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맨위로

이재명 내각이 비리백화점? 윤석열 정권은 내란 종합상사! [기자 칼럼]

등록일 2025년06월20일 15시21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20일 로텐더홀에서 김민석 총리 후보자의 임명 철회를 외치고 있는 국민의힘 리더들. 왼쪽이 김용태 비대위원장, 오른쪽이 송언석 원내대표. 사진-NjT

 

국민의힘은 20일 “비리백화점 이재명 내각 규탄대회”라는 이름의 정치 규탄대회를 국회의사당 내 로텐더홀 앞 계단에서 열었다.

 

연설에 나선 '친윤임을 부인하는 친윤' 송언석 원내대표·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은 김민석 총리 후보자를 겨냥해 “스폰 인생” “의혹의 종합선물세트”라 부르며, 내각 전체를 “감추어진 비리 저수지”로 비유했다.

 

비판을 위한 수사는 화려했다. 그러나 정작 그들의 말은 부메랑처럼 되돌아온다. 만번 양보해서 만약 이재명 정부가 ‘비리백화점’이라고 한다면 윤석열 정권은 대체 무엇이었나?

 

윤석열 정권은 ‘내란’과 ‘비리’가 동시에 작동한 권력 체제였다. 2024년 12월3일, 계엄령을 선포하고 국회를 무력화하려 했던, 문자 그대로의 내란 정권이었다. 그리고 그 내란의 배경엔 대통령실과 검찰, 경찰, 국정원이 얽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추정이란 말은 특검을 통해 빠지고 얽힘은 확인될 것이다. 

 

특검 수사에서 전현직 고위직들과 국힘 의원들은 줄줄이 수사망에 오르며 ‘내란 종합상사’로 전락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국민의힘은 “전과 총리, 전과 대통령”을 비판하려면, 먼저 윤석열 정권이 남긴 유산부터 정직하게 마주해야 한다.

 

내란특검, 김건희 특검, 채해병 특검을 통해 많은 비리와 거짓이 드러날 것인데 어떻게 그렇게 뻔뻔히 '비리 백화점'이란 말을 내뱉을 수 있는가. 윤석열 권력은 오만했고, 오만한 권력은 사법을 사유화했다.

 

국민의힘은 윤석열 정권이 내란 종합상사임을 인정할 수 있겠는가. 사실 그 종합상사에 부역한 이들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리백화점’이란 표현은 국민 정서에 쉽게 파고들 수 있다. 그러나 그만큼 강력한 부메랑이기도 하다. 바로 얼마 후에 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이다.

 

국민의힘은 지금 “이재명 대통령은 이러니까 안 된다”고 말한다. 그런데 국민은 되묻는다. “윤석열은 그보다 더했는데 왜 아무 책임도 지지 않았나?” 국민이 묻는 건 정당한 분노의 균형이다. 내로남불이 아니고선 설명되지 않는 말잔치가 매일 반복되는데, 이쯤 되면 민심은 조롱당하는 셈이다.

 

김민석 후보자가 ‘거울’이라면, 윤석열 정권은 그 거울을 아예 깨버렸던 자들이다. 김용태 위원장의 비유에 의하면 김민석 후보자는 '현 정부의 도덕성 수준을 비춰보는 ‘사례’ 또는 ‘상징’이다. 그런데 윤석열 정권은 그 거울을 아예 깨버린 바 있다. 자기 얼굴(도덕성, 책임, 공정성 등)을 비추는 거울 자체를 부정하거나 없애버린 정권이었다. 즉, 비판받을 일조차 인정하지 않았고, 감시체계조차 회피했으며, 도덕성 기준 자체를 파괴했다. 영구 집권에만 골몰했던 것으로 보이는 정권이었다. 

 

인사청문회는 정치쇼가 아니다. 모든 정부는 비판받아야 하지만, 그 비판은 최소한 과거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해야 한다. 윤석열 정권의 실패를 외면한 채 이재명 정부만 겨냥하는 ‘일방통행식 분노 정치’는 결국 중도층으로부터 정치불신만 부추긴다. 20%대였던 국민의힘 지지율이 조만간 10%대로 떨어질 가능성은 매우 크다. 지금은 그들의 주장을 받아들이는 중도층도 일부 있겠지만 세 특검이 본격화되면 그들마저 등을 돌릴 것이고 10%대 추락은 자명한 일이다. 

 

지금 필요한 건 진짜 거울이다. 누가 국민을 속였고, 누가 권력을 사유화했고, 누가 헌법을 짓밟았는지 그 전말을 드러내야 한다.

 

윤석열 정권은 단지 비리 정권이 아니었다. 헌정질서 파괴의 중심에 있었던, 내란 음모 정권이었고 영구 집권 추구 정권이었다. 이재명 정부를 비판하려면, 그 거대한 전임 권력의 실패를 먼저 응시하라. 그렇지 않다면, 그 어떤 말도 비판이 아닌 선동에 불과하다.

 

본 기사는 유료기사로 기사의 일부만 제공됩니다.
- 결제 즉시 유료 기사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디지털 콘텐츠 특성상 환불되지 않습니다. (단, 미사용시 환불 요청 가능)
- 결제한 내역은 마이페이지 결제내역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환불 및 변경 문의와 관련해서는 메인페이지 하단 [이용약관 및 고객지원]을 통해
더 자세한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정기회원권은 회원가입 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 정기회원권은 마이페이지 또는 사이트 우측 상단 이용권결제를 이용해주세요.
박성훈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가장 많이 본 뉴스

뉴스 인물 교육 시리즈 짘놀

포토뉴스 더보기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