 열었다. 그는 5.18 때 민주 항쟁에 참여했던 사람이었다.
"계엄은 오래가지 못한다. 독재는 영원할 수 없다. 우리가 단결하면 반드시 무너뜨릴 수 있다."
그의 눈빛이 날카롭게 빛났다.
"지금 필요한 것은 확산이다. VPN을 사용해 해외 언론과 연결하고, 국내 시민들에게 최대한 정보를 유통시켜야 한다. 그리고…"
노인은 천천히 말을 이었다.
"한순간에 거리로 쏟아져 나올 준비를 해야 한다."
사람들이 숨을 삼켰다.
"수백만 명이 동시에 거리로 나오면 계엄군도 막을 수 없다."
자발적 참여 시민들과 시민단체, 국회의원 등이 한마음 한뜻이 되어가고 있었다.
2024년 12월 4일, 오후 1시. 도쿄, 일본.
추영숙 의원은 일본에서 또 한 번의 긴급 기자회견을 열었다. 몇 시간마다 계속 기자회견을 여는 것이다.
"윤석준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파괴했습니다. 언론을 통제하고, 시민들을 억압하며, 반대하는 모든 이들을 구금하고 있습니다. President Yoon Seok-jun has destroyed South Korea's democracy. He controls the media, suppresses the citizens, and imprisons all who oppose him"
추 의원의 목소리는 단호했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침묵하지 않을 것입니다. 시민들은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그리고 계엄군 내부에서도 변화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국민들은 결코 포기하지 않을 것입니다. However, South Korea will not remain silent. The people are finding ways to resist. Change is beginning even within the martial law forces. The people of South Korea will never give up."
그의 발언은 CNN, BBC, 로이터 통신 등을 통해 전 세계로 송출되었다. 언론인의 수는 기자회견이 진행될 때마다 크게 늘었다.
"윤석준 대통령은 국제사회의 압박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민주주의 국가들은 한국의 계엄령 해제를 위해 힘을 모아야 합니다. President Yoon Seok-jun cannot ignore the pressure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Democratic nations must unite to demand the end of martial law in South Korea."
그 순간, 기자회견장에 모인 기자들 사이에서 웅성거림이 일었다.
"Breaking news! 방금 들어온 속보입니다!"
한 기자가 외쳤다.
"해군 작전사령부와 공군 조종사 일부가 계엄군 명령을 거부하고 있다고 합니다 The Navy Operations Command and some Air Force pilots are refusing to follow martial law orders."
순간, 회견장이 술렁이기 시작했다.
추영숙 의원은 차분하게 말했다.
"변화는 시작되었습니다. Change has begun."
대한민국의 운명이 걸린 싸움이 시작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