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맨위로

국힘, 대여투쟁 외치지만 거울 속 민심은 외면 못 한다 [김용태-Log]

등록일 2025년06월13일 12시24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13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있는 김용태 위원장. 사진- NjT.

 

대여투쟁 외치지만 거울 속 민심은 외면 못 한다

 

2025년 5월12일.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이 이재명 대통령과 관련된 수원지법 대북송금재판 관련 현안 입장을 발표했지만 기자들의 관심은 국민의힘 개혁에 더 관심 있었다. 박형수 원내수석부대표도 별도의 현안 관련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재명 정부를 비판했지만 기자들은 국민의힘 개혁에 관심을 집중시켰다. 

 

국민의힘은 내란 동조 등으로 정당 해산 가능성이 매우 크다. 계엄은 반대했다고 하지만 계엄 해제 표결에 대부분 참여하지 않았고 이후 이어진 여러 의원들의 발언을 보면 통진당의 내란으로인한 정당 해산 사유보다 결코 가볍지 않다. 

 

홍준표 전 국힘 대표도 최근 페이스북에 "무지몽매(無知蒙昧) 하다는건 이럴 때 하는 말이다. 이재명 정권이 특검 끝나면 정당 해산절차에 들어 갈 것으로 보이니 각자도생할 준비들이나 하거라."라고 썼는데 정당 해산은 어쩌면 당연한 절차다. 

 

국힘은 현 상태로는 의회의 파트너가 될 수 없다. 

 

그렇기에 파트너 자격도 없는 정당히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을 아무리 비판해봐야 여론이 들끓지 않는다. 특히 중도층은 꼼짝도 하지 않는다. 

 

김용태 위원장의 발표 직후 기자들의 질문은 대부분 개혁과 관련된 것이었다. 김 위원장은 "당원 여론조사를 통해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 여부를 묻겠다"는 방침을 거듭 강조하며 "우리 스스로 개혁의 적기를 놓쳐 개혁의 대상이 되는 실수를 반복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당원들의 뜻과 맞지 않다면 언제든 철회할 준비가 돼 있다"며 "당원 여론조사가 절차상 명시된 규정은 아니지만, 의원총회나 비대위 의결을 거쳐 정당성을 확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당심과 민심은 다르지 않다"며 당원들의 현명한 판단을 신뢰한다고 덧붙였다.

 

당내 개혁안 논의가 지도부 성향에 따라 달라진다는 지적에는 "전임 지도부든 신임 지도부든 개혁 논의는 계속될 수 있다"며 "우리 스스로 개혁의 시기를 놓쳐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최근 당내 시각과 국민 여론 간 괴리 지적에 대해서는 "지난 대선 후보 교체 과정(소위 의회 쿠데타-편집자주)에서도 당원들이 잘못을 바로잡았다"며 "당원이야말로 당의 방향을 정확히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달 위원장 임기 완료와 관련해선 "임기보다 개혁 완수가 중요하다"며 "개혁이 미완이라면 임기 자체가(연장이든 종료든) 의미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선 패배 이후 오답노트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갈등이 불가피하더라도 성찰과 개혁의 의지를 국민에게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는 말처럼 내부 성찰과 개혁 없이는 외부 투쟁도 설득력을 가질 수 없다"며 "국민의힘이 대안정당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반성과 변화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거듭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 문제에 대한 당원 여론조사 실시를 위해 의원들의 협력을 요청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위원장은 이른바 '3특검' 구성에 대해서는 "공정성이 핵심인데, 민주당 성향이 강한 인사가 포함된 점에서 국민 신뢰를 얻기 어려울 것"이라며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국민 통합과 특검 구성의 취지가 맞는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오광수 민정수석의 사의 표명과 김민석 국무총리 지명자 논란에 대해 "도덕성이 무엇보다 중요한 자리"라며 비판적 입장을 내놨다. 그는 "김 지명자를 둘러싼 정치자금 및 자녀 관련 의혹이 국민 상식에 맞지 않는다"며 "이재명 대통령은 지명을 철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죄 있는 권력자는 법망을 피해도 괜찮다는 뜻인가' 
 

2025년 5월12일.   국민의힘은 9일 의원총회에서 서울고등법원의 이재명 대통령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파기환송심 재판 연기 결정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특히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은 사법부의 독립성을 훼손하는 판단이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지금 이 순간 대한민국 사법부가 권력의 입김 앞에 흔들리는 정의의 저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서울고법이 이재명 대통령 사건의 1차 공판 기일을 또다시 연기한 데 대해 '헌법 제84조 대통령 불소추 특권'을 이유로 들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김 위원장은 "대통령이 되면 죄가 사라지는가"라며 "헌법 84조는 면죄부가 아니며 이미 기소된 사건의 재판까지 중단하라는 조항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지난 5월 1일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이 사건을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했고, 서울고법은 15일 첫 공판을 열겠다고 했으나 이재명 후보 측의 요청으로 기일이 연기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추가 연기 결정은 법원이 "통치 권력의 눈치를 본 결과"라고 주장했다.

 

민주당이 형사소송법 개정을 추진하는 움직임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김 위원장은 "대통령이 됐으니 아예 재판을 하지 못하게 막겠다는 것"이라며 "사법부를 정치 권력의 하명 기관쯤으로 여기는 태도"라고 비난했다.

 

김 위원장은 "법 앞에 모든 국민이 평등하다는 헌법 정신이 무너지고 있다"고 우려를 표하며, 이재명 대통령 사건의 심리가 중단된다면 '죄 있는 권력자는 법망을 피해도 괜찮다는 뜻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우리는 지금 대통령이 된 순간 죄가 정지되는 제왕적 불소추 특권 국가로 가는 길목에 서 있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이번 사안에 대해 "침묵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사법부가 눈을 감는다면 우리가 국민을 대신해 부당함을 고발하겠다"며 "헌법 질서를 지키기 위한 입법적·정치적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법원에 대해서도 "더 이상 권력의 눈치를 보지 말고 정의의 눈을 바로 뜨라"고 촉구했다.

 

한편, 김 위원장은 전날 발표한 당 개혁 방안과 관련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당이 무너지는 것을 젊은 정치인으로서 보고만 있을 수 없어 책임 있는 개혁안을 제시했다"며 "비상대책위원장으로서 의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품고 희망을 녹여내겠다"고 말했다.

 

 

People Power Party Slams Seoul High Court’s Decision to Delay Lee Jae-myung’s Trial

 

SEOUL — The People Power Party (국민의힘) on Monday strongly condemned the Seoul High Court’s decision to delay President Lee Jae-myung’s (이재명) retrial on election law violations, with party emergency committee chair Kim Yong-tae (김용태) warning that no one, not even the president, is above the law.

 

Speaking during a party caucus, Kim accused the judiciary of caving to political pressure, stating, "At this moment, South Korea’s judiciary is becoming a scale of justice swayed by power." He criticized the court’s reliance on Article 84 of the Constitution, which grants the president immunity from prosecution, as grounds for postponing the retrial. "Becoming president does not erase one’s crimes," Kim argued, adding, "Article 84 is not a blanket pardon and does not mandate halting trials of already indicted cases."

 

Kim noted that the Supreme Court had previously overturned an acquittal and sent the case back for retrial with a guilty recommendation on May 1. The High Court had initially scheduled a first hearing for May 15 but postponed it at the request of Lee’s legal team. "By delaying the trial again, the court is effectively admitting it is mindful of political considerations," Kim asserted.

 

He also criticized the Democratic Party’s push to revise criminal procedure laws to shield the president from ongoing trials. "This is an attempt to prevent the judiciary from holding the president accountable, treating it as a subordinate agency of political power," Kim said.

Warning that the principle of equality before the law is under threat, Kim questioned whether allowing the president to avoid trial would signal that those in power are above the law. "We stand at the crossroads of becoming a monarchy-like state where presidential immunity is absolute," he cautioned.

 

The People Power Party vowed to resist the move. "If the judiciary closes its eyes, we will speak out on behalf of the people," Kim declared, pledging legislative and political action to uphold constitutional order. He urged the courts to "stop bending to political power and uphold justice," warning that failure to do so would turn the nation into "an unconstitutional republic ruled by political whim instead of the rule of law."

 

Kim also addressed his party’s internal reforms, saying he had proposed responsible reforms as a young politician unwilling to watch the party collapse. "As emergency committee chair, I will incorporate diverse views from lawmakers and lead reforms with dignity," he said.

 

김용태 의원. 사진 -NjT

 

2025년 5월12일.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가 12일 제46차 회의에서 제22대 국회의원 김용태(1990년생)를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임명하며 청년을 전면에 내세운 인선안을 확정했다. 그러나 전체 명단을 살펴보면 지도부 대부분은 탄핵 반대파들이다. 이는 '혁신'의 진정성에 대한 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김용태 의원은 비상대책위원장과 청년본부장을 겸직하게 됐으며, 역대 최연소 비대위원장으로서 주목을 받았다. 당은 젊은 인물의 전면 배치를 통해 변화의 이미지를 부각하려 했지만, 비대위 구성의 실질적 권한은 탄핵 반대 세력 인사들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다.

 

비대위 총괄지원본부장은 '친윤' 박대출(1961년생) 의원이 맡았으며, 총괄부본부장과 상황실장 등 핵심 실무자 역시 정희용(1976년생), 장동혁(1969년생) 의원 등 '친윤'들이 포진했다. 공보단과 정책총괄본부, 홍보·미디어 본부에도 김상훈, 강승규, 김정재 의원 등 탄핵 반대파들이 중용됐다.

 

대통령 후보 직속 자문 및 보좌 기구는 김문수 후보와 소통이 원활한 '친김' 김재원, 이종배, 김선교 등 과거 당 지도부를 지낸 인물들이 비서실장, 특보단장 등으로 복귀했다.

 

나경원 의원은 국가대개조위원장으로 이름을 올렸다. 이밖에도 유상범, 김미애, 송언석 의원 등은 입법·경제·약자정책 관련 위원회를 이끌게 됐다.

 

일각에서는 김용태 의원의 발탁이 실제 권한 없이 이미지 쇄신용에 그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청년정책본부장으로 이름을 올린 최인호 전 전국학생수호연합 대변인도 주목을 받고 있지만, 실질적 정책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번 인선에 대해 한 정치 분석가는 “세대 교체라는 상징은 확보했지만, 당의 실질적 운영 구조가 변화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평가했다.

 

지난 최종 경선에서 득표율 40% 이상을 기록했던 한동훈 계열 의원 및 관계자는 단 한 명도 선택되지 않아, 기울어진 운동장임이 확인됐다. 

 

[Log로 들어가는 글] 김용태, 국민의힘 최연소 비대위원장…정치개혁과 세대교체 교차점에 선 인물

 

서울 ― 제22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김용태(1990년생)가 2025년 5월,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으로 내정되면서 한국 정치의 세대교체 흐름을 상징하는 인물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정계 입문부터 최근 당내 요직에 이르기까지, 김 의원의 행보는 청년 정치의 도전과 전환, 개혁적 보수의 갈림길을 모두 담아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서울에서 태어나 경기도 포천에서 자란 김 의원은 광운대학교와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환경공학과 에너지환경정책을 전공하고, ROTC 출신 육군 장교로 복무한 이력을 갖고 있다. 2018년 무소속으로 서울 송파구 구의원 선거에 출마하며 정계에 입문한 그는 이후 바른정당, 새로운보수당, 미래통합당을 거쳐 국민의힘에 합류했다.

 

그는 2020년 광명시 을에 도전했지만 낙선했고, 2023년에는 이준석 전 대표를 중심으로 한 '천아용인' 그룹 일원으로 전당대회에 도전했으나 고배를 마셨다. 같은 해 말 개혁신당 창당 흐름 속에서도 잔류를 선택하며 당내 개혁을 강조한 바 있다.

 

2024년 제22대 총선에서 고향 포천·가평에 출마한 김 의원은 50.47% 득표율로 당선되며 국회에 입성했다. 이후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 불참, 비상계엄 해제 동의 등 이슈에서 소신 발언과 행동으로 주목을 받았으며, 윤석열 정부의 한계를 지적하면서도 보수의 정체성을 재정립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그는 한때 당내 비주류인 천아용인 계열로 분류됐지만, 최근 행보는 주류와의 조율을 통해 보수 정당의 방향성을 재정립하려는 움직임으로 읽힌다. 김 의원은 22대 총선 당시 “당의 자정 작용이 부족해 참패를 맞았다”는 발언을 통해 대통령실에 당의 목소리를 더 반영할 것을 촉구한 바 있다.

 

이번 비대위원장 지명은, 35세라는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지난 총선 과정에서의 전략과 조직 내 역할 수행이 긍정적으로 평가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는 과거 ‘이핵관’으로 불릴 만큼 이준석과의 관계가 가까웠지만, 최근에는 당내 개혁을 위한 독자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기후위기 대응, 에너지 정책, 청년정치 확대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온 그는 국회 수소경제포럼, 기후변화포럼, 연금특위 등에도 참여하며 정책적 전문성을 강화해왔다.

 

Kim Yong-tae Named Emergency Steering Committee Chair of People Power Party, Signaling Generational Shift

 

Kim Yong-tae (김용태), a 35-year-old lawmaker representing Pocheon and Gapyeong in Gyeonggi Province, has been designated as the next Emergency Steering Committee Chair of the conservative People Power Party (국민의힘), marking a significant generational change in the party’s leadership.

 

Kim, who was born in Seoul and raised in Pocheon, entered politics after military service as an army engineer officer. He holds degrees in environmental engineering from Kwangwoon University and energy and environmental policy from Korea University. His political career has spanned several conservative factions, including Bareun Party, New Conservative Party, and United Future Party before consolidating his role within People Power Party.

 

After initial unsuccessful bids in local and general elections, Kim finally secured a parliamentary seat in April 2024 with a narrow win in his hometown. Known for being part of the “Cheon-A-Yong-In” group aligned with former party leader Lee Jun-seok (이준석), he later chose to stay in the PPP while others formed a new reform party. He positioned himself as a reformist voice within the establishment.

 

In recent months, Kim made headlines for his nuanced stance during the constitutional crisis involving President Yoon Suk Yeol (윤석열), supporting the lifting of emergency rule but abstaining from the first impeachment vote. He later backed the special prosecutor bill targeting alleged abuse of power by the Yoon administration.

 

Observers see his appointment as a strategic move by the party to bridge the gap between younger reformist forces and the traditional leadership. Despite his past association with anti-mainstream factions, Kim has increasingly taken on more centrist and leadership-oriented roles, advocating for climate policy, pension reform, and youth engagement in politics.

 

His rise to the top post — the youngest ever in PPP history — reflects a broader political realignment where reform and continuity coexist amid demands for accountability and modernization within South Korea’s conservative bloc.

 

본 기사는 유료기사로 기사의 일부만 제공됩니다.
- 결제 즉시 유료 기사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디지털 콘텐츠 특성상 환불되지 않습니다. (단, 미사용시 환불 요청 가능)
- 결제한 내역은 마이페이지 결제내역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환불 및 변경 문의와 관련해서는 메인페이지 하단 [이용약관 및 고객지원]을 통해
더 자세한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정기회원권은 회원가입 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 정기회원권은 마이페이지 또는 사이트 우측 상단 이용권결제를 이용해주세요.
박병기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김용태 비대위원장 6월까지로 임기 마감할 듯
정은경, '12.3 내란 후 6개월 되는 날=대선 투표일' [정은경-Log]
김건희는 유보, 김혜경은 당장? 김용태의 선택적 정의 Kim Yong-tae Apologizes Over First Lady Controversy
'착한(?) 김문수'와 '준우 아빠' [한민수-Log]
“유세 참여 열기, 방탄유리도 뚫는다” [이재정-Log]
이재명 대통령, 결국 민정수석으로 오광수 임명 [강훈식-Log]
"보복? 그런 것 없다. 내란에 대한 철저한 단죄는 있다" - MB 정부 법제처장 이석연 [이석연-Log]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국민의힘 소속 광역단체장 11명 고발 [박균택-Log]
민주당 “김문수는 윤석열 지령받는 아바타냐” [조승래-Log]
[단독] 홍준표 지지자들, 이재명 지지 선언 강행…보수진영 무너진다
매경기 증명해도 벤치행… 김혜성, 플래툰의 감옥 Punished by Platoon: Hye Seong Kim’s Talent Wasted [김혜성-Log]
"명태균식 여론조작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천준호-Log]
김윤덕, “사법부 3차 내란 가담…조희대 대법원장, 답해야” [김윤덕-Log]
박범계, "대법원, 선입적 결론에 따라 선거 개입" [박범계-Log]
윤호중 “대한민국 경제 코드블루…민생 파탄, 내란세력 심판해야” [윤호중-Log]
김문수는 어떤 나라를 만들고 싶은 것인가 “자유·성장·안보” 10대 핵심공약 [김문수-Log]
조희대로인해 "판사 3,200명의 명예가 무너졌다" [박은정Park-Log]
“고객 피해에 고객이 책임지라는 SKT 대책” [이해민LeeHM-Log]
대선은 맛집 아니라 맷집 - 한덕수 저격 [박성준ParkSJ-Log]
[충격] 고급 룸살롱 접대 의혹에 휩싸인 지귀연 판사, 내란 재판 중단 요구 확산될 듯 [김용민KimYM-Log]
한국 경제, ‘중병’ 상태…홍성국 '치료 위해 국정기획위원회 중요' [홍성국-Log]
"SKT 해킹 사고 수습 미흡…정부·방통위원장 책임 방기" [이정문Lee-Log]
김민석 '10대 결격 사유'에 대한 답변을 정리해보았다 [김민석-Log]

가장 많이 본 뉴스

뉴스 인물 교육 시리즈 짘놀

포토뉴스 더보기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