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기자 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는 윤호중 총괄 본부장. 사진- NjT
윤호중 “대한민국 경제 코드블루…민생 파탄, 내란세력 심판해야”
2025년 5월26일 ―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총괄선대본부장은 26일 민주당 중앙당시 2층 프레스룸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한국 경제의 심각한 침체 상황을 지적하며, 이를 초래한 책임이 내란세력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대법원 관련 민주당 법안 철회에 대해 답변했다.
그는 민생 위기 타개를 위해 유권자들이 먼저 표로써 내란의 책임을 묻는 것이 급선무라고 주장했다.
윤 본부장은 최근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할 예정인 경제전망을 앞두고 금융시장의 관심이 고조됐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올해 초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5%로 낮췄지만, 실제 1분기 성장률은 –0.246%로 나타나 역성장을 기록했다. IMF와 KDI, 금융연구원 등이 0%대 성장 전망을 내놓은 가운데, 국내외 금융기관들도 연이어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씨티, JP모건, BOA 등은 모두 0.5~0.8% 수준의 성장률을 제시했다.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어려움도 가중되고 있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커피숍 수가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됐으며, 건설투자는 1분기에만 전년 동기 대비 12.2% 감소해 외환위기 이후 최대폭 하락을 기록했다.
윤 본부장은 “윤석열 대통령은 군사적 역량을 총동원해 ‘계엄’을 일으켰다. 계엄을 계몽이라고 우기는 극우내란세력들이 IMF와 코로나보다 더한 위기를 불러온 것이다. 대한민국 경제만 놓고 보면 코드블루 상황이다. 제때 치료하지 못하면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은 우스울 것이다”라고 경고했다.
한국의 경제 상황은 그만큼 좋지 않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전날 기자회견을 통해 대통령 직속 비상경제대응TF를 구성하겠다고 발표할 정도다. 윤 본부장은 이를 두고 “상황 인식이 절박한 유능한 경제 후보만이 가능한 판단”이라며, 이재명 후보가 정권을 얻게 되면 국가 재정을 마중물 삼아 내수와 자영업을 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김문수 후보에 대해 윤 본부장은 윤석열과의 관계를 명확히 끊지 못하고 있으며, 전광훈과의 관계에서도 “사상적 공동체”라는 점에서 결별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윤 본부장은 김 후보가 도지사 재임 시절 사적으로 헬기를 162회 이용하고, 외유성 출장을 다녀온 점, 기업으로부터 후원금을 쪼개 받은 의혹 등 도덕성과 공직윤리에서도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윤 본부장은 이준석 후보에 대해서도 젠더와 지역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갈라치기, 윤석열-김건희-명태균과의 공천 거래 정황 등을 거론하며, 그는 이미 양두구육으로 국민을 속였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준석 후보가 김문수 후보와의 단일화는 없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김문수 후보와의 공조 분위기를 이어가는 점은 이중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리고 단일화를 하더라도 그것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단일화 가능성과 관련해서 그는 “정치는 생물이다. 변수가 있을 수 있다”며 김문수-이준석 단일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민주당은 이같은 내란세력과 갈라치기 정치에 맞서 국민통합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오전 허은아 전 개혁신당 대표와 김용남 전 국민의힘 의원(이후 개혁신당 핵심간부), 전광우 전 금융위원장, 축구해설가 박문성 등이 이재명 후보 지지를 선언했으며, 전세사기 피해자들도 선대위에 합류했다.
윤 본부장은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에서 사법개혁 관련 논란 법안 일부를 철회한 배경에 대해 “법조계 우려가 큰 법안은 추진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윤 본부장은 “국민 상식을 벗어난 내란세력에게 다시 권력을 맡길 수 없다”며 “경제를 살릴 유능한 후보, 이재명에게 힘을 모아달라”고 호소했다.
다음은 윤 본부장과 기자들의 일문일답.
■ 일문일답
Q. 사법부 개혁 법안 논의 중 철회된 내용은 후보의 결정인가요?
A. 후보의 직접 판단이라기보다는, 전날 기자들에게 “지금은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밝히셨고, 선대위원장들 중심으로 회의에서 논의해 철회를 결정한 것입니다.
Q. 장경태 의원의 100명 증원 법안은 선대위 결정과 달리 여전히 철회하지 않겠다는 입장 아닌가요?
A. 선대위 결정은 의원 본인에게 전달되었고, 현재 의원들과 함께 어떻게 이행할지를 논의 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Q. 대법관 30명 증원 법안은 철회 대상이 아닌데, 공약 범위로 보고 있는 것인가요?
A. 대법관 증원이나 자격 관련 논의에 대해 당의 공식 당론은 없습니다.
Q. 김용민 의원이 발의한 30명 증원 법안은 왜 철회 지시가 없었나요?
A. 해당 법안에 대해서는 추가 논의가 필요합니다.
Q. 정진욱 의원의 재판소원 헌법 개정안은 철회 대상인가요?
A. 사법부 개혁 관련 법안 중 법조계 우려가 큰 사안은 추진하지 않기로 했고, 철회는 그런 입장을 명확히 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Q. 정책 공약집 발간 일정은 언제인가요?
A. PDF 형태는 사전 제공 예정이며, 종이 형태 공약집은 이번 주 중에 제공될 것으로 보입니다.
Q. 허은아 전 대표, 김용남 전 의원의 입당 배경은? 추가 보수 인사 영입 계획은?
A. 두 분은 일관되게 내란 반대 입장을 가져왔고, 이재명 후보의 중도보수 노선에 공감해 입당하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보수 인사 영입은 계속됩니다.
Q. (홍준표 의원 캠프에 있었던) 이병태 교수도 선대위 활동 중이라고 보면 되나요?
A. 입당 의사를 밝히셨고, 입당 원서가 접수되면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승인됩니다. 다만 현재 당직은 맡고 있지 않습니다.
Q. 이준석 후보는 단일화 가능성이 0%라고 했습니다. 선대위는 여전히 가능성이 있다고 보나요?
A. 정치란 생물처럼 예측 불가한 속성이 있습니다. 저희는 김문수-이준석 단일화를 전략 상수로 보고 대비하고 있습니다.
Q. 박빙 구도 속에서 향후 8일간의 선거 전략은?
A. 예측했던 대로 진영 간 박빙 싸움으로 가고 있으며, 단일화 여부와 관계없이 이재명 후보 중심 전략은 유지됩니다. 이번 선거는 내란 세력의 재집권을 막기 위한 매우 중대한 선거입니다.
Q. 두 가지 철회된 사법 개혁 법안은 앞으로도 철회 유지 방침인가요?
A. 100명 증원은 숫자 자체가 상식선을 넘는다는 인식이 강했고, 비법조인 대법관 임명도 법률적 혼동이 있었다는 지적에 따라 철회된 것입니다.
Q. 이재명 후보의 남은 유세 지역은?
A. 경기, 서울, 충청, 서부 경남, 강원 영서 등 다수 지역이 남아 있습니다. 보안상 사전 공개는 어렵습니다.
Q. 사전투표 투표율 전망이나 2030 관련 공약 공개 계획은?
A. 사전투표 투표율에 대한 목표치는 따로 정해져 있지 않으며, 2030 공약은 정책본부에서 별도로 설명드릴 예정입니다.
윤호중 “연임제 개헌은 장기집권 불가”
2025년 5월20일 ―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중앙선대위 총괄본부장은 20일 오전 중앙당사에서 열린 제5차 선대위 총괄본부장단 회의에서, 12.3 사태 이후 흔들린 민주주의 회복과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이재명 후보가 중심이 된 국민통합 대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윤 본부장은 이날부터 시작된 재외국민 투표와 관련해, 26만 명에 달하는 재외동포들이 20일 만에 투표인단으로 등록한 사실을 언급하며 “참담한 현실을 극복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이 표출된 결과”라고 평가했다. 그는 “해외와 국내에서 함께 행동할 때만이 승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재명 후보는 최근 용산과 마포, 영등포 유세에 이어 대한노인회를 방문해 세대공감 메시지를 전했으며, 이날은 경기 북부에서 평화경제 유세를 진행한다. 윤 본부장은 “어르신들의 헌신에서 산업화와 민주화가 가능했다”며, 현재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이들의 지혜를 배워야 한다고 밝혔다.
이재명 후보에 대한 신변 위협이 고조되면서 유세차에 방탄스크린이 설치된 상황도 전했다. 하지만 윤 본부장은 “방탄유리로도 막을 수 없는 후보의 진심은 점점 더 많은 지지를 이끌어내고 있다”고 말했다. 김상욱 의원의 입당, 김용남·허은아 전 의원의 합류, 박근혜 전 대통령 지지자들의 지지선언까지 언급하며 “국익을 위한 초당적 연대가 형성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최근 발표된 대통령 4년 연임제 개헌안과 관련해 윤 본부장은, 국민의힘의 ‘장기집권’ 주장에 대해 “헌법상 재임 중 대통령은 연임이 불가능하다”고 반박했다. 그는 “연임제는 중임제보다 훨씬 엄격한 방식”이라며, 현직 대통령의 재선 불가 조항이 헌법에 명시돼 있다고 강조했다. 윤 본부장은 “이재명 후보는 새로운 시대의 수혜자가 아닌 설계자로서 책임을 다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국민의힘 측은 이재명 후보의 ‘연임제’ 발언이 푸틴의 장기집권 전략과 유사하다며 강하게 비판한 바 있다. 국민의힘은 헌법상 중임제는 한 차례 재선만 허용되지만, 이 후보가 ‘연임’이라는 표현을 택해 향후 재집권 가능성을 열어두려는 의도가 있다고 주장했다. 푸틴이 총리직을 거쳐 다시 대통령에 복귀하고 헌법을 개정해 장기집권한 사례를 언급하며, 이재명 후보 역시 측근을 정치적 징검다리로 삼아 ‘한국형 푸틴 모델’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한 것. 국힘은 이 후보가 즉시 ‘연임’ 발언을 철회하고 개헌 논의는 국민적 공론화를 통해 진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윤 본부장은 이같은 주장이 틀렸음을 거듭 강조했다.
아울러 선거운동원에 대한 폭행과 폭언 사례가 늘고 있는 점을 지적하며, “유세 현장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최대한의 대응을 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는 “여러분의 한마디, 한 걸음이 진짜 대한민국의 방향을 결정한다”며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발언 말미에서 윤 본부장은 현직 판사의 공정성 논란도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내란범 윤석열 재판을 맡고 있는 판사가 허위 사실을 법정에서 주장한 것은 도저히 믿을 수 없다”며, “사법부의 권위는 스스로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왼쪽에서 두 번째 의원이 더불어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윤호중 총괄본부장. 사진- NjTelegraph
윤호중 “사법부, 선거 개입 멈추고 국민 참정권 보장해야”
2025년 5월 6일 ― 더불어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윤호중 총괄본부장은 휴일인 6일 오전 첫 공개 본부장단 회의에서, 조희대 대법원장을 향해 대선 개입 중단과 공정한 재판 일정을 촉구했다. 그는 사법부의 정치적 중립성과 국민의 참정권 보장이 무너지고 있다며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
윤 본부장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골목골목 경청투어’ 2차 일정을 시작하며, 민생과 통합의 메시지를 국민에게 전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어린이날과 석가탄신일을 맞아 아동 정책과 전통 불교 관련 공약을 발표했으며, 이날은 청년 정책 발표가 예정돼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재명 후보가 현장에서 시민의 의견을 직접 듣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선대위가 실무의 중심인 총괄본부장단을 중심으로 책임감 있게 선거에 임하고 있으며, 선대위는 후보가 민생을 챙기는 동안 실질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법원이 제 역할을 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며, 특히 5월 1일 대법원의 판결은 정치적 중립성과 사법 자제를 저버린 ‘사법 쿠데타’라고 규정했다.
윤 본부장은 조희대(Cho Hee-dae) 대법원장을 향해 “합법적인 선거운동 기간도 아닌 상황에서 불법적 선거 개입이 진행되고 있다”며, 선거 기간 중 공판 일정을 대선 이후로 미룰 것을 재차 요구했다. 그는 “법은 공정한 것도 중요하지만, 공정해 보이는 것도 중요하다”며 대법원이 이 기준조차 외면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윤 본부장은 “1987년 이후 이어져온 민주주의와 신뢰의 기반이 윤석열(Yoon Suk Yeol) 정권의 12월 3일 비상계엄으로 무너졌으며, 이제는 사법부마저 국민의 자유와 참정권을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제1야당의 유력 대선 후보에 대한 재판이 이렇게 진행된다면, 힘없는 국민은 얼마나 무력하겠느냐는 것이 국민의 불안”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대통령선거가 단순한 정권 교체를 넘어, 극우 내란 세력에 대한 심판과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강조하며 “더불어민주당은 사즉생의 각오로 대선 승리를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Yoon Ho-jung Demands Judiciary Cease Election Interference, Calls for Protection of Voting Rights
From radical student activism to the core of institutional politics, Yoon Ho-jung has built a reputation as one of the Democratic Party’s most consistent and influential leaders.
In 2025, Yoon assumed the role of chief campaign strategist as the Democratic Party launched its “Real Korea” presidential campaign. Most recently, he has been vocal against what he calls a “judicial coup” led by Supreme Court Chief Justice Cho Hee-dae, accusing the court of interfering in the election process.
In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he served as Planning Chair of the National Planning Advisory Committee, shaping major policy directions. His external roles include leadership in legislative forums such as the Korea-Japan Parliamentary League and the National Happiness Policy Forum.
Yoon was first elected to the National Assembly in 2004 and, despite a brief loss in 2008, returned in 2012 and has since secured five consecutive terms representing Guri, Gyeonggi. Within the party, he has held key posts including Secretary-General, Policy Chair, and Floor Leader. He was credited with orchestrating the Democratic Party’s overwhelming victory in the 2020 general elections, securing 180 seats.
Born in 1963 in Gapyeong, Gyeonggi Province, Yoon studied philosoph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here he became deeply involved in pro-democracy movements. He was imprisoned in 1985 for his activism. After entering politics in 1988 as a secretary in the Peace Democratic Party, he served as a senior aide to lawmaker Han Kwang-ok and later as a policy official in the Blue House under President Kim Dae-jung.
Seoul, May 6 — Yoon Ho-jung (윤호중), a five-term lawmaker from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더불어민주당), has emerged as a central figure in South Korea’s 2025 presidential election as the chief coordinator of the party’s national campaign. Known for his long career as a strategist, policy architect, and seasoned negotiator, Yoon now leads the effort to reclaim power from the conservative bloc.
Yoon Ho-jung: From Student Activist to Five-Term Lawmaker and Chief Campaign Strategist
2025년 들어서는 '진짜 대한민국' 중앙선대위의 총괄본부장을 맡아, 민주당의 정권 탈환 전략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그는 최근 조희대 대법원장의 판결을 “사법 쿠데타”로 규정하며, 선거 개입에 대한 강한 경고 메시지를 전달했다. 운동권 출신 철학도에서 당내 전략가, 그리고 대선 총사령탑에 이르기까지, 윤호중은 한국 정치의 중심에서 민주당의 길을 설계해온 인물로 평가받는다.
윤 의원은 문재인 정부 출범 당시 국정기획자문위원회 기획분과위원장으로 활동하며 국정의 밑그림을 그리는 데 참여했고, 한일의원연맹, 국민총행복정책포럼 등 다양한 외교·정책 네트워크에서도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정당 내 주요 보직도 다양하게 수행했다. 그는 민주당 전략기획위원장, 수석사무부총장, 사무총장, 정책위의장 등을 역임했으며, 특히 2020년 제21대 총선에서는 공천관리와 기획을 총괄해 180석 압승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21년엔 제7대 원내대표로 선출됐고, 2022년 대선 패배 이후에는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아 당 수습을 이끌었다.
2004년 제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경기도 구리시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되며 첫 입성한 그는, 2008년 18대 총선에서는 낙선했지만 이후 2012년 19대 총선에서 재선에 성공했다. 이후 20·21·22대 총선까지 내리 당선되며 구리시에서 5선을 기록했다.
윤 의원은 1963년 경기도 가평에서 태어나 춘천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다. 대학 시절 학원자율화추진위원장을 맡으며 민주화운동에 참여했고, 이로 인해 1985년 징역형을 선고받고 수감되었다. 이후 1988년 평화민주당 간사로 정계에 입문, 한광옥 의원의 보좌관으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김대중 정부에서는 청와대 민정 및 정책기획 행정관으로 발탁되며 실무 경험을 쌓았다.
2025년 5월 6일, 서울 ― 윤호중(尹昊重, Yoon Ho-jung)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현재 제22대 국회에서 5선을 기록한 중진 정치인으로, 당의 대통령선거 총괄선거대책본부장을 맡고 있다. 그는 서울대 재학 시절 운동권 활동으로 정치에 입문한 이후, 30년 가까이 여권의 전략가이자 정책 조정자로 자리매김해왔다.
[Log 들어가는 글] 윤호중, 운동권 출신 철학도에서 민주당 전략가로…5선 중진의 선거 총지휘
He concluded by framing the election as a pivotal referendum on democracy itself, declaring: “This election is not just about choosing a leader. It’s about ending the extremist faction that brought this nation to the brink. We will fight with all we have to build a real democracy in Korea.”
Yoon went on to assert that the conservative bloc, which he described as “far-right insurrectionist forces,” has already undermined public trust in core institutions such as the military, government, and judiciary. “Since the December 3 martial law incident, the social capital built over four decades — the faith in democratic order — has collapsed,” he warned.
He strongly criticized Chief Justice Cho Hee-dae (조희대) for what he described as unconstitutional intervention in the election process. Yoon called on the court to delay all trial proceedings involving presidential candidates until after the June 3 election, citing the danger of irreversible damage to electoral fairness and voter confidence.
“The candidate is doing his part — listening to citizens and delivering policies for their well-being. Now it’s time for the judiciary to fulfill its own responsibilities,” Yoon stated.
Yoon emphasized that the campaign leadership, responsible for the operational core of the election strategy, would take full responsibility and act with determination. He pointed out that Lee Jae-myung has resumed his second “Neighborhood Listening Tour,” covering southern Gyeonggi, Chungcheong, and Jeonbuk provinces. According to Yoon, Lee is presenting policies directly informed by public input, including pledges on youth welfare, traditional Buddhism, and children’s rights.
Speaking at the campaign’s first public executive meeting, Yoon asserted that the court's May 1 decision stripped Democratic Party candidate Lee Jae-myung (이재명) of his fair opportunity to campaign, labeling the move as part of a broader effort by the conservative establishment to derail democracy and suppress public sovereignty.
Seoul, May 6 — Yoon Ho-jung, chief coordinator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s (더불어민주당) central campaign committee, on Tuesday condemned the Supreme Court's recent ruling as a “judicial coup,” accusing the judiciary of interfering in the upcoming presidential election and undermining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political neutr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