깅병기 원내대표 등 민주당 원내지도부가 본회의 참가가 늦어지자 대책을 놓고 우원식 의장과 논의하고 있다. 사진- NjT.
31조8000억원 규모의 2025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이 국회를 통과했다.
이번 추경은 비수도권과 인구감소지역의 소비 진작을 위한 소비쿠폰 확대, 영유아 보육료·발달장애인 지원 등 다양한 민생 예산 확대, 그리고 농가와 산불 피해지역 지원 등 지역경제 회복에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특수활동비(특활비) 증액 문제를 두고 여야 간 첨예한 대립이 이어지면서, 예산의 통과와 동시에 정치적 논란도 거세졌다.
이번 추경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지역균형과 취약계층 지원을 강화했다는 점이다. 비수도권 주민에게는 3만원, 인구감소지역에는 5만원의 추가 소비쿠폰이 지급되며, 국비 지원 비율도 서울은 70%에서 75%로, 타 지역은 80%에서 90%로 상향됐다. 영유아 보육료 단가도 5% 인상됐고, 발달장애인 지원 예산은 249억원이 늘었다. 초중고 예술강사 인건비 49억원이 추가 지원됐으며, 콩 2만톤 비축, 고수온 대응 장비, 산불 피해 대체작물 지원 등 농가와 재해 대응 예산도 강화됐다.
민주당은 이번 추경이 “경제와 민생 회복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한 조치”라며 신속 집행을 촉구했다. 진성준 정책위원회 의장은 “민생회복을 위한 소비쿠폰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말했고, 이소영 예산결산정책조정위원장도 “지방정부의 어려운 재정 여건을 고려해 국비 지원 비율을 상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영유아 보육, 장애인, 예술강사, 농민, 산불 피해 주민 등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예산 확보에 총력을 기울였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추경이라는 상징성도 크다. 김성회 민주당 대변인은 “새 정부가 출범 31일 만에 추경을 확정할 수 있었던 것은 국민의 명령에 부응하기 위한 노력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민주당은 “집권여당으로서 국민에게 무한 책임을 지겠다”며 “정부가 오늘 통과된 추경을 신속히 집행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추경안 심사와 처리 과정에서 여야의 극한 대립은 더욱 심화됐다.
가장 큰 논란은 검찰 특수활동비 41억원 증액과 대통령실 특활비 부활이었다. 조국혁신당 백선희 원내대변인은 “민생 추경의 시급성에는 공감하지만, 검찰 특활비 증액에는 반대한다”며 “지난해 불투명성 논란 끝에 전액 삭감했던 특활비를 아무 제도 개선 없이 부활시킨 것은 신뢰를 저버리는 일”이라고 밝혔다. 조국혁신당은 “검찰개혁은 예산 거래의 조건이 아니라, 실천으로 증명해야 할 원칙”임을 강조하며, 민주당의 입장 변화와 처리 방식을 비판했다.
송언석 원내대표 등 원내지도부가 국회의장에 회의 연기를 항의하고 있다. 사진- NjT.
국민의힘 역시 이번 추경을 강하게 반발했다. 강전애 대변인은 “여야 협의 없이 민주당이 추경안을 단독 처리했다”며 “특수활동비 증액은 내로남불의 전형”이라고 비판했다. 박수민 국민의힘 의원도 “지난해 대통령실 특활비를 전액 삭감했던 민주당이 정권이 바뀌자 증액을 추진한 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협상 과정에서 특활비 집행 절차에 대한 설명조차 없었고, 말 바꾸기에 대한 해명과 사과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예산안 심사 마지막까지 국민의힘과 민주당 간 협상은 결렬됐다. 박수민 의원은 “오늘 새벽 1시30분까지 민주당의 대화를 기다렸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고, 민주당은 단독 처리를 강행했다”고 전했다. 국민의힘은 “추경 여야 합의 처리가 원칙”임을 강조하며, 민주당이 ‘협치’를 포기했다고 비판했다.
이날 표결은 오후 2시에 잡혔으나 '검찰 특활비'를 놓고 민주당 내부에서 반발이 일기 시작해 민주당 의원총회로 이어졌고 이것이 해결되지 않자 오후 4시30분으로 연기됐으나 이것도 기한 없이 연기되고 말았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약 1시간30분 동안 민주당 의원들의 본회의장 입장을 기다렸으나 6시가 넘어서도 들어오지 않자 권성동 의원의 '선동'에 의해 퇴장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8시쯤 입장했고 거꾸로 국민의힘 의원들은 약 2시간 기다렸지만 국민의힘 의원들은 끝내 돌아오지 않았다. 결국 민주당과 국민의힘을 뺀 야당 의원들이 투표해 10시가 넘어 찬성 168명, 반대 3명, 기권 11명으로 추경안이 통과됐다.
민생과 경제 회복이라는 명분에도 불구하고, 특수활동비 부활 논란은 예산의 투명성, 집행의 신뢰성에 대한 우려로 이어졌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본회의를 마치며 “정부는 국회가 의결한 추경이 신속하게 민생 회복과 경기 진작에 도움이 되도록 즉각적 예산·자금 배정, 행정절차 간소화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우 의장은 또 “특수활동비는 당초 편성 목적에 맞게, 부적절한 집행이 없도록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집행지침’을 철저히 준수해 투명성 논란이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특별히 당부했다.
정치권은 각기 입장을 고수하며 앞으로의 책임 공방과 실질적 집행 과정에서 또 한 번 치열한 논쟁을 예고했다. 한편, 예산의 대폭 확대에도 불구하고 야당의 집행 감시와 제도개선 요구가 거세져, 단순한 추경 처리를 넘어 향후 예산 투명성과 거버넌스에 대한 사회적 논의도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측 대표로 나온 김민석 국무총리는 "2025년 제2회 추경에 대해 의결해주신 것에 대해 정부를 대표해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경제위기 극복과 민생회복에 큰 뜻을 모아주신 덕분에 이번 추경이 신속하게 국회를 통과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당면한 위기극복과 민생회복에 전력을 다해야할 때다. 추가 경정 예산을 신속하게 집행하도록 하겠다. 최대 55만원을 지급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업을 빠르게 시행하여 어려운 내수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경기 활성화를 위한 투자촉진 예산은 더욱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다. 소상공인과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사업은 빈틈없이 세심하게 집행하여 국민 한분한분의 삶에 온기가 빨리 스며들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South Korean National Assembly Passes $23 Billion Supplementary Budget Amid Deep Political Divisions
July 4, 2025 | SEOUL — South Korea’s National Assembly on July 4 approved a supplementary budget worth 31.8 trillion won ($23 billion), with lawmakers emphasizing support for vulnerable regions and groups, but the vote also underscored fierce partisan conflict, particularly over increased funds for special prosecution activities.
The newly passed budget expands spending on local economies outside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provides additional consumer coupons for both non-capital residents and depopulated regions. The supplementary funding also increases government subsidies for child care, disability support, art education, and disaster response, while stepping up aid for farmers facing crop losses and communities recovering from wildfires.
Democratic Party (더불어민주당) leaders hailed the budget as critical to accelerating recovery for households and regional economies still reeling from economic challenges. Jin Sung-joon (진성준), the party’s policy chief, argued that consumer coupons would invigorate local markets, while Lee So-young (이소영), head of budget coordination, cited higher central government funding for local governments as an essential adjustment to difficult fiscal realities. The party also stressed that significant allocations were secured for young children, people with disabilities, art instructors, farmers, and wildfire victims.
This was the first supplementary budget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Lee Jae-myung (이재명) administration. Democratic Party spokesperson Kim Sung-hoe (김성회) attributed the rapid passage to lawmakers’ efforts to heed public demands, urging the government to disburse the funds without delay.
However, the process deepened rifts between the main parties. The most contentious issues centered on the restoration of special activity funds for prosecutors—up by 4.1 billion won ($3 million)—and for the presidential office. Baek Sun-hee (백선희), floor spokesperson for the Rebuilding Korea Party (조국혁신당), acknowledged the need for urgent relief but criticized the return of prosecution funds, citing past controversies over transparency and a lack of safeguards. She insisted that prosecutorial reform must be demonstrated through action, not just budget negotiations, and denounced the Democratic Party’s shift on the issue.
The People Power Party (국민의힘) also lambasted the budget’s passage. Spokesperson Kang Jeon-ae (강전애) accused the Democratic Party of pushing through the bill without bipartisan agreement and called the special funds’ increase a clear case of double standards.
Representative Park Soo-min (박수민) condemned the Democratic Party for seeking to restore presidential office funds it had slashed only a year ago, and argued that the party failed to provide explanations for changes or address concerns about accountability.
Negotiations between the Democratic Party and People Power Party collapsed in the final hours. Park Soo-min (박수민) said that opposition lawmakers waited until 1:30 a.m. for Democratic Party discussions, but no consensus was reached. The People Power Party reiterated its position that bipartisan cooperation is essential for budget matters and accused the Democratic Party of abandoning this principle.
The vote, originally set for 2 p.m., was delayed by an internal Democratic Party dispute over the prosecution funds, pushing the session back to 4:30 p.m. and then indefinitely. People Power Party legislators waited for over an hour, but left the chamber after 6 p.m. following a call to withdraw by Kwon Seong-dong (권성동). Democratic Party members entered the session around 8 p.m., while People Power Party members did not return. The final vote passed with 168 in favor, 3 against, and 11 abstentions, relying on support from minor opposition parties.
Despite the stated aim of revitalizing the economy and aiding citizens, controversy over the special activity funds has sparked renewed concerns over transparency and public trust in government spending. National Assembly Speaker Woo Won-shik (우원식) urged the government to swiftly allocate the budget and simplify administrative processes to ensure prompt relief, while emphasizing strict adherence to guidelines for fund management to prevent renewed criticism over misuse.
As the two largest parties remain locked in dispute, further clashes are expected over the implementation and oversight of the expanded budget. Calls for greater fiscal transparency and institutional reform are likely to intensify as scrutiny grows over the handling of public funds.
Tensions came to a head in the early morning hours, with opposition lawmakers waiting until 1:30 am in hopes of a last-minute agreement. But the Democratic Party ultimately pressed forward alone. Assembly Speaker Woo Won-shik (우원식), in his closing remarks, called for “rapid allocation and streamlined administration so that the approved funds bring swift relief to households and local economies.” At the same time, Woo warned: “All special activity funds must be spent for their original purpose, and the government should scrupulously follow operational guidelines to prevent renewed controversies over transparency.”
Despite the emergency nature of the supplementary budget, the specter of partisanship, credibility gaps, and the unresolved debate over discretionary spending now looms larger than ever. As the new funds roll out, political scrutiny over execution, oversight, and future reform appears certain to intensif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