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맨위로

김병기, "윤석열, 내일 구속영장 실질심사 | 정의 회복되는 날" Yoon Suk Yeol Faces Detention Hearing as Democrats Push for Economic and Inter-Korean Stabilization [김병기-Log]

등록일 2025년07월08일 12시38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김병기, 윤석열, 내일 구속영장 실질심사, 정의 회복되는 날

 

2025년 7월8일더불어민주당은 8일 국회에서 열린 제43차 원내대책회의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 실질심사가 9일 열릴 예정이라고 밝히며, “내란 수괴의 마지막 여흥은 끝났다”고 규정했다.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윤 전 대통령의 행보를 ‘4개월 간의 탈옥 생활’로 표현하며, ‘법과 역사의 심판’이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김 원내대표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특검 조사 중에도 부하들에게 유리한 허위 진술을 강요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참으로 뻔뻔하고 끈질긴 내란 세력'이라 규정했다. 그는 "내일은 윤석열이 무너뜨린 상식과 정의가 다시 바로 서는 날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적극적 재정 집행과 평화 정책에 대한 입장도 함께 제시됐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추경 예산 31조8천억 원 가운데 85%가 9월 말까지 집행될 예정”이라며, 골목상권 지원과 폐업자 재기 지원 등이 포함된 이번 추경이 내수 진작과 생활비 부담 완화에 실질적 효과를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코스피가 3년 6개월 만에 3,000선을 돌파한 뒤 2주째 유지되고 있는 점, 해외 투자은행들이 한국의 6월 성장률 전망을 상향 조정한 점 등을 들어 '새 정부 출범 후 민생 회복 기대가 커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동시에 지난해 폐업자가 100만 명을 넘은 현실을 지적하며, 빠르게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남북 관계와 관련해, 김 원내대표는 이날 납북자 가족 모임과 파주시가 대북 전단 살포 중단을 공동 선언할 예정이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그는 '접경 지역 주민들의 안전을 해쳐 온 대북 전단 살포가 중단되면 일상의 평화가 회복될 것'이라고 평가하면서, '지속적인 한반도 평화를 위해 정부의 남북관계 개선 노력을 입법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평화가 곧 경제’라는 점을 거듭 강조하며, ‘코리아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민생경제 회복의 핵심’이라며 남북관계 안정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Yoon Suk Yeol Faces Detention Hearing as Democrats Push for Economic and Inter-Korean Stabilization

 

Seoul — Yoon Suk Yeol, the former president of South Korea, is scheduled to undergo a detention warrant hearing on Wednesday(KST), signaling what the Democratic Party called “the end of a fugitive era.” At the 43rd Democratic Party leadership meeting held on Tuesday, acting party leader and floor leader Kim Byung-kee declared that Yoon’s “four-month jailbreak” would soon come to a close, warning that those who supported his alleged insurrection must remain vigilant under the law’s scrutiny.

 

Kim accused Yoon of coercing his subordinates into submitting favorable yet false testimonies during the ongoing special investigation, calling his actions brazen and persistent. He expressed hope that Wednesday’s legal proceedings would serve as a pivotal moment for restoring justice and public trust in the judiciary.

 

The session also focused on economic recovery efforts. Kim outlined that the government plans to execute 85% of its supplementary 31.8 trillion won ($23 billion) budget by the end of September. The budget includes emergency support for small business closures and revitalizing local markets, measures he said would help boost domestic spending and reduce living costs for the public.

 

Kim emphasized the encouraging economic indicators, such as the KOSPI surpassing the 3,000-point threshold for the first time in three and a half years and staying steady for two weeks. He also cited upward revisions of Korea's growth forecasts by major global investment banks in June. Yet, he acknowledged the lingering damage from the Yoon administration, particularly last year’s record-breaking 1 million business closures, calling for swift and tangible policy action.

 

On inter-Korean relations, Kim welcomed a joint declaration from the Families of Abductees and Paju City to cease sending propaganda leaflets to North Korea. He stressed that these acts had endangered border residents and worsened inter-Korean tensions. He urged other organizations to follow suit to help maintain regional stability.

 

Reiterating his stance, Kim stated that “peace is the economy,” advocating for a stable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as essential for long-term national growth and daily life security. The Democratic Party, he added, would support any genuine efforts by the current administration to build sustainabl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김병기, '정치검찰의 조작 기소 반드시 끝낼 것' 

 

2025년 7월7일.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7일 국회 본청에서 열린 ‘검찰 조작기소대응 TF’ 발대식에서 검찰의 권한 남용과 정치적 탄압을 정면으로 비판하며, 독립기구 설치 및 전면적 수사를 통한 진상 규명을 강조했다.

 

그는 검찰 개혁을 “국민의 명령이자 시대적 과제”로 규정하며 TF 출범의 의미를 부각시켰다. 실제 여론조사 꽃이 7일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응답자는 검찰개혁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2.8%는 '빠른 법안 통과 후 연내 시행해야 한다'(연내 시행)고 답했고 30.6%는 '충분한 시간을 두고 단계적으로 천천히 시행해야 한다'(단계적 시행)라고 답했다. 80% 이상이 검찰개혁이 필요하다고 답한 것이다. 반면 13.2%만이 '검찰 개혁은 필요 없다'(불필요)고 답했다. 

 

이런 국민의 열망 속에 김 민주당은 태스크포스(TF)를 발동하게 된 것이다. 김 원내대표는 윤석열 정권 하에서 검찰의 무분별한 기소와 강제 수사가 야당과 언론, 노동계 전반에 걸쳐 피해를 초래했다고 말했다.

 

그는 '기소를 목적으로 한 수사', '기소에 맞춘 조작'이라는 표현으로 검찰의 관행을 비판하며,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였던 이재명을 비롯해 다수 의원들이 고통을 받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뉴스타파의 언론인과 노동자 등 일반 시민들 역시 정치 검찰의 타깃이 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뉴스타파 등 언론인들과 조폭으로 몰린 노동자들이 부당한 피해를 입었다'며, 이는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고 자유로운 비판을 억압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날 회의에서 김 원내대표는 검찰 조직 내 조작 수사의 실체를 밝히기 위한 독립기구 설치를 제안했다. 그는 '검찰 스스로 자성과 책임을 져야 할 시점'이라며, 피해자들에게 공식적이고 진정성 있는 사과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정치 사건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해 실체적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TF가 검찰로 하여금 자성하고 책임지게 만들며, 검찰개혁의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더불어민주당은 정치검찰의 흑역사를 반드시 끝내고 검찰개혁을 완수하겠다”고 말했다.

 

 

Kim Byung-kee Demands Prosecutorial Accountability, Launches New Reform Task Force

 

Seoul — Kim Byung-kee, acting leader and floor leader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DPK), announced a robust push for prosecutorial reform during a launch ceremony for the "Prosecution Fabricated Indictment Solution Task Force" at the National Assembly on Monday. In a speech that sharply criticized what he called the abuse of prosecutorial power under the Yoon Suk Yeol administration, Kim declared the formation of an independent body to investigate politically motivated prosecutions.

 

Kim contended that under Yoon's government, prosecutors conducted investigations not to seek truth, but to justify indictments, describing the pattern as a system where "cases were fabricated to fit the charge." He highlighted that Lee Jae-myung, then-leader of the Democratic Party, along with numerous DPK's lawmakers, endured immense suffering as a result of such tactics.

 

He further argued that the damage extended beyond politics, affecting journalists from outlets like Newstapa and ordinary laborers, some of whom were allegedly misrepresented as gang members. These actions, Kim said, amounted to repression of civil liberties and an assault on the right to free criticism.

 

In response, Kim proposed during a Supreme Council meeting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investigative unit tasked with exposing institutional misconduct inside the prosecution. He called on prosecutors to offer a public and sincere apology to those harmed and to take full responsibility through comprehensive case reviews.

 

Kim expressed confidence that the task force would spark introspection within the prosecution and serve as a catalyst for deeper reforms. "The Democratic Party will end the dark chapter of political prosecution and fulfill the mandate for reform," he concluded.

 

4일 최고위원회의 모두 발언에 앞서 인사하고 있는 김병기 원내대표. 사진- NjT.

 

민생 추경 합의 무산…민주당, 윤석열 재구속 촉구

 

2025년 7월4일.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겸 당대표 직무대행은 4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의힘의 태도가 민생 회복을 가로막고 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이 종합정책질의를 이틀간 보장하면 추경을 처리하겠다는 약속을 했고, 이에 따라 질의 일정을 하루에서 이틀로 조정했지만, 4일 새벽 1시 30분경 합의는 최종적으로 결렬됐다고 전했다.

 

김 원내대표는 '민생 경제 회복의 골든타임이 점점 흘러가고 있다'며 "오늘 본회의에서 반드시 추경을 통과시키겠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재구속을 촉구했다.

 

군 장교의 녹취록을 인용하며, 윤 전 대통령이 작년 10월과 11월 무인기를 평양에 침투시킨 정황이 드러났다고 전했다. 김 원내대표는 '북한이 군사적으로 대응했다면 남북 간 무력 충돌과 대규모 참사가 발생했을 것'이라며, 윤 전 대통령의 행위는 국민을 위험에 빠뜨린 중대한 반역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외환죄만으로도 재구속 사유가 충분하다며 내란특검의 강력한 조치를 요구했다.

 

한편, 김 원내대표는 이재명 정부 출범 한 달을 맞아 대통령의 행보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이 G7 정상회의 참석을 시작으로 당 대표 오찬, 광주·전남 타운홀 미팅, 기업인 간담회 등 활발한 소통을 통해 정치 복원과 실용 행정을 동시에 실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첫 행정명령으로 비상경제대응TF를 출범시키고, 울산 AI 데이터센터 개소,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등 민생과 경제 회복을 위한 구체적 청사진도 제시했다고 강조했다.

 

김 원내대표는 "국민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정부가 되어야 한다"며 "민주당은 이재명 정부와 국민의 성공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Democratic Party Condemns People Power Party and Demands Yoon’s Re-arrest Over Drone Allegations

 

July 4, 2025(KST), Seoul — Kim Byung-kee, Floor Leader and acting leader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sharply criticized the People Power Party during a leadership meeting on Thursday, accusing them of obstructing efforts to pass the supplementary budget aimed at economic recovery.

 

Kim stated that the bipartisan agreement on the livelihood budget collapsed due to the People Power Party’s delay tactics, including disputes over committee appointments and extended questioning. Despite the Democratic Party's concession to allow two days of inquiries, he revealed that the agreement fell apart at around 1:30 a.m. Friday. "The golden hour for economic recovery is slipping by," Kim said, vowing to pass the budget during Thursday’s plenary session.

 

The floor leader also urged the immediate re-arrest of former President Yoon Suk Yeol, citing a newly surfaced military officer’s recording that allegedly reveals Yoon’s order to send drones into Pyongyang last October and November. Kim warned that if North Korea had reacted militarily, the situation could have escalated into a full-scale conflict. "This is not just a betrayal of trust—it’s a threat to national security," he said, emphasizing that Yoon's actions justified re-arrest on charges of treason. He also demanded decisive action from the special prosecutor investigating the insurrection case.

 

Kim further praised President Lee Jae-myung’s first month in office, citing his attendance at the G7 summit, town hall meetings, and budget addresses as signs of proactive leadership. He noted that Lee’s administration launched emergency economic measures, relocated the Oceans Ministry to Busan, and laid out a roadmap for growth, including a KOSPI vision of 5,000 points. “This is what a capable government looks like,” Kim said, highlighting a nearly 60% approval rating as both an endorsement and an expectation of results.

 

"The Democratic Party will fully support the success of President Lee and the people," Kim concluded.


김병기 원내대표. 사진- NjT DB

 

오늘 코스피5000 시대를 위한 중요한 첫 걸음…오늘 상법 개정안 처리 예정

 

2025년 7월3일. 더불어민주당은 3일 열린 제42차 정책조정회의에서 상법 개정안 통과와 함께 국정안정을 위한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인준안 처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본회의에서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경제입법인 상법 개정안이 오후 본회의 표결에 부쳐지게 되며, 이는 코스피5000 시대의 개막과 함께 경제개혁의 신호탄으로 평가됐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모두발언에서 "이번 상법 개정은 단순한 법 개정이 아니라 경제 개혁의 첫걸음이며,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 이행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 의무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외에도, 지배주주 의결권을 3%로 제한하는 조항이 추가됐다. 집중투표제와 감사위원 분리선출 확대는 공청회를 거쳐 추후 논의될 예정이다.

 

'이사의 충실 의무'는 기업의 이사가 개인의 이익이 아니라 기업과 주주 전체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행동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전자주주총회 의무화'는 기업이 주주총회를 온라인으로도 개최하도록 의무화하여, 모든 주주들이 쉽고 편하게 참석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지배주주 의결권을 3%로 제한하는 조항(3% 룰)'은 대주주(많은 주식을 보유한 주주)가 특정 사외이사 또는 감사 선출 과정에서 행사할 수 있는 의결권을 전체 의결권의 최대 3%까지만 허용하여 특정 주주의 영향력을 제한하고 소액주주들의 목소리를 보호하는 것이다. '집중투표제'는 한 명의 이사 선출 시, 주주가 가진 표를 집중적으로 행사할 수 있게 하여 소수주주들이 원하는 이사를 선임할 가능성을 높이는 제도이다. '감사위원 분리선출 확대'는 회사 경영진을 견제하는 감사위원을 경영진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출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이렇게 하면 경영진에 대한 감독과 견제 기능이 강화된다.

 

위 내용은 모두 기업 운영의 투명성을 높이고 소액주주를 보호하는 제도들이다. 이로 인해 기업들이 더 공정하게 운영되고 주주들이 기업의 경영에 신뢰를 갖게 되면, 국내외 투자자들의 자본이 더 많이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자본 유입은 기업 가치 상승으로 이어지고, 이는 코스피 지수가 상승하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 결국, 이러한 제도적 기반을 통해 시장의 신뢰가 높아지고 투자자들이 몰리면 한국 증시는 더 성장할 수 있고, 코스피 지수 5000 시대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김 원내대표는 또 '정치는 정치인이 아니라 국민이 한다는 사실을 이번 입법과정을 통해 확인했다'며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지를 높이 평가했다. 그는 '경제계의 우려도 충분히 듣고, 향후 정책과 입법에 반영하겠다'며 이해 당사자들과의 지속적 소통을 약속했다.

 

김 원내대표는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인준안에 대해서는 "총리 인준이 계속 미뤄질 경우 국민은 더 이상 이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국정안정을 위한 필수 조건으로 인준의 시급성을 역설했다. 이재명 정부가 인수위 없이 복합 위기 속에서 출범한 만큼, 본격적인 국정 수행을 위해 총리 인준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김 원내대표는 국민 지지율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지난 6월 말 발표된 리얼미터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60%에 육박하고 있으며, 그는 '높은 기대를 실질적인 성과로 연결하겠다'고 밝혔다.

 

끝으로 김 원내대표는 "이재명 정부는 공정한 시장 질서를 기반으로 코스피5000 시대를 열어나갈 것"이라며, 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 대리인으로서 책임을 다할 것을 다짐했다.

 

 

South Korea Moves to Usher in 'KOSPI 5000' Era with Landmark Corporate Reforms

 

SEOUL — South Korea will take a significant step toward economic reform on Thursday as the National Assembly prepared to vote on a sweeping overhaul of corporate governance rules, aiming to bolster transparency and investor confidence as the country targets a historic milestone for its stock market—the "KOSPI 5000 era" despite the KOSPI currently hovering just above 3000 points. 

 

In a policy meeting held early Thursday, Kim Byung-kee, floor leader and acting chairman of the Democratic Party,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the amendments to the Commercial Act. “This revision isn't merely about altering the law. It’s the first step toward comprehensive economic reform and fulfills a major campaign pledge by President Lee Jae-myung,” Kim said.

 

Key provisions in the proposed legislation include imposing stricter fiduciary duties on corporate directors, mandating electronic shareholder meetings to broaden participation, and implementing a "3% rule" restricting voting rights of major shareholders in elections of external auditors. Further measures, such as cumulative voting and separate elections for audit committee members, remain under discussion pending public consultations.

 

The fiduciary duties outlined in the amendment require directors to prioritize company and shareholder interests above personal gain, while electronic meetings aim to facilitate wider shareholder engagement. The controversial "3% rule" specifically targets the outsized influence of major shareholders by capping their voting power at 3%, thus enhancing the voice of minority investors.

 

Proponents argue that these changes are essential for improving corporate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which in turn would attract mor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vestors. The anticipated influx of capital is viewed as critical for driving corporate valuations upward, ultimately propelling South Korea’s benchmark stock index, the KOSPI, toward its ambitious 5000-point target.

 

Kim praised public participation in the legislative process, highlighting the power of grassroots engagement. “This process has reaffirmed that politics is driven by citizens, not just politicians,” he stated. He also committed to actively addressing business sector concerns through ongoing dialogue, ensuring future legislation reflects comprehensive input from stakeholders.

 

In addition to corporate reform, Kim pressed for urgent confirmation of Prime Minister nominee Kim Min-seok,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governmental stability. "Any further delay in confirming the Prime Minister will no longer be acceptable to the public," Kim warned. Given that the Lee administration took office amid complex crises without the benefit of a transition team, a fully functioning cabinet is seen as essential for effective governance.

 

Kim further cited President Lee's robust approval rating—approaching 60%, according to a recent Realmeter poll—as evidence of the public’s high expectations. “We must translate this confidence into tangible results,” he urged.

 

Kim concluded by reaffirming the administration’s commitment to fostering a fair market environment, declaring, “The Lee government, supported fully by the Democratic Party, is determined to usher in the KOSPI 5000 era through a market governed by clear, equitable rules.”

 

 

지나가던 소가 웃을 일…김건희 녹취를 우연히 발견? 

 

2025년 6월20일. 더불어민주당은 2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내란, 김건희, 해병대원 사건에 대한 3대 특검 수사가 속도를 내고 있다며,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검토 상황을 두고 “이것이 바로 진짜 정의 구현입니다”라고 강조했다.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내란 특검이 전 국방부 장관 김용현을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추가 기소했고, 경찰 출석 요구에 세 차례 불응한 윤석열에 대해 체포영장 신청을 검토 중”이라며, 법원이 김용현과 윤석열을 함께 재구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원내대표는 또 김건희 특검과 관련해, 검찰이 4년간 수사 끝에 무혐의 처분했던 주가조작 사건에서 특검 출범 직후 새로운 녹취 증거를 ‘우연히’ 찾았다고 한 점을 언급하며 “지나가던 소가 웃을 일”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김건희를 비호해 온 정치검찰은 이제 특검의 수사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3대 특검은 윤석열 정권이 무너뜨린 정의와 공정을 바로 세울 국민의 최종병기”라며, 민주당은 철저한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 원내대표는 최근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지지도가 60%에 육박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내란을 조속히 끝내고 경제를 살리라는 국민의 열망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는 스위스 IMD의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한국이 27위로 7단계 하락한 점도 12.3 내란 사태로 인한 정치·경제적 혼란이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국민과 정부는 앞서가고 있는데 정치만 뒤처지고 있는 것 같다”며, 국회가 즉시 가동되어 추경안과 민생 법안을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제안한 여야 지도부 회동을 계기로 성과 중심의 민생 정치에 나서야 한다며, 국민의힘의 협조를 강하게 요청했다

 

 

Korean Opposition Slams Prosecutors Over ‘Accidental’ Discovery of Evidence

 

SEOUL — South Korea’s ruling Democratic Party on Friday ridiculed prosecutors’ sudden discovery of new evidence in a long-dormant stock manipulation case involving former First Lady Kim Keon-hee (김건희), calling the timing so implausible that “you couldn’t make this up.”

 

Speaking at a party leadership meeting, Acting Chairman Kim Byung-ki (김병기) sharply criticized the prosecution for claiming they had “coincidentally” uncovered a new audio recording just as a special counsel probe into the case was launched. “After four years of silence, they suddenly find crucial evidence? It’s laughable even to animals,” Kim said.

 

The criticism was part of the party’s broader support for three ongoing special investigations: into former President Yoon Suk Yeol (윤석열) for his alleged role in a December 3 insurrection plot; into Kim Keon-hee’s financial dealings; and into the death of a Marine. Kim described the probes as essential tools to restore justice and fairness that had been eroded during the previous administration.

 

Kim also disclosed that the special counsel is reviewing a possible arrest warrant for Yoon, who has refused to comply with three police summons. Former Defense Minister Kim Yong-hyun (김용현) was reindicted this week for obstructing official duties. “The courts must act to re-detain both Yoon and Kim,” Rep. Kim declared. “This is what real justice looks like.”

 

He further pointed to President Lee Jae-myung’s (이재명) nearly 60 percent approval rating as proof of the public’s desire to resolve the insurrection fallout and revive the economy. Conversely, he cited South Korea’s drop to 27th in IMD’s global competitiveness ranking as evidence of the destabilizing effects of the political crisis.

 

Calling for the National Assembly to convene without delay, Kim urged swift passage of a supplementary budget and key social legislation. He welcomed President Lee’s proposal for a bipartisan leadership summit and demanded cooperation from the opposition People Power Party (국민의힘). “The people and the government are already moving forward,” he said. “Politics must catch up.”

 

 

김병기, '3대 특검 방해 시도는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

 

2025년 6월18일.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1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안의 조속한 편성과 집행을 강조하고, 내란 수사 및 특검 활동, 국무총리 인사청문회 관련 야당의 공세를 정면으로 반박하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위기 상황에서는 확장 재정이 기본"이라며 이재명 대통령이 지적한 소득 지원과 소비 진작의 병행 필요성에 전적으로 공감한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가 보다 과감한 추경안을 편성할 것을 촉구하며, 민주당은 그 즉시 구체적 실행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김병기 원내대표는 내란 특검, 김건희 특검, 해병대원 특검 등 3대 특검의 본격적인 활동을 앞두고 "내란 수괴 윤석열은 수사에 불응하며, 부인 김건희는 입원으로 수사를 회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 같은 상황의 책임이 지귀연 판사와 심우정 검찰총장에게 있다며 "3대 특검 방해 시도는 결코 용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 원내대표의 발언은 민생 추경과 내란 수사 외에도 여야 간 협력 필요성을 강조하는 데도 방점을 뒀다. 그는 "민생에는 여야가 따로 없다"며 국민의힘의 협조를 요청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경제 위기 극복, 국무총리 후보자 김민석 검증 과정, 북한과 러시아 간 군사협력, 내란 관련 주요 인사들의 석방 가능성 등 복합적 현안에 대한 민주당의 입장도 폭넓게 논의됐다. 민주당은 윤석열 전 대통령과 검찰·사법권의 유착 의혹, 특히 비화폰 사용을 통한 내통 정황 등에 대해 특검 수사를 촉구하며 강력 대응을 예고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의 첫 해외 순방 외교 행보에 대해선 "민주주의 회복력과 정상외교 복원, 국격 제고라는 성과를 얻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DP Leader Urges Bold Fiscal Stimulus and Prosecutorial Independence Amid Political Storm

 

SEOUL — On Wednesday,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더불어민주당) convened its 118th Supreme Council meeting, where Acting Party Leader and Floor Leader Kim Byung-ki (김병기) called for an aggressive supplementary budget to counter economic difficulties and stressed unwavering support for three major special investigations.

 

Kim emphasized that in times of crisis, expansionary fiscal policy is essential and echoed President Lee Jae-myung’s (이재명) view that both income support and consumer stimulus should guide the design of the supplementary budget. He urged the government to submit a bolder budget proposal and pledged the Democratic Party's readiness to finalize execution plans swiftly.

 

On the legal front, Kim reiterated the party's firm backing for ongoing investigations targeting the December 3 insurrection, alleged misconduct by former first lady Kim Keon-hee (김건희), and a marine death case. He criticized former President Yoon Suk Yeol (윤석열) for evading police summons and accused both Yoon’s wife and key judicial figures of obstructing justice.

 

“Even as the special prosecutors prepare to launch, the insurrectionist network is maneuvering to escape scrutiny,” Kim warned. “We will not tolerate any attempts to hinder truth-seeking efforts.”

 

Calling for bipartisan cooperation, he noted that addressing economic hardship should transcend party lines and urged the conservative People Power Party (국민의힘) to collaborate on passing the supplementary budget.

 

The meeting also touched on inter-Korean issues, particularly North Korea’s military deployment to Russia, and ongoing controversies surrounding Prime Minister nominee Kim Min-seok (김민석). The Democratic Party accused conservative lawmakers of turning confirmation hearings into political theatre, while defending Kim’s suitability based on his past political experience and economic acumen.

 

The party applauded President Lee’s first overseas diplomatic trip, citing his efforts to restore democratic prestige and international alliances, including bilateral meetings with leaders from Japan, South Africa, and Brazil. They contrasted Lee’s inclusive leadership style with Yoon’s alleged suppression of dissent.

 

As the political landscape remains charged with controversy and confrontation, the Democratic Party signaled it would pursue accountability and economic recovery in parallel — by pushing for justice while seeking national stability.

 

 

김병기 "G7에서 유능한 이재명 정부 실력을 유감없이 보여줄 것"

 

2025년 6월16일.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16일 국회에서 열린 제117차 최고위원회의에서 이재명 정부의 내치와 외교 방향을 전면적으로 밝혔다. 그는 "이재명 정부가 국민통합과 경제 회복을 위한 불침의 항공모함이 되겠다"고 밝히며, 국정 안정과 민생 최우선을 강조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현충원 참배로 공식 일정을 시작하며 집권 여당 원내대표로서의 각오를 다졌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의 G7정상회의 참석을 "잃어버린 국격을 회복하고 실용 외교를 복원하는 전환점"이라고 평가하며, 정부가 준비한 성과를 국제무대에서 증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이스라엘-이란 간 군사 충돌과 국제경제 불안정 속에서, 이번 회의가 대한민국의 경제 회복과 선진국 지위 복원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민주당 역시 시급한 추경과 민생법안 처리를 통해 국민 삶을 지키겠다고 밝혔다.

 

김 원내대표는 윤석열 정권 3년 동안 후퇴한 남북 관계를 언급하며, 6.15 남북공동선언 25주년을 맞아 "한반도 평화의 가치를 다시 되새기자"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남북 적대행위 중단 및 대화 재개 촉구 선언도 언급하며, 민주당도 이에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마지막으로 "국민과 함께한 약속, 내란 종식과 민생 회복을 위해 거침없이 전진하겠다"고 강조했다.

 

 

Lee Jae-myung Embarks on G7 Debut as Ruling Party Signals National Restoration

 

Seoul – Kim Byung-kee, acting leader and floor leader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declared on Monday that the newly elected administration is ready to steer South Korea toward national unity and economic recovery. Speaking at the party’s 117th Supreme Council meeting, Kim pledged unwavering support for President Lee Jae-myung’s policies, describing the ruling bloc as an "unsinkable aircraft carrier" for progress.

 

Kim began the day by visiting the National Cemetery, reinforcing his commitment as the first floor leader under the new ruling government.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restoring South Korea’s international reputation, he framed President Lee’s participation in the G7 Summit as a pivotal moment for reclaiming diplomatic credibility and promoting pragmatic foreign policy.

He noted that Lee’s upcoming engagement in Canada represents not just a diplomatic debut but also a strategic opportunity to reestablish South Korea’s role as a global economic powerhouse amid ongoing geopolitical instability and rising energy prices triggered by the Israel-Iran conflict.

 

Domestically, Kim stressed that the Democratic Party would expedite emergency economic legislation, including supplementary budgets and consumer protection laws, to alleviate the burden on ordinary citizens.

 

Reflecting on the 25th anniversary of the June 15 South-North Joint Declaration, Kim called for renewed inter-Korean dialogue, stating tha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must be restored after years of diplomatic regression. He cited President Lee’s recent call to halt mutual hostilities and reinitiate talks with North Korea as a critical step toward lasting stability.

 

He concluded by reaffirming the party's commitment to "complete the eradication of insurrection and restore the economy," signaling a government poised to act with determination.

 

15일 원내대표단 명단을 발표한 후 백브리핑을 갖고 있는 김병기 원내대표. 사진- NjT

 

김병기 "민생법안·상법 우선 처리… 여야 정례 협의 추진"

 

2025년 6월15일.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15일 신임 원내대표단 인선을 발표한 뒤 백브리핑을 통해 향후 입법 방향과 여야 소통 계획을 설명했다. 그는 민생법안과 개혁입법을 조화롭게 추진하되, 특히 상법 개정안을 핵심 법안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김 원내대표는 법사위 위원장 배분 문제에 대해 "상임위 운영 규칙에 따라 2년마다 교체하는 규정을 준수하겠다"고 밝히며, 여당이 법사위를 맡는다고 해도 소통이 단절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소통은 신뢰와 대화를 통해 이뤄지는 것이며 법사위 소속 여부와는 무관하다'고 설명했다.

 

초기 입법 계획과 관련해서는 '시급한 민생 현안 해결을 위해 민생법안과 추경, 그리고 개혁입법을 균형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상법 개정안은 '코스피 5000을 위한 핵심 법안'이라며 최우선 순위로 추진할 의사를 내비쳤다. 이 법안에 집중하기 위해 민생부대표로 김남근 의원을 선임했다고 전했다.

 

김 원내대표는 국민의힘 새 원내지도부가 내일 정해지면 곧바로 상견례를 진행하고, 대표단 간의 정례적 만남을 통해 여야 간 대화 채널을 복원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문진석·허영·박상혁 의원이 실무 정례 협의를 주도할 예정이다.

 

당정 협의도 정례화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그는 "일주일에 한 번씩 정기적인 당정협의를 하려고 한다"고 설명했으며, 다만 새 정부 구성과 인사청문회 상황에 따라 시작 시기는 조정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새 내각이 조기에 안정될 수 있도록 야당에 인사청문회 협조를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논란에 대해 김 원내대표는 "논란이라고 보지 않는다"며 "당사자의 해명 외에 덧붙일 말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신임 원내대표가 15일 새 원내대표단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NjT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 중심으로 새 원내대표단 출범

 

2025년 6월15일. 15일 국회 소통관에서 김병기 신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기자회견을 열고 새롭게 구성된 원내대표단 인선을 발표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번 인선이 전문성과 국정 이해도, 지역 및 대표성 균형을 고려해 결정됐다고 설명했다.

 

김 신임 원내대표에 따르면, 이번 인선은 향후 6개월을 ‘개혁의 골든타임’으로 삼고 민생 회복과 내란 종식, 헌정질서 회복을 위해 구성됐다. 그는 "이재명 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경제 성장과 국민 통합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운영수석에는 충남 천안을 지역구로 둔 문진석 의원이 임명됐다. 문 의원은 국토교통위원회에서 활동 중이며, 원내부대표와 전략기획원장을 역임한 바 있다. 문 의원은 특히 전세사기특별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는 데 주도적 역할을 했다.

 

정책수석에는 허영 의원이 임명됐다. 허 의원은 제22대 국회 예결위원회 여당 간사로서 예산 편성과 민생회복단 단장을 맡아온 경력이 있다.

 

이번에 새로 신설된 소통수석 자리에는 재선 의원인 박상혁 의원이 배치됐다. 김 원내대표는 박 의원이 당내 원로와 초선 간의 가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원내대변인은 김현정, 문금주, 백승아 의원이 각각 맡았다. 문금주 의원은 전남 지역 초선으로서, 백승아 의원은 교육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는 비례대표 의원이다. 

 

비서실장에는 초선인 이기헌 의원이, 지원실장에는 안성을 지역구로 둔 윤종군 의원이 각각 선임됐다. 지원실장직 또한 이번에 새로 신설된 자리로, 원내 성과 강화를 위한 역할을 맡게 된다. 민생부대표에는 서울 성북을 지역구로 둔 김남근 의원이 기용됐다. 그는 참여연대 집행위원장과 민변 부회장을 역임하며 민생 문제에 전문성을 쌓아온 인물이다.

 

마지막으로 김 원내대표는 경기, 전남, 제주, 대전, 인천 등 전국 각지에서 선출된 부대표단 명단도 함께 발표했다. 그는 "모든 인선을 마무리했다"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단은 국민의 목소리에 부응하는 실용적인 정치를 실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Democratic Party Launches New Parliamentary Team Led by Floor Leader Kim Byung-kee

 

SEOUL — On Sunday,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더불어민주당) unveiled its newly appointed parliamentary leadership team, headed by Floor Leader Kim Byung-kee (김병기). Speaking at a press briefing at the National Assembly, Kim emphasized that the appointments were grounded in expertise, policy understanding, and regional balance.

 

According to Rep. Kim, the new team is tasked with steering the country through a six-month “golden window” for reform, aiming to restore livelihoods, end political instability, and safeguard constitutional order. He vowed to work in close coordination with the Lee Jae-myung (이재명) administration to achieve national unity and economic progress.

 

Moon Jin-seok (문진석), representing Cheonan in South Chungcheong, was appointed operations secretary. He serves on the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ommittee and has previously worked as deputy floor leader and head of strategy and planning. He played a key role in pushing the revision of the Special Act on Jeonse Fraud. Heo Young (허영), a two-term lawmaker from Chuncheon, was appointed policy secretary. Heo has played key roles in parliamentary budget planning and livelihood programs.

 

The role of communication secretary—a new post—was assigned to Park Sang-hyuk (박상혁), recognized for his ability to bridge generational divides among lawmakers. The party also appointed spokespersons Kim Hyun-jung (김현정), Moon Geum-joo (문금주), and Baek Seung-ah (백승아), representing a wide spectrum of legislative and regional expertise.

 

Lee Ki-heon (이기헌) will serve as chief of staff, and Yoon Jong-goon (윤종군) as support chief, also a newly created role. Kim Nam-geun (김남근), a seasoned civil rights leader, was named deputy for public livelihood to address urgent social and economic issues.

 

Wrapping up, Kim introduced 17 vice floor leaders from across the nation, pledging that the new leadership would pursue practical, people-centered politics.

 

원내대표에 당선된 김병기 의원이 꽃다발을 들고 기뻐하고 있다. 사진- NjT.

 

김병기, 제2기 원내대표 당선… "이재명 정부 성공 뒷받침에 모든 것 바칠 것"

 

2025년 6월13일.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3일 국회에서 열린 제2기 원내대표 경선에서 당선된 뒤,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한 교두보가 되겠다'며 향후 각오를 밝혔다. 이날 오후 국회 본청 제4회의장에서 열린 투표에서 김병기 의원은 과반 득표를 기록하며 서영교 의원을 누르고 당선됐다. 이날 투표에는 권리당원들도 참가해 20%의 투표 비율을 할당받았는데 이는 당 역사에서 처음 있는 일이다. 

 

당선자 수락연설에서 김 신임 원내대표는 민생 회복과 경제 성장, 권력기관 개혁, 국민 통합을 주요 과제로 제시하며, 당원과 의원들의 뜻을 충실히 받들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신을 원내대표로 선출해준 데 대해 감사 인사를 전하며, 함께 경쟁한 서영교 후보에게도 '아름다운 경쟁을 함께해 고맙다'고 말했다. 또 서 후보가 제시한 제안들도 적극 수용해 '압도적 과반 집권여당의 첫 원내대표로서 부끄럽지 않게 임무를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김 신임 원내대표는 "당원 동지들과 선배·동료 의원들께서 저를 선출한 것은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한 뜻일 것"이라며, 내란 종식과 헌정질서 회복, 권력기관 개혁, 민생 회복, 경제 성장, 국민 통합과 대한민국 재건이라는 세 가지 트랙으로 구분해 전방위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특히 '500만 당원과 167명의 의원들과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며 조직적 역량 결집을 강조했다. 또한 '국민을 대표해 의정 활동을 하는 의원 개개인의 성장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약속도 덧붙였다.

 

김 원내대표는 '광장의 뜻을 이어받아 개혁을 완수하고, 민생 회복·경제 성장·국민 통합의 기틀을 마련하겠다'며 '늘 상의하고 경청하면서 함께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원내대표 선출은 민주당이 대선 이후 정국 주도권 확보를 위한 내부 정비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원내대표직을 맡은 김 원내대표가 향후 국정 운영과 입법 활동에서 어떤 리더십을 보여줄지 주목된다.

 

한편, 박찬대 전임 원내대표는 투표에 앞서 인사말에서 "내란 종식과 탄핵, 대선 승리까지 함께 이룬 것은 대한민국의 마지막 희망과 하늘의 도움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의원들에게 감사를 전했다. 그는 새 원내대표단의 출범을 앞두고, 민주당이 국정과제 완수와 국민 통합을 위한 중대한 시기에 있음을 강조했다.

 

이날 오후 국회 본청 제4회의장에서 진행된 인사말에서 박 원내대표는 "기호 1번 김병기 후보, 기호 2번 서영교 후보 모두 훌륭한 분들이며, 두 분 중 당선자가 민생 회복, 경제 성장, 권력기관 개혁, 국민 통합이라는 네 가지 국정과제를 이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야차같이 싸웠던 지난 시기와 달리, 앞으로는 부처처럼 포용과 화합의 정치를 보여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는 재임 기간 동안의 소회를 밝히며 "1년 하고 한 달 열흘을 원내대표로 있었던 시간 동안 가장 두려웠던 순간은 직무를 맡았을 때"라고 회상했다. 이어 "고독한 결단이 잘못될까 두려웠지만, 언제나 함께 논의할 동지들이 있었기에 흔들림 없이 나아갈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박 원내대표는 지난 의사결정 과정을 언급하며 "170명 의원총회에서 3시간 토론 끝에 의견이 하나로 모아지지 않더라도 결국 결단을 내릴 수 있었던 것은 의원들의 믿음과 단합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우리가 위기를 극복하고 공동의 목표를 달성한 것은 똘똘 뭉친 결과"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오늘 새롭게 선출되는 2기 원내대표가 지도부를 이끌며 막중한 업무를 맡게 될 것"이라며 "저는 한 사람의 국회의원으로 돌아가서 새 지도부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두 후보에게 뜨거운 박수를 보내며 인사말을 마무리했다.

 

 

Kim Byung-kee Elected as Democratic Party Floor Leader, Pledges Full Support for Lee Administration

 

SEOUL — Kim Byung-kee was elected as the new floor leader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더불어민주당) on Friday, pledging to serve as a crucial bridge for the success of President Lee Jae-myung’s administration. The leadership vote, held at the National Assembly, saw Kim defeating rival Seo Young-gyo with a majority of votes. For the first time in party history, rank-and-file members were given a 20 percent stake in the voting process.

 

In his acceptance speech, Kim outlined a comprehensive agenda focused on reviving the economy, advancing reform of powerful institutions, fostering national unity, and improving livelihoods. He vowed to honor the trust of party members and lawmakers by pursuing these goals with dedication.

 

Expressing gratitude to his supporters, Kim also commended Seo for a "graceful competition," and promised to incorporate her policy ideas into his leadership. "As the first floor leader of a ruling party with an overwhelming majority, I will perform my duties with humility and responsibility," he said.

 

Kim further stated that the party's mandate was to ensure the success of the Lee administration. He presented a three-pronged strategy centered on: restoring constitutional order and reforming power institutions; boosting the economy and supporting citizens’ livelihoods; and promoting national unity and rebuilding the country. "I will work tirelessly with our five million party members and 167 lawmakers to achieve these goals," he added.

 

Kim also pledged to support the professional growth of individual lawmakers and stressed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open dialogue and collaboration within the party. "I will always listen and work closely with all of you," he assured.

 

His election comes at a critical juncture for the Democratic Party as it seeks to consolidate its political momentum following its presidential victory. Observers will be watching closely to see how Kim’s leadership shapes legislative strategy and governance.

 

Prior to the vote, outgoing floor leader Park Chan-dae delivered an emotional farewell address, reflecting on the party’s turbulent journey. "Ending the insurrection, securing impeachment, and achieving electoral victory was possible thanks to our collective resolve and perhaps a bit of providence," Park said.

 

Speaking to lawmakers in the Assembly’s main chamber Fourth Meeting Room, Park praised both candidates for their qualifications and urged the new leadership to pursue an agenda of inclusivity and unity. "We fought fiercely when needed. Now it is time to govern with compassion," he remarked.

 

Recalling his tenure, Park admitted that assuming the floor leader role had been his most daunting challenge. "I feared making solitary decisions that could go wrong," he said. However, he credited his colleagues for ensuring that no decision was made without collective input and discussion.

 

Park also highlighted the party’s rigorous internal debates, noting that even when consensus was elusive, the lawmakers’ trust and solidarity made decisive action possible. "Our unity allowed us to overcome crises and achieve our common goals," he said.

 

As he steps down, Park pledged to support the new leadership as a rank-and-file lawmaker. "I will continue to work hard to support our new leadership," he concluded, calling for a round of applause for both candidates.

 

원내대표 당선 직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김병기 의원. 사진- NjT

 

[Log 들어가는 글] 김병기는 어떤 인물?

 

2025년 6월13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된 김병기(1961년생) 3선 국회의원은 국가안전기획부(현 국가정보원)에서 25년 이상 근무하며 인사처장까지 역임한 뒤 정계에 입문했다.

 

김병기 의원은 정보기관 출신 정치인으로서 국정원 개혁에 앞장서며 강경한 입장을 견지해왔다. 2016년 서울 동작갑에서 처음 국회의원에 당선된 이후 정보위, 국방위 등에서 활발히 활동했으며, 국정원의 대공수사권 경찰 이관 등을 담은 국정원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바 있다.

 

2024년 12월 윤석열 정부가 위법적 비상계엄을 선포하자 국회의사당에 진입해 비상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했다. 당시 국회 봉쇄 상황에서 김 의원은 과거 정보기관 경험을 토대로 국회 진입 전략을 구사했다고 밝혔으며, 계엄군의 본회의장 진입 실패 가능성을 처음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이후 공개 석상에서 윤 대통령의 헌정질서 유린을 강하게 비판하며 국회 정상화를 위한 의지를 피력했다.

 

국방·안보 분야에서는 제대 군인 예우 강화 법안을 발의하는 등 군 복무자의 권익 보호에도 힘써왔다. '군 복무는 벼슬'이라는 소신 발언으로 젊은 남성 유권자들의 호응을 얻었으며, '국방 유공자' 법안을 통해 사회적 예우 강화 필요성을 역설했다.

 

반면 논란도 적지 않다. 김 의원의 아들 국정원 취업 개입 의혹이 재차 불거졌다. 2025년 6월 MBC 보도에 따르면, 김 의원의 부인이 국정원 고위 관계자에게 직접 연락해 아들의 취업을 청탁한 정황이 담긴 녹음파일이 공개됐다. 또한 김 의원 본인이 작성한 입장문에는 아들의 신체적 결함과 대마초 흡입 관련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이에 대해 '악의적 왜곡'이라며 반박하고, "국정원과 감사원이 여러 차례 감사를 진행했지만 문제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국정원 공채 합격에 부정이 드러나면 의원직을 사퇴하겠다"고 밝혔다.

 

이 외에도 법인카드 유용 의혹이 제기됐으나 서울동작경찰서는 내사 종결 처리했다. 사법부에 대해 '협박성 게시글'을 SNS에 올려 논란을 빚기도 했다.

 

한편, 김 의원은 더불어민주당 내에서는 친문·친명계 인사로 분류되며, 총선 기획단과 공천관리위 간사 등을 맡아 당내 주요 역할을 수행했다. 이재명 대표의 체포동의안 가결 당시 비명계를 강하게 비판하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정보기관 출신이라는 독특한 이력을 바탕으로 국정원 개혁과 안보 분야에서 존재감을 발휘하는 한편, 가족 관련 논란과 당내 강경 행보로 주목받고 있는 김병기의 행보에 정치권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원내대표 선거를 앞두고 그의 리즈 시절 사진이 엄청나게 화제가 되기도 했다.

 


 

본 기사는 유료기사로 기사의 일부만 제공됩니다.
- 결제 즉시 유료 기사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디지털 콘텐츠 특성상 환불되지 않습니다. (단, 미사용시 환불 요청 가능)
- 결제한 내역은 마이페이지 결제내역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환불 및 변경 문의와 관련해서는 메인페이지 하단 [이용약관 및 고객지원]을 통해
더 자세한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정기회원권은 회원가입 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 정기회원권은 마이페이지 또는 사이트 우측 상단 이용권결제를 이용해주세요.
박병기 BK Park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가장 많이 본 뉴스

뉴스 인물 교육 시리즈 짘놀

포토뉴스 더보기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