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맨위로

설연휴, 블록버스터 없는 극장가의 새로운 패러다임 [김헌식의 문화 스펙트럼]

-관객의 선택과 취향에 맞는 영화의 변화 | 다양한 문화 소비 패턴과 영화 시장의 대응

등록일 2024년02월07일 01시59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명절 연휴가 되면 극장가에도 대목이라는 게 있었다. 코로나 19 엔데믹이 되면 이러한 점이 회복될 줄 알았다.

 

하지만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길이 열리고 있었다. 심지어 2024년 설 명절 연휴에는 블록 버스터 영화를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보통 5~600만 명 이상의 관객 동원을 할 때 대형 블록버스터라고 한다면, 300만 관객 동원을 목표로 해야 하는 영화도 없이 대체로 150만에서 200만 사이의 영화들이 관객들을 찾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는 그간의 국민 사이에서 문화 향유의 방식이 달라지고 있는 점을 확인케 한다.

 

구체적인 예를 보면 우선 반려견을 둘러싼 옴니버스 이야기를 담은 ‘도그데이즈’의 경우에는 손익분기점 관객 수가 200만 명 정도에 불과하다.

 

이름을 빌려주고 암흑 속에 사는 바지사장 소재를 다룬 ‘데드맨’은 75억 제작비라 170~180만 명의 손익분기점을 넘겨야 한다. 물론 약 82억이나 75억 원의 제작비는 보이스 피싱 조직 일망 타진을 다룬 ‘시민덕희’와 비교된다.

 

 


 

영화 '시민덕희'가 개봉 2주 차인데도 한국영화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고, 이 영화의 제작비는 65억 원으로 손익분기점은 150만 명이다. ‘시민덕희’는 손익분기점은 무난히 돌파하며 흥행작이 되었고 설 연휴까지도 지속세를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물론 ‘시민 덕희’보다 제작비가 적은 영화도 있는데 김영옥, 나문희 주연의 70대 동창생들의 여행기를 다룬 ‘소풍’은 제작비가 12억 원으로 약 25~27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면 손익분기점을 넘길 수 있다.

 

이렇게 설 명절 연휴 즈음에 개봉한 영화들의 손익분기점이 낮은 것은 몇 가지 이유 때문이다. 우선, 작년의 상처를 꼽을 수 있다. 2023년 설 명절 즈음에 137억 원의 제작비로 손익분기점 335만 명이었던 ‘유령’은 66만 명에 그쳤다.

 

또한, 제작비 150억 원으로 350만 명대의 손익분기점을 넘겨야 했던 ‘교섭’은 164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고도 흥행에 실패했다. 이런 작품들의 특징은 대체로 흥행 배우에 흥행 코드를 더하고 제작비를 대거 투입한 전형적인 블록버스터 제작 방식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더 이상 이런 영화에 관객들이 반응을 크게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블록버스터 영화를 설 명절 연휴 기간에 개봉할 이유가 없어졌다. 더구나 설 명절 연휴 이후에는 바로 개학을 앞두어야 한다. 즉, 바로 비수기에 접어들기에 블록버스터 영화의 흥행이 동력을 받을 수 없다.

 

더구나 설 명절을 보내는 방식이 좀 달라졌다는 점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코로나 19 이전에는 가족 단위로 멀티플렉스 영화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 좀 트렌디한 생활 문화였지만, 이제는 다양한 방식을 취하게 되었다.

 

영화관을 가지 않아도 대체 방식이 자리를 잡았다. 예컨대, 여행을 가기도 하고 공연을 찾기도 한다. 해외여행은 어느 때보다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티켓값이 높지만, 흥행 명작들을 찾고 있다.

 

여기에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통한 콘텐츠 소비가 늘었다. 고금리 고물가에 경제적 부담이 어느 때보다 높은 상황에서 가성비가 맞지 않을 수 있는 영화관이 매력적인지 알 수가 없다. 물론 꼭 가격 때문만은 아니다. 가격보다 얻을 수 있는 효용성이 떨어지면 선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느 때보다 요즘 공연 티켓 가격이 높은데 그런데도 예매 관객이 증가한 것은 이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더구나 대중적인 작품은 꼭 명절 연휴가 아니라도 언제든 주목받는 관람 문화가 형성되었다. 즉 영화 관람을 휴가나 연휴, 방학에만 관람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 동기가 있다면 언제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은 비수기인 5월과 11월에 개봉해 천만 관객 돌파까지 이루어낸 ‘범죄도시’나 ‘서울의 봄’이 잘 보여주었다.

 

이전 사례들과 비교했을 때, ‘도그데이즈’나 ‘데드맨’이 상대적으로 손익분기점 관객 수가 적다고는 하나 여전히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소풍’을 비롯한 상대적으로 이런 작품들이 흥행에 성공한다면 새로운 명절 연휴에 관한 개봉작 흥행 모델이 성립될 수 있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천만 관객 동원이 아니라 손익분기점을 넘겨서 분배와 투자의 선순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흥행 비즈니스 모델을 새롭게 만드는 것이다. 그것은 이제 한국 영화계의 기본 모델이다.

본 기사는 유료기사로 기사의 일부만 제공됩니다.
- 결제 즉시 유료 기사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디지털 콘텐츠 특성상 환불되지 않습니다. (단, 미사용시 환불 요청 가능)
- 결제한 내역은 마이페이지 결제내역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환불 및 변경 문의와 관련해서는 메인페이지 하단 [이용약관 및 고객지원]을 통해
더 자세한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정기회원권은 회원가입 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 정기회원권은 마이페이지 또는 사이트 우측 상단 이용권결제를 이용해주세요.
김헌식 칼럼니스트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2 내려 0
관련뉴스
범죄도시의 파란: 뜻밖의 흥행에서 세계관 구축까지 [김헌식의 문화 스펙트럼]
민희진 신드롬 왜? [김헌식의 문화 스펙트럼]
하이브·어도어 사태에서 드러난 경영 리스크의 중요성 [김헌식의 문화 스펙트럼]
코첼라 르세라핌 가창력 논란 왜 [김헌식의 문화 스펙트럼]
아이유 콘서트 암표로 가면 좋아할 권리 박탈? [김헌식 문화 스펙트럼]
이효리 레드카펫 '알묘조장'하는 사회의 단면? [김헌식의 문화 스펙트럼]
'삼체'(3 body problem) 중국의 반발 그리고 우리에게도 자극 [김헌식의 문화 스펙트럼]
2024 아카데미는 백래시? 왜 오펜하이머를 선택했을까? [김헌식의 문화 스펙트럼]
파묘 왜 보나? 파면 팔수록 나오는 것 [김헌식의 문화 스펙트럼]
은퇴? 나훈아 21세기에 갖는 의미 [김헌식의 문화 스펙트럼]
건국전쟁 흥행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김헌식의 문화 스펙트럼]
관객을 사로잡는 소규모 영화들 [김헌식의 문화 스펙트럼]
고려거란전쟁 논란 마지막 사극일 수도?! [김헌식의 문화 스펙트럼]
정우성의 수화가 더 빛을 볼 수 있었는데 왜? [김헌식의 문화 스펙트럼]
성난 사람들 골든글로브 수상 한국인 배려일까? [김헌식의 문화 스펙트럼]

가장 많이 본 뉴스

뉴스 인물 교육 시리즈 짘놀

포토뉴스 더보기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