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맨위로

[K-News Shorts(뉴스런치)] 2025년 4월15일 한국의 주요 뉴스(한국정치 제외) 요약 [김헌식 박사의 뉴스 큐레이션]

Summary of Major Korean News (Excluding Politics) [Dr. Hun-Sik Kim’s News Curation]

등록일 2025년04월15일 13시34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과학/기술] '50년 양자 난제' 해결...양자컴퓨터 성능 극복 발판 제시
"50-Year Quantum Mystery Solved... A Leap Forward in Quantum Computing"

라이스 대학교 연구진이 50년 동안 풀기 어려웠던 양자 현상 '초방사상 전이(SRPT)'를 실험적으로 구현했습니다. 이 기술은 많은 양자 입자를 하나처럼 제어할 수 있게 하여 양자컴퓨터의 성능과 확장성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앞으로 양자컴퓨터 개발에 큰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평가입니다.
Researchers at Rice University have experimentally realized the elusive quantum phenomenon called the "superradiant phase transition (SRPT)" after 50 years. This achievement allows for the control of many quantum particles as one, potentially boosting quantum computing performance and scalability. Experts see this as a major breakthrough in quantum hardware development.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보안/정책] 과기정통부, 양자컴퓨터 대응 차세대 암호기술 개발 본격
Korean Gov’t Begins Quantum-Resistant Encryption Pilot Project

정부는 양자컴퓨터 시대를 대비해 기존 암호를 대체할 '양자내성암호' 기술을 본격 추진합니다. 에너지, 의료, 행정 등 국민 생활과 관련된 분야부터 시범사업을 시작합니다. 해독이 어려운 복잡한 수학 구조를 활용해 보안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To prepare for the quantum era, the Korean government is launching a pilot project to introduce "quantum-resistant encryption" technology. This will begin in essential areas like energy, healthcare, and administration. These next-gen algorithms use complex math to ensure stronger security even against quantum computing threats.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경제/스타트업] 카이스트 배출 20개 스타트업 기업가치 10조원… "빅테크 육성 한국도 가능"
KAIST Startups Valued at 10 Trillion KRW – Korea’s Big Tech Dream

카이스트 출신 창업기업 20곳이 최근 4년간 상장에 성공하며 기업가치 10조 원을 넘었습니다. 로봇, 의료 AI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정부 지원과 창업 환경 개선이 주효했다는 분석입니다.
In the past four years, 20 KAIST-founded startups went public, reaching a combined valuation of over 10 trillion KRW. These companies, especially in robotics and AI healthcare, are gaining global competitiveness. Experts credit supportive policies and an improved startup ecosystem for this success.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경제/국제] 트럼프 관세, AI 붐에 찬물…“데이터센터 비용 20% 상승”
Trump’s Tariffs Threaten AI Boom with 20% Cost Hike in Data Centers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AI 데이터센터 건설비가 20%까지 오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습니다. 철강, 발전기 등 필수 자재 가격이 올라 기업 투자가 줄어들 가능성이 큽니다. 결국 비용 부담은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 있습니다.
Tariffs introduced by former President Trump could raise AI data center construction costs by up to 20%. Increased prices for key materials like steel and generators may discourage investment. Ultimately, these costs are likely to be passed down to consumers.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문화/정책] “스마트한 미디어 규제 재설계”…차기 정부 과제로 부상
Smarter Media Regulation Needed for Next Korean Government

OTT, 스트리밍 등 새로운 미디어가 등장했지만 한국의 방송 규제는 여전히 전통 TV 중심입니다. 미국처럼 유연한 규제 개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새로운 정부는 콘텐츠 산업의 공정성과 경쟁력을 높일 규제를 준비해야 합니다.
Despite the rise of OTT and streaming, Korea’s media laws remain outdated and TV-focused. Many argue for reforms inspired by the U.S. to address fairness and competitiveness. The incoming administration must redesign smart media regulations for the digital age.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국제/안보] AI시대 떠오른 '해저 데이터 동맥'…美·中 바닷속 경쟁 치열
Subsea Cable Wars: U.S. and China Compete Beneath the AI-Driven Seas

AI 시대를 맞아 해저 케이블이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전략 자산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고의적인 해저 케이블 절단 사례가 늘면서 군사적 충돌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미·중 간 경쟁은 바닷속에서도 격화되고 있습니다.
As AI advances, subsea cables are becoming critical geopolitical assets. Deliberate cable cuts are raising concerns over military conflicts and cyber warfare. The U.S.-China rivalry is now expanding into the depths of the ocean.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교육] 서울대 교수회 개혁안 “수능 3~4번 보게 해야”
SNU Professors Propose 3–4 CSAT Exams Per Year for Flexible Admissions

서울대 교수회는 전공 구분 없이 학생을 선발하고, 수능을 연 3~4회 치르게 하자는 개혁안을 발표했습니다. 학생들의 적성과 진로를 더 정확히 반영하자는 취지입니다. 지방대와 서울대가 공동 졸업장을 수여하는 협력 모델도 제안됐습니다.
Seoul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s proposed a reform to hold the CSAT exam 3–4 times a year and select students without fixed majors. This aims to better reflect students' talents and interests. They also suggested a joint diploma system between SNU and regional universities.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IT/개인정보] 메타의 태세 전환…"AI 학습에 유럽 이용자 콘텐츠 활용"
Meta to Use European User Data for AI Training, Marking Major Shift

메타가 유럽 이용자의 콘텐츠와 AI 챗봇 대화 데이터를 AI 학습에 활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EU의 개인정보 규제에 신중했던 태도에서 큰 변화입니다. 구글과 오픈AI의 행보를 따르는 전략으로 해석됩니다.
Meta announced it will use European user content and chatbot interactions for AI training. This marks a significant shift from its previous cautious stance under strict EU data regulations. The move aligns Meta with strategies taken by Google and OpenAI.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보건/과학] 질병청 "세계최초 유전자재조합 '탄저백신' 올해 안에 생산·비축"
Korea to Produce World’s First Recombinant Anthrax Vaccine in 2025

질병관리청은 국내 기술로 개발한 유전자재조합 방식의 새로운 탄저백신을 올해 안에 생산하고 비축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백신은 독소 없이 안전성이 높아 생물테러 대응에 효과적입니다. 20년 넘게 연구 끝에 식약처로부터 허가를 받았습니다.
The Korea Disease Control Agency (KDCA) announced it will produce and stockpile the world’s first recombinant anthrax vaccine by year’s end. Unlike traditional vaccines, this one is safer with no toxin production, making it ideal for bio-terror defense. After over 20 years of research, it has been approved by the drug authority.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산업/통상] 정부 "한국산 구리 관세 부과시 對美 배터리 투자도 위태"
Korea Warns U.S.: Copper Tariffs Could Jeopardize Battery Investments

한국 정부는 미국이 한국산 구리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미국 투자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동박은 배터리 핵심소재로 미국 수출 비중이 높습니다. 트럼프 행정명령으로 시작된 관세 조사에 대응한 조치입니다.
The Korean government warned that U.S. tariffs on Korean copper could endanger battery-related investments. Copper foil is a key battery component with significant exports to the U.S. This is a response to an investigation triggered by Trump’s executive order.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과학/의료] 동물실험 없애는 美…오가노이드·AI '탄력'
U.S. Moves to End Animal Testing, Boosting Organoids and AI in Biotech

미국 FDA가 신약개발 시 동물실험을 단계적으로 없애기로 하면서, 오가노이드(인공 장기)와 AI 기반 독성평가 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윤리적 문제 해결과 함께 실험 효율도 높일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제도 정비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The U.S. FDA plans to phase out animal testing in drug development, spotlighting organoids and AI-based toxicity assessments. This shift enhances ethical standards and research efficiency. Experts urge swift regulatory updates in Korea to keep pace.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의학/뇌과학] 치매로 잃은 기억력, 뇌 속 별세포 단백질 때문이었다
Memory Loss in Alzheimer’s Linked to Star-Shaped Brain Cells: Korean Study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 치매로 인한 기억력 저하 원인이 뇌 속 별세포에서 나온 단백질 ‘시트루인2(SIRT2)’ 때문이라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이 단백질을 억제하면 단기 기억력을 회복할 수 있다는 실험 결과도 나왔습니다. 치매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이 제시됐습니다.
Korean scientists discovered that the protein "SIRT2" from star-shaped brain cells causes memory loss in Alzheimer’s. Their study shows that blocking this protein can help restore short-term memory. This opens new paths for dementia treatment.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과학/지구환경] 지구 바다, 오래 전엔 녹색…미래엔 보라색 될 수도
Earth’s Oceans Were Once Green—And May Turn Purple in the Future

과거 지구의 바다는 녹색이었고, 앞으로 보라색 바다가 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황 함량과 대기 변화, 해양 생물의 변화가 바다 색을 결정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지구 환경 변화의 단서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A study suggests Earth's oceans were once green and could turn purple in the future. Changes in sulfur levels, atmosphere, and marine life influence ocean color. These findings may offer clues about Earth’s environmental shifts.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과학/노년건강] 디지털 치매?…"디지털기기 사용, 노년기 인지 저하 위험 낮춰"
Digital Devices May Help, Not Hurt, Seniors’ Cognition: Study Finds

디지털 기기 사용이 노년층의 인지기능 저하를 막아준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기존의 ‘디지털 치매’ 개념을 반박하는 결과입니다. 기술이 노인의 뇌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이 입증됐습니다.
Using digital devices may actually reduce the risk of cognitive decline in older adults, a study found. This contradicts the popular idea of “digital dementia.” Technology could play a positive role in senior brain health.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의학/신약] 암의 ‘숨은 조력자’ 없앤다…면역항암제 후보물질 개발
Korean Scientists Develop Immune Drug to Eliminate Cancer’s Hidden Helpers

국내 연구진이 암을 돕는 나쁜 면역세포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면역항암제를 개발했습니다. 기존 항암제가 잘 듣지 않던 고형암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암 치료법에 큰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Korean researchers have developed an immune therapy that precisely targets harmful cells aiding cancer growth. Unlike older drugs, it’s effective against solid tumors, not just blood cancers. This breakthrough could reshape cancer treatment strategies.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로봇/기술] 전자 피부에도 지문 새긴다
Artificial Fingerprints on E-Skin Could Revolutionize Robot ID Systems

사람 지문보다 더 고유한 무늬를 전자 피부에 새기는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이 기술은 로봇에 고유한 지문을 부여해 식별이 가능하게 합니다. 인공지능 로봇 시대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Scientists have developed a way to embed artificial fingerprints on electronic skin, even more unique than human prints. This allows robots to have identifiable “fingerprints” for recognition. It’s expected to be key in the AI robotics era.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AI/기술] “로봇이 처음 보는 물체도 한눈에 정확히 인식”…GIST, 실시간 AI 비전 기술 개발
GIST Develops Real-Time AI Vision Tech to Spot Unfamiliar Objects

광주과학기술원 연구팀이 로봇이 처음 보는 물체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인식하는 AI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오류를 스스로 수정하는 기능까지 갖춰 자율주행과 로봇 비전 분야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기존 기술보다 더 빠르고 정밀한 것이 특징입니다.
Researchers at GIST developed real-time AI vision technology that allows robots to recognize unfamiliar objects accurately. The system can self-correct errors, making it highly useful for autonomous driving and robot vision. It’s faster and more precise than previous models.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경제/정책] 기업 옥죌 때 아냐…EU, '간판 규제' 잇달아 연기
EU Delays Major Business Regulations Amid Global Competition Pressure

유럽연합이 경쟁력 회복을 위해 기업 규제 시행을 잇달아 연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공급망 실사와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이 대표적이며, 국내법 반영은 연말까지 미뤄졌습니다. 글로벌 경쟁 속에서 규제보단 유연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분석입니다.
The EU has decided to delay key regulations like the supply chain due diligence and sustainability reporting. Member states now have until year-end to update their laws accordingly. Experts say regulatory flexibility is crucial in the face of global competition.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무역/에너지] '25%-α' 한미 상호관세 협상 시작…'알래스카 LNG' 첫 테이블에
Korea-U.S. Tariff Talks Begin, Focused on Alaska LNG Deal

한국과 미국이 상호관세율을 놓고 협상을 시작했으며, 알래스카산 LNG 도입이 핵심 사안으로 떠올랐습니다. 카타르산 대신 미국산 LNG를 수입하면 보복 관세율을 25% 아래로 낮출 수 있습니다. 에너지 안보와 무역 균형을 동시에 노리는 전략입니다.
Korea and the U.S. have started tariff talks with Alaska LNG as a key topic. Switching LNG imports from Qatar to the U.S. could lower retaliatory tariff rates below 25%. This strategy aims to enhance energy security and trade balance.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정치/경제] 한은 "정치 불확실성 여전히 계엄 전보다 월등히 높아"
Bank of Korea: Political Uncertainty Still Higher Than Martial Law Period

한국은행은 윤 대통령 탄핵 이후에도 정치 불확실성이 비상계엄 전보다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국정 운영과 경제에 불안감을 주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정국 안정과 국정 복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The Bank of Korea reported that political uncertainty remains higher than during the martial law period, even after President Yoon’s impeachment. This could negatively impact governance and economic confidence. Experts stress the urgent need for political stability.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산업/국제무역] 美견제에 中 벌크선 수주 32년만에 최저…韓 LNG선 수주 '눈앞'
U.S. Sanctions Hit Chinese Shipbuilders, Korea Poised to Win LNG Orders

미국 제재로 중국 벌크선 수주량이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가운데, 한국 조선업계가 LNG선 대규모 수주를 앞두고 있습니다. 미 정부는 중국 선박 입항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트럼프 행정명령이 경쟁 구도를 바꿔놓고 있습니다.
Due to U.S. sanctions, China’s bulk ship orders have dropped to a 32-year low, while Korean shipbuilders are set to win major LNG contracts. The U.S. is also considering port fees on Chinese vessels. Trump’s executive order has reshaped the global shipbuilding race.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교육/사회] "영유아 사교육, 이후 학업능력에 효과 없어…자존감에 부정적"
Preschool Cramming Doesn’t Help Academics and May Harm Self-Esteem: Study

연구에 따르면, 영유아 시기의 사교육은 언어 능력이나 문제 해결 능력에 큰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자존감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과도한 사교육은 전인적 성장에 해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학습 사교육이 자존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A study shows that early childhood tutoring has little impact on language or problem-solving skills and may even harm self-esteem. Excessive private education may hinder holistic development. Academic-focused lessons were especially linked to lower self-worth.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소비/유통] "대형마트 휴업해도 전통시장 소비 감소…오프라인 동반 침체"
Offline Markets Declining Despite Big-Box Store Closures, Study Finds

대형마트 의무휴업이 전통시장 소비를 늘리지 못하고 오히려 오프라인 전체 소비를 줄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소비는 온라인으로 빠르게 이동 중이며, 규제는 오프라인 유통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유통 생태계 전반에 재설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A study reveals that mandatory closures of big-box stores haven’t boosted traditional market sales but instead hurt all offline retail. Consumers are shifting rapidly to online shopping, and restrictions may worsen the trend. Experts call for a redesigned retail ecosystem.

기사링크(Follow the link to explore the story.)

본 기사는 유료기사로 기사의 일부만 제공됩니다.
- 결제 즉시 유료 기사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디지털 콘텐츠 특성상 환불되지 않습니다. (단, 미사용시 환불 요청 가능)
- 결제한 내역은 마이페이지 결제내역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환불 및 변경 문의와 관련해서는 메인페이지 하단 [이용약관 및 고객지원]을 통해
더 자세한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정기회원권은 회원가입 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 정기회원권은 마이페이지 또는 사이트 우측 상단 이용권결제를 이용해주세요.
Hern Sik Kim, Jonathan Park, and ChatGPT 4.0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K-News Shorts(뉴스브런치)] 2025년 4월22일 한국의 주요 뉴스(한국정치 제외) 요약 [김헌식 박사의 뉴스 큐레이션] Summary of Major Korean News (Excluding Politics) [Dr. Hern Sik Kim’s News
[K-News Shorts(뉴스런치)] 2025년 3월14일 한국의 주요 뉴스(한국정치 제외) 요약 [김헌식 박사의 뉴스 큐레이션]
[K-News Shorts(뉴스브런치)] 2025년 2월24일 한국의 주요 뉴스(한국정치 제외) 요약 [김헌식 박사의 뉴스 큐레이션]
[K-News Shorts(뉴스디너)] 2025년 2월21일 한국의 주요 뉴스(정치 제외) 요약 [김헌식 박사의 뉴스 큐레이션]
[K-News Shorts(뉴스런치)] 2025년 2월20일 한국의 주요 뉴스(정치 제외) 요약 [김헌식 박사의 뉴스 큐레이션]
[K-News Shorts(뉴스런치)] 2025년 2월19일 한국의 주요 뉴스(정치 제외) 요약
[K-News Shorts(뉴스낵타임)] 2025년 2월18일 한국의 주요 뉴스(정치 제외) 요약 #AsteroidImpact #SpaceThreat #PlanetDefense #NASA #Astronomy
[K-News Shorts(뉴스낵타임)] 2025년 2월17일 한국의 주요 뉴스(정치 제외) 요약

가장 많이 본 뉴스

뉴스 인물 교육 시리즈 짘놀

포토뉴스 더보기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