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4일 금요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 사우스 론(South Lawn)에서 열린 독립기념일 피크닉 행사 중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 법(One Big Beautiful Bill Act)’에 서명한 뒤 내각 구성원 및 관계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공식 백악관 사진: 몰리 라일리 촬영)
2025년 7월8일. 트럼프, 관세 시한 8월 1일로 연장…대한민국은 2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일본, 한국 등 14개국(당초 12개국으로 알려짐)을 대상으로 한 관세 인상 계획을 공식화하면서 시한을 8월 1일로 연장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4월 2일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이라 칭하며 전 세계 수입품에 기본 10%의 관세를 선포한 이후, 상위 관세(25~40%)에 대해 90일 유예했던 조치를 연장하는 것이다.
트럼프가 보낸 서한에 따르면 한국과 일본은 각각 25%의 관세 부과 대상이며, 인도네시아(32%), 방글라데시(35%), 태국(36%), 말레이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도 상응하는 고율의 관세가 적용된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확고하되, 100%는 아니다”라며 협상의 여지를 남겼다.
14개국 새 관세율
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사실상 유예 기간 연장”이라며 “미국이 요구한 비관세 장벽 완화를 위해 국내 규제 정비에 나설 것”이라 밝혔다. 특히 한국 정부는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을 통해 미국과의 핵심 산업 협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규제 개혁에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수출 중 약 18.7%(1,278억 달러)는 미국으로 향하고 있으며, 대미 무역수지는 2024년 기준 660억 달러로 미국의 8번째 적자국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으로부터 받은 서한에 대해 "미국측은 보다 높은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제3국을 통해) 환적된 상품은 해당 높은 관세율이 부과될 것이며, 미국산 제품에 보복관세를 부과할 경우 국가별관세에 보복관세만큼 더해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했다."고 전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또한 "이번 서한으로 8월1일까지 사실상 상호관세 부과 유예가 연장된 것으로 보고,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을 조속히 해소하기 위해 남은 기간동안 상호 호혜적인 협상결과 도출을 위해 협상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며 "미국측의 주된 관심사인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국내 제도 개선, 규제 합리화 등과 함께, 양국간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을 통해 핵심산업 도약의 기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본 역시 대응에 나섰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쉽게 타협하지 않겠다”고 밝혔으며, 일본 정부 관계자들은 “미국 내 생산기지와 투자 확대 등 상호 호혜를 이미 이뤄왔음에도 불구하고 부당한 조치”라고 우려를 표했다.
한편 트럼프는 최근 가자지구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협상에서 “중동에도 평화를 가져오고 있다”며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를 백악관에 초청해 직접 휴전안을 압박하고 나섰다. 이 자리에서 트럼프는 “하마스가 협상에 응하고 있다”며 낙관적 전망을 밝혔고, 네타냐후는 트럼프를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노벨상은 사실상 물건너간 것으로 보인다. 전 세계를 압박해 자국의 이익을 추구하는 미국 대통령에게 노벨평화상을 준다는 것 자체가 말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받게 되면 전 세계적인 조롱거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가운데, 아시아 수출 중심국들은 ‘무역전쟁 시즌2’에 대비하며 방미 외교전을 강화하고 있다. 한국의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마르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회담을 갖고 관세 유예 연장과 조기 정상회담 개최를 협의했다.
이번 관세 연장 조치는 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공) 국가들이 미국의 관세 정책을 비판하는 가운데 발표된 것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반미적 성격의 동맹엔 추가 10% 관세도 가능하다”고 경고했다.
관세 부과 시점이 임박한 상황에서 미국의 주요 주가지수는 하락세를 보였으며, 글로벌 공급망과 수출 의존 경제에 대한 충격이 우려된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아시아 주요 통화도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수주 내 더 강도 높은 보호무역 압박이 예상된다.
Trump Extends Tariff Deadline to August 1, Targets South Korea with 25% Duty
By New Journalist Staff | July 8, 2025
President Donald Trump announced on Monday (U.S. time) that he would extend the tariff grace period for 14 countries — including close allies South Korea and Japan — until August 1, while reaffirming plans to impose steep import duties as high as 40%. The move comes as part of his escalating global trade campaign first unveiled on April 2, dubbed "Liberation Day," when he declared a baseline 10% tariff on all foreign goods and suspended higher rates for 90 days.
In letters sent to foreign leaders, Trump specified that South Korea and Japan would face a 25% tariff on exports to the United States, while countries such as Indonesia (32%), Bangladesh (35%), Thailand (36%), Malaysia, and South Africa would be subjected to similarly high levies. Still, the president hinted at room for negotiation, stating, “I would say firm — but not 100% firm.”
South Korea’s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responded by characterizing the letter as a de facto extension of the earlier grace period, saying the government would accelerate regulatory reforms to meet U.S. demands to reduce non-tariff barriers trade restrictions that aren't tariffs, which encompass a wide range of regulations, procedures, and practices that make it more difficult and/or costly to import or export goods.
The ministry emphasized that the country would use the “Manufacturing Renaissance Partnership” with Washington to strengthen industrial cooperation while advancing domestic deregulation efforts.
The U.S. remains South Korea’s second-largest export market, accounting for $127.8 billion — or 18.7% — of outbound shipments in 2024. The U.S. trade deficit with South Korea, at $66 billion last year, was its eighth-largest globally, drawing heightened attention from the Trump administration.
The Korean ministry also warned that the U.S. had indicated any goods rerouted through third countries would still be subject to the higher tariff rate, and that retaliatory tariffs against American products could trigger additional country-specific penalties.
“The government will work to eliminate trade uncertainty by accelerating negotiations for a mutually beneficial outcome,” the ministry said in a statement, adding that structural reforms aimed at reducing the trade deficit would remain a core focus of upcoming discussions with the U.S.
Japan’s response was firm like Trump. Prime Minister Shigeru Ishiba said Tokyo would “not compromise easily,” while Japanese officials expressed frustration, calling the tariffs “unjustified,” especially given the significant investments Japanese firms have made in U.S. manufacturing.
Meanwhile, Trump’s trade maneuver comes as he intensifies foreign policy engagements on multiple fronts. In a surprise move Monday, he invited Israeli Prime Minister Benjamin Netanyahu to the White House to push for a ceasefire deal in Gaza. “Hamas wants to meet and they want a ceasefire,” Trump told reporters. Netanyahu, in return, presented Trump with a letter nominating him for the Nobel Peace Prize — a symbolic gesture many observers viewed as politically loaded and diplomatically hollow.
Critics noted the irony of nominating a president who is simultaneously pressuring dozens of countries with aggressive trade policies. “Awarding the Nobel Peace Prize to a president waging a global economic war would make a mockery of the prize,” said a political analyst, speaking on condition of anonymity.
In Asia, alarm is spreading as countries brace for what some call “Trade War Season Two.” South Korean National Security Advisor Wi Sung-lac met with U.S. Secretary of State Marco Rubio to discuss extending the tariff moratorium and convening an early summit between President Trump and South Korean President Lee Jae-myung.
Trump’s warning comes as leaders of the BRICS bloc — Brazil, Russia, India, China, and South Africa — roundly condemned the U.S. tariff threats during a summit in Rio de Janeiro. Trump has threatened to impose an additional 10% levy on countries he accuses of pursuing “anti-American policies” aligned with the BRICS alliance.
Markets responded swiftly. Major U.S. stock indexes fell on Monday amid fears of escalating global trade tensions. The S&P 500 dropped 0.8%, while the Nasdaq fell 0.9%. Asian currencies, including the Korean won, also weakened on the news.
Bloomberg reported that further pressure on trade-dependent economies is likely in the coming weeks, as Trump’s protectionist agenda continues to redefine the global economic landscape.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5월 30일 금요일,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퇴임하는 정부 효율성부(DOGE) 고문 엘론 머스크와 함께 기자회견에 참석하고 있다. (공식 백악관 사진, 몰리 라일리 촬영)
2025년 7월7일. 트럼프, 머스크와의 갈등 속 미국 내 정치·경제 격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일(미국 기준) BRICS와 협력하는 국가들에 대해 8월 1일부터 추가 10% 관세를 예고했으며, 엘론 머스크는 양당 체제에 불만을 품고 신당 '아메리카당'을 창당해 정치권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BRICS(브릭스)는 브라질(Brazil), 러시아(Russia), 인도(India), 중국(China), 남아프리카 공화국(South Africa)의 첫 머리글자를 딴 약자다.
중동에선 이란과의 무력 충돌 이후 휴전 협상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 시리아·레바논과의 외교 재편 등 중대 변화가 이어지고 있다.
BBC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BRICS의 반미 정책에 동조하는 국가는 추가 관세를 피할 수 없다"며 공식 입장을 밝혔다. 이미 미국은 지난 4월 '해방의 날'을 선포하며 대부분 교역국에 10% 관세를 적용했으며, 영국, 베트남, 중국 등 일부 국가와만 합의에 도달했다. 전문가들은 "관세가 글로벌 공급망과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에 중대한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러한 경제적 긴장과 별개로, 머스크는 자신의 정치세력화를 본격화하며 기존 양당제에 환멸을 느낀 중도층 유권자들의 '새 목소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아메리카당'을 세울 계획인 머스크는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대규모 재정지출안과 연방 지원 축소 정책을 강하게 비판하며 "미국은 이미 하나의 정당 체제로 변질됐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대해 "제3당은 혼란만 불러올 뿐"이라며 머스크를 공개적으로 비난했다. CNN 등 언론에 따르면, 머스크의 신당은 아직 공식 등록 절차를 밟고 있지 않지만, 2026년 중간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중동에서는 최근 이란과의 군사충돌 이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내에서 60일 휴전 및 인질 교환을 골자로 한 협상안이 논의되고 있다. CNN에 따르면, 이번 휴전안은 진전하고 있는데 이스라엘은 레바논·시리아와의 외교적 접근에도 나서고 있다. 시리아에서는 정권 교체 후 미국과의 대화가 진행 중이며, 레바논 역시 헤즈볼라 무장세력의 재무장을 막으려는 정부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전문가들은 이를 "중동 내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중대한 분기점"이라고 평가했다.
Trump’s Tariff Threats, Musk’s New Party, and Middle East Shifts Shake Global Order
On July 6, a series of dramatic changes swept through U.S. politics, global trade, and Middle Eastern diplomacy. U.S. President Donald Trump announced that countries siding with the BRICS alliance’s anti-American policies would face an extra 10% tariff from August 1.
Meanwhile, Elon Musk launched the “America Party,” challenging the two-party system and intensifying his conflict with Trump. In the Middle East, post-Iran conflict diplomacy is accelerating, with new ceasefire talks between Israel and Hamas, as well as shifting alliances in Syria and Lebanon.
According to BBC, Trump declared, "Any country aligning themselves with the Anti-American policies of BRICS (Brazil, Russia, India, China, and South Africa) will be charged an ADDITIONAL 10% tariff," warning of consequences for nations not reaching a deal by August.
This comes after an initial wave of tariffs and only partial trade agreements with select countries. Experts cited by BBC noted that 'the new tariffs are set to reshape global supply chains and could significantly disrupt Asian economies.'
Parallel to these economic moves, Musk announced the formation of the America Party, criticizing Trump’s spending bill and calling the U.S. a “one-party system.” Trump called Musk’s initiative “ridiculous,” stating third parties only bring confusion. Media outlets such as Al Jazeera and Le Monde highlighted the potential impact of Musk’s new party on the upcoming midterm elections, though the party has yet to be officially registered. Musk positioned his movement as representing the “80% in the middle” who feel unrepresented by either major party.
In the Middle East, the aftermath of recent U.S.-Iran military clashes has led to renewed diplomatic efforts. CNN reports that Israel and Hamas are negotiating a 60-day ceasefire involving hostage releases and humanitarian aid. Additionally, Israel has begun talks with Syria and Lebanon, both countries now seeking diplomatic normalization following significant leadership changes and military defeats.
Analysts note that this moment could be a turning point for regional peace and integration, though challenges remain. Altogether, these developments reflect a convergence of political, economic, and diplomatic upheaval, signaling a period of uncertainty and transformation both within the U.S. and globally.
2025년 7월6일. 트럼프 '최대 70% 관세' 압박, 한미 협상 긴장 고조…위성락·여한구 전방위 협상 나서
미국이 상호관세 부과 유예 기간 종료를 앞두고 관세 압박 수위를 높이면서 한미 양국의 협상 긴장감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이 대미 무역흑자 상위 12개국에 대해 최대 70%의 새 관세 부과 가능성을 시사한 가운데, 우리 정부는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을 연이어 미국에 파견해 적극적인 협상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6일 여한구 본부장이 워싱턴DC에서 제이미슨 그리어(Jamison Greer)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나 상호관세 유예 연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여 본부장은 양국 간 제조업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최종 합의에는 자동차·철강·알루미늄 등 품목관세의 철폐 또는 완화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협상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관세 협상과 한미 산업·기술 협력 등 다양한 의제를 모두 포괄해 '포지티브섬'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고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자동차, 조선, 방위산업 등 미국의 제조업 부활 정책에 협력하는 대신 상호관세와 품목관세 인하를 추진하겠다는 방침으로 해석된다.
미국은 지난 4월부터 10% 상호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무역흑자 규모가 큰 국가를 대상으로 추가 상호관세(최대 36%, 한국은 15%)도 예고했다. 단, 추가 관세 부과 시점은 7월 8일까지 90일간 유예됐고, 주요 교역국들과 개별 협상이 진행 중이다. 상호관세와 별도로 자동차·철강·알루미늄에는 각각 20%, 50%의 품목관세가 적용되며, 반도체·의약품 등에도 추가 품목관세가 예고됐다.
협상 시한 연장 가능성도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상호관세를 8월 1일부터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8일 유예 기간 이후에도 추가 협상 여지가 남아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여 본부장은 "추가 유예가 있을 것 같다"고 언급했고, "8일 이전 한미 무역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말했다.
위성락 실장은 이날 워싱턴DC로 출국하며 "통상과 안보 분야에서 양국 협의가 중요한 국면에 있다"며 "모든 노력을 다하는 차원에서 방미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통상·안보 현안을 논의하고, 한미 정상회담 일정도 조율할 것으로 전망된다. 여 본부장은 "각자 역할을 분담해 '올 코트 프레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 "12개국에 대해 10~20%에서 최대 70%까지 다양한 관세율을 통보하는 문서에 서명했다"며, 향후 협상 결과에 따라 세율이 10%까지 낮아질 수도, 70%까지 오를 수도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 이 문서를 발송한 뒤 명단을 공개하겠다고 밝혔으며, 상대국의 불안 심리를 자극해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12개국 명단에 한국이 포함됐는지에 대해 여 본부장은 "모른다"고 답했다. 한국이 미국에 대한 무역흑자 8위국인 점을 고려할 때 명단에 포함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뉴저널리스트의 12개국 예상 명단은 다음과 같다.
1. 한국
2. 일본
3. 인도
4. 유럽연합(EU)
5. 중국
6. 베트남
7. 영국
8. 멕시코
9. 캐나다
10. 호주
11. 브라질
12. 태국 또는 인도네시아, 또는 대만
July 6, 2025 | Trump’s Tariff Threats Push U.S.-South Korea Trade Talks to the Brink
With the expiration of a mutual tariff suspension looming, trade tens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have reached a fever pitch. President Donald Trump has warned of new tariffs as high as 70% on imports from America’s largest trade-surplus partners, sending Seoul’s top negotiators scrambling to Washington in a last-ditch bid to secure relief.
Yeo Han-koo, South Korea’s chief trade negotiator, and Wi Sung-lac, national security advisor to President Lee Jae-myung, both traveled urgently to the U.S. capital this weeke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confirmed that Mr. Yeo met with Jamison Greer, the U.S. Trade Representative, to discuss an extension of the tariff waiver and broader industrial cooperation.
“Our objective is to achieve a ‘positive-sum’ outcome encompassing all issues—from tariffs to manufacturing and technological collaboration,” Mr. Yeo told reporters. He underscored that any final deal must include significant relief on duties for Korean autos, steel, and aluminum.
Since April, the U.S. has imposed a 10% mutual tariff, with a further hike—up to 36% for major surplus countries (15% for Korea)—pending after a 90-day grace period that expires July 8. On top of this, product-specific tariffs of 20% on autos and up to 50% on steel and aluminum remain in place, while new duties targeting semiconductors and pharmaceuticals have been floated.
The threat of escalating tariffs has injected fresh urgency into negotiations. While the White House insists tariffs could jump as high as 70% after August 1, Seoul is pressing for another reprieve and remains hopeful for a breakthrough before the July 8 deadline.
“I expect there may be an additional extension,” Mr. Yeo said. “There is still a chance for a bilateral agreement before the deadline.”
Mr. Wi, departing for Washington on Saturday, called the moment “crucial for both trade and security cooperation,” and said all options were on the table—including high-level talks with the White House national security advisor and possible preparations for a U.S.-Korea leaders’ summit.
President Trump on July 4 announced that he had signed off on tariff notifications to 12 countries, ranging from 10% to a possible 70%. The specific list remains secret, but Trump said he would release it after official delivery of the notices. The maneuver, analysts say, appears designed to maximize uncertainty among trading partners and strengthen America’s hand at the negotiating table.
Asked if Korea was on the list, Mr. Yeo replied, “I do not know.” But Korea is the United States’ eighth-largest surplus trade partner, making its inclusion highly likely, according to most analysts.
The 12 Likely Targets
Based on trade balance data and ongoing negotiations, NewJournalist’s analysis suggests the following countries are the probable targets of the Trump administration’s tariff warning:
-
South Korea – High export volumes and persistent surplus, active but tense negotiations.
-
Japan – Surplus with U.S., talks stalled.
-
India – Expanding exports, limited progress in talks.
-
European Union – Major trade friction, protracted disputes.
-
China – Largest trade partner, perennial focus of tariff threats.
-
Vietnam – Bilateral deal reportedly reached, but temporary inclusion possible.
-
United Kingdom – Also has a deal, but may be included as a bargaining tactic.
-
Mexico – NAFTA partner, auto and parts disputes ongoing.
-
Canada – NAFTA partner, frequent disputes over certain commodities.
-
Australia – Resource exporter, often cited in U.S. trade debates.
-
Brazil – Major exporter of steel, aluminum, agriculture.
-
Thailand, Indonesia, or Taiwan – One likely to fill out the list as a representative of emerging economies.
With the clock ticking and Trump’s signature unpredictability looming, governments across the globe are bracing for the fallout—or a possible breakthrough—at the negotiating table.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가 2025년 7월 3일 목요일, 아이오와 주 디모인(Iowa State Fairgrounds)에서 열린 ‘미국에 대한 경의 행사(Salute to America Celebration)’에서 연설을 마친 뒤 청중에게 감사를 표하고 있다. (공식 백악관 사진: 다니엘 토록)
2025년 7월5일. 트럼프, 최대 70%까지 수입 관세 부과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이 대규모 감세와 예산 지출, 국방 증액, 복지 축소, 고율 관세 등을 담은 법안에 4일(현지시간) 서명하면서 세계 정치·경제 질서에 중대한 변화를 예고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 내 논란과 함께 우크라이나 전쟁, 한미 무역 협상, 글로벌 금융시장까지 복합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서명식에서, 870쪽에 달하는 이른바 ‘원 빅 뷰티풀 빌(One, Big, Beautiful Bill)’ 법안이 국방 예산 1,500억 달러(약 195조원) 증액, 2017년 도입된 감세 연장, 소득세 및 사회보장세 등 각종 세금 감면, 저소득층 의료보험(Medicaid) 및 식품 지원 축소, 이민단속 예산 1,000억 달러(약 130조원) 지원,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세제 혜택 축소 등을 담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경제 성장을 촉진할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여론조사에서는 대다수 미국인이 복지 축소와 부유층 우대에 비판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법안은 공화당 내에서도 재정적자 악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으며, 민주당은 저소득층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공격이라고 반발했다.
하원에서는 218대 214, 상원에서는 공화당 이탈표 속에 부통령 캐스팅보트로 간신히 통과됐다. (BBC, Reuters 등)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미국 독립기념일을 맞아 최대 70%까지 수입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히고, 주요 교역국에 관세 인상 서한을 순차적으로 발송한다고 언급했다. 8일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한 국가는 8월 1일부터 기존보다 훨씬 높은 관세가 적용될 전망이다.
한국은 자동차·철강 등 핵심 품목에서 25% 관세가 적용될 수 있으며, 미국은 농산물·자동차·디지털시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장 개방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한국 정부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위해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을 워싱턴에 급파했으며, 미국이 8일까지 협상 시한을 못 맞출 경우 관세 유예 연장도 검토 중이다. 미국은 한국에 에너지 구매 확대, 대미 투자 확대도 요구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국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젤렌스키(Volodymyr Zelensky)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미국의 방공 지원 의사를 밝혔으나, 실제 무기 지원은 중단 상태로 알려졌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Vladimir Putin) 러시아 대통령과도 전화 통화를 했으나, 휴전에 대한 진전은 없었다. 키이우와 여러 지역에 러시아군의 공습이 이어지며, 민간인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Trump Signs Sweeping Tax, Spending, and Tariff Bills, Reshaping Global Economic and Political Landscape
U.S. President Donald Trump has enacted a far-reaching tax and spending package that slashes social programs, ramps up defense spending, extends the 2017 tax cuts, and imposes aggressive tariffs on trading partners, marking a seismic shift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y.
In a festive Independence Day ceremony at the White House, Trump signed the 870-page “One, Big, Beautiful Bill” into law, boasting it would boost economic growth. The legislation delivers $150 billion in additional defense funding, extends major tax cuts, offers tax breaks for tipped and overtime income, and ends certain Biden-era clean energy incentives. At the same time, it imposes deep cuts to Medicaid and food assistance programs, drawing sharp criticism from Democrats who claim the package disproportionately favors the wealthy at the expense of the poor. Several Republicans also opposed the bill, citing concerns over rising deficits, but the bill passed by razor-thin margins in both chambers of Congress.
The sweeping economic package coincides with Trump’s announcement of a new tariff regime, warning that from August 1, import duties could surge to as high as 70% for countries failing to reach trade agreements with the U.S. by July 8. South Korea, currently under a 10% tariff, could face a 25% rate on key exports such as autos and steel, and Seoul is urgently seeking negotiations. The Trump administration is pressing for greater access to agricultural, automotive, and digital markets, while demanding higher Korean investment and energy purchases in the U.S.
On the global stage, Trump’s recent conversations with Ukrainian President Volodymyr Zelensky and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 have highlighted persistent tensions. While Trump has signaled willingness to help strengthen Ukraine’s air defenses, actual weapons shipments remain paused, raising concerns in Kyiv as Russian attacks intensify. Despite high-level talks, there has been no progress toward a ceasefire.
South Korean Trade Minister Yeo Han-koo has been dispatched to Washington for last-minute talks, with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the tariff grace period under discussion. Domestically, Korea faces political uncertainty as the government attempts to balance U.S. demands for market access and investment against internal sensitivities.
These developments underscore a pivotal moment in global affairs, as U.S. domestic policy reverberates through trade, security, and diplomatic ties with key allies and adversaries alike.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7월 1일 화요일 플로리다 오초피의 데이드-콜리어 훈련 및 전환 공항에서 취재진을 상대로 발언하고 있다. (공식 백악관 사진, 사진촬영: 다니엘 토록) President Donald Trump speaks to members of the press at Dade-Collier Training and Transition Airport in Ochopee, Florida, Tuesday, July 1, 2025. (Official White House Photo by Daniel Torok)
2025년 7월4일. 트럼프, '빅 뷰티풀 빌' 하원 가까스로 통과
미국 의회가 도널드 트럼프(Trump) 대통령의 국내정책 기조를 담은 '빅 빌(Big Bill, 원명 The Big, Beautiful Bill)'을 218대 214로 가까스로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트럼프 대통령이 7월 4일 이전 서명을 요구했던 핵심 공약 중 하나로, 공화당 내부 갈등 끝에 민주당 전원이 반대표를 던졌음에도 불구하고 2명의 공화당 이탈표만 발생해 가까스로 가결됐다.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에 따르면 이 법안은 2017년 도입된 감세정책의 연장을 비롯해 팁으로 얻은 수입과 초과근무수당에 대한 추가 감세 등 총 4조 5,000억 달러(약 5,900조원) 규모의 세제 혜택을 담고 있다. 반면 메디케이드 등 사회복지예산은 약 1조 달러(약 1,300조원) 삭감되고, 저소득층 식료품 지원 등도 추가로 축소된다. 또한 바이든(Biden) 행정부에서 도입된 청정에너지 세금공제도 단계적으로 폐지된다.
의회 예산국(Congressional Budget Office)은 이 법안의 결과로 향후 10년간 3조 4,000억 달러(약 4,400조원) 이상 국가부채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메디케이드 축소에 따라 2034년까지 1,180만 명이 건강보험을 잃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 지도부는 '국경 강화, 국방력 증강, 감세와 경제성장, 재정적자 감축'을 앞세워 법안을 옹호했다. 마이크 존슨(Mike Johnson) 하원의장은 “공정하고 낮은 세금, 더 큰 월급, 더 안전한 국경과 강한 군대를 원한다면 이 법안이 바로 그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민주당과 진보진영은 해당 법안이 '미국 서민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공격'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하킴 제프리스(Hakeem Jeffries) 민주당 하원 원내대표는 8시간 45분의 최장 연설(필리버스터)을 통해 '이 법안이 수백만 명의 건강보험을 박탈하고, 취약계층 지원을 줄인다'고 주장했다. 진보성향의 주지사와 의원들도 "역대급 배신", "중산층을 팔아넘겼다"며 맹비난했다.
이번 표결과정에서 공화당 초강경파와 중도파 일부가 끝까지 이견을 보였으나, 트럼프 대통령과 지도부의 압박에 최종적으로 대부분이 찬성표로 돌아섰다. 미 언론에 따르면, 이 과정에서 백악관과 지도부가 일부 의원에게 ‘행정명령 또는 향후 법안수정’ 등 추가 조치를 약속했다는 뒷얘기도 나왔다.
의회 통과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공화당을 설득하는 것은 매우 쉬웠다"고 자평했으나, 실제로는 표결 직전까지 내부 반발이 이어지며 극적 합의에 이르렀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법안에는 제약업계의 요구를 반영해 일부 희귀질환 치료제의 메디케어 약가 협상 예외조항이 추가되어, 향후 10년간 약 50억 달러(약 6조5,000억원) 상당의 정부 예산 절감이 사라질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더불어, 대법원(Supreme Court)이 8명의 이민자에 대한 제3국(남수단) 강제추방을 허용하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 이민정책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 일부 인권단체와 판사들은 해당 결정이 심각한 인권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법안 통과 직후 아이오와주 디모인(Des Moines)에서 미국 독립 250주년 기념행사 '아메리카(America) 250'을 시작하며 법안의 효과를 홍보할 계획이다.
Trump’s Domestic Policy Bill Narrowly Passes Congress, Setting Stage for Major Welfare Cuts and Tax Relief
July 3, 2025(U.S. Time)- In a razor-thin 218 to 214 vote, Congress has passed President Donald Trump’s (트럼프) signature domestic policy bill, marking a pivotal moment for his administration’s agenda as lawmakers approved sweeping tax cuts and deep reductions in social safety net programs. The bill, one of Trump’s top demands ahead of July 4, exposed sharp divisions both between and within the parties, ultimately passing with all Democrats in opposition and only two Republican defections.
According to The New York Times, the legislation extends 2017 tax cuts and adds new ones on tips and overtime, totaling $4.5 trillion over the next decade. At the same time, it slashes about $1 trillion from Medicaid and further trims assistance for low-income Americans, while phasing out clean-energy tax credits introduced under President Biden (바이든). The bill also increases funding for defense and border security, and raises the federal debt limit by $5 trillion — a move even many Republicans historically opposed but deemed necessary to prevent default.
The Congressional Budget Office warned that, despite claims of fiscal responsibility, the bill is projected to increase the national debt by at least $3.4 trillion in ten years, and the Medicaid cuts alone could leave 11.8 million more people without health insurance by 2034.
Speaker Mike Johnson (마이크 존슨) championed the legislation as essential for lower taxes, stronger borders, and military investment. “If you’re for fairer and lower taxes, bigger paychecks, affordable gas and groceries and restoring dignity to hard work, this is the bill for you,” he said, according to The New York Times.
Democrats denounced the bill as an assault on working families and the vulnerable, with House Minority Leader Hakeem Jeffries (하킴 제프리스) making an eight hour and 45-minute speech detailing stories of Americans who could lose health care and food assistance. Democratic governors and lawmakers echoed his sentiments, calling it “the ultimate betrayal” and “a gut punch” to middle- and working-class Americans.
The measure’s passage followed a tumultuous process. Hardline conservatives and moderates alike objected to elements of the bill but ultimately succumbed to pressure from Trump and party leaders, some reportedly swayed by promises of executive actions or future adjustments.
The legislation also quietly delivers a $5 billion win for pharmaceutical companies by loosening rules around Medicare drug price negotiations, The New York Times reported.
Separately, the Supreme Court’s decision to allow the deportation of eight migrants to South Sudan — despite warnings about potential torture — highlighted the Trump administration’s increasingly aggressive immigration stance.
President Trump is set to promote the new law at the America250 celebrations in Iowa, touting it as a turning point for the nation’s future.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6월 27일 금요일, 제임스 S. 브래디 브리핑룸에서 팸 본디 법무장관, 토드 블랑슈 부장관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공식 백악관 사진, 몰리 라일리 촬영)
2025년 7월1일. 트럼프, '빅 뷰티풀 빌' 상원 가까스로 통과
미국 워싱턴 DC와 각국 주요도시에서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의 주요 정책들이 잇따라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상원을 통과한 대규모 세금·지출법안, 시리아에 대한 제재 해제, 해외 인도적 지원금 삭감, 그리고 일본을 겨냥한 무역 압박까지, 다양한 정책들이 전방위적으로 전개되며 국내외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 상원은 지난 주말 트럼프 대통령이 강력히 추진한 '원 빅 뷰티풀 빌(One Big Beautiful Bill Act)'을 근소한 표차(51-49)로 가결했다. 이 법안은 대규모 감세와 복지예산 삭감, 국경안보 예산 증액 등이 포함돼 있으며, 연방 적자를 10년간 최소 3조 달러(약 4,130조 원) 이상 늘릴 것으로 전망된다.
민주당과 일부 공화당 의원들은 법안이 저소득층 의료와 식품 지원, 녹색 에너지 세금 혜택을 대폭 축소한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법안은 미국 경제를 되살릴 핵심 처방"이라고 주장했다고 CNBC가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리아에 대한 미국의 오랜 제재를 전격 해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미 재무부는 시리아 인물·기관 518개를 제재 명단에서 삭제했으며, 미국 정부는 "시리아의 재건과 경제 회복에 필수적인 주체에 한해 제재를 해제한다"고 밝혔다.
시리아 외교장관 아사드 하산 알샤이바니는 "이 조치로 오랜 재건의 길이 열릴 것"이라며 환영 입장을 밝혔다고 알자지라가 전했다. 다만, 알 아사드 전 대통령과 연계된 인물, IS(이슬람국가), 이란 및 그 동맹에 대한 제재는 유지된다. 또한, 시리아 임시정부 지도자 아흐메드 알샤라에 대한 테러리스트 지정 해제 검토와 시리아 반군조직 HTS(하얏 타흐리르 알샴)의 테러단체 재지정도 추진된다.
해외 원조 정책에서는 대규모 삭감이 단행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 국제개발처(USAID) 예산의 83%를 줄이며, 보건·교육·식량 등 지원사업의 대다수를 중단했다. 이에 대해 란셋(The Lancet) 등 의학전문지는 "이로 인해 2030년까지 1,400만 명이 조기 사망할 수 있으며, 이 중 3분의 1이 아동"이라고 경고했다. 케냐, 방글라데시 등지의 유엔 난민캠프에서는 식량배급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아사 위기가 커지고 있다고 BBC가 전했다.
미·일 통상마찰도 고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이 미국산 쌀 수입을 제한하고 있다며 "미국의 쌀을 수입하지 않으면 자동차 등 일본산 수입품에 25%의 고율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관방장관은 "미국과의 성실한 협상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으나 구체적 언급은 피했다고 CNN이 보도했다.
이처럼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은 국내외에서 논란과 갈등을 동반하고 있으며, 미국 내부에서는 대규모 재정적자 우려와 사회안전망 약화, 국제사회에서는 시리아와 중동정책 변화, 인도적 위기 심화, 글로벌 통상갈등 확산 등 후폭풍이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