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을 두고 프랑스를 떠나 서울에 돌아 온지도 벌써 12년이 흘렀다.
서울에 와서도 나름으로 열심히 살아왔고, 이렇게 얻은 수많은 경험은 다양한 이야기 소재로 변화하게 되었다. 별생각 없이 일상적으로 바쁜 하루를 보내던 중, 문득 그동안 겪었던 경험을 글로 적어보는 것이 괜찮겠다고 생각하였다.
이후 글을 쓰고자 하는 첫 번째 소재를 고민하다가, 일반인들은 경험하지 못한 프랑스 정착 과정이 나름대로 경쟁력이 있겠다고 판단하였고, 당시의 추억들을 하나씩 소환하여 글로 옮기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3년 전부터 글을 쓰기 시작하였는데 직장생활이 바쁘다는 핑계와 함께 글을 쓰는 작업이 익숙하지 않아서인지, 글쓰기가 수시로 중단되기를 반복하다가 이제야 완성을 볼 수가 있었다.
아무래도 전문적으로 글을 쓰는 사람이 아니다 보니, 별도로 글 쓰는 시간을 할애하기도 힘들었고 작업에 집중하기도 쉽지 않았다. 가장 큰 걱정거리는 내가 글을 써도 누군가 읽어줄 사람이 있을까? 하는 고민이었다. 이러한 생각들이 자꾸만 머릿 속에서 맴돌다 보니까 글쓰기가 더욱 힘들었고, 이 글을 써서 큰 의미가 있을까? 라는 생각으로 수시로 작업이 중단되었던 것이다.
그러던 어느 날 ‘남들이 이 글을 읽어줄까?’라는 고민으로 시간을 보내기보다는 글 쓰는 작업에 더욱 집중하자는 생각이 들었다. 더불어 이왕 시작한 글쓰기를 멈추지 말고 마무리를 하는 것이 좋겠다는 결론도 도출하였다. 나름대로 결론을 도출한 이후로는 작업시간에 가속도가 붙었고, 빠른 속도와 함께 그동안 미뤄왔던 글쓰기를 끝낼 수 있었다. 하지만 평소 글을 써본 적이 없는 비전문가이기에, ‘이 글이 일반인에게 어필할 수 있는가?’에 대한 고민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10여년간 프랑스에서 생활하면서 겪었던 일들을 일화로 엮은 수필형식의 내용이다. 특별히 어떤 계층을 대상으로 글을 쓰지는 않았으나, 유럽 특히 프랑스에 대하여 호기심을 갖고 있는 분들에게 약간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별도로 책을 읽고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면 메일로 문의 바라며, 가급적 이른 시일 내에 답장을 드리도록 하겠다.
[글: 김양석(서울 한서고등학교 이사장), 메일 : franceguide@naver.com]
Photo by 김양석. 프랑스 유치원.
3. 프랑스의 유치원
얼마든지 할 수 있다며 큰소리를 치면서 호기스럽게 프랑스로 건너왔지만(도불), 걱정거리는 한둘이 아니었다. 물론 말이 안 통한다는 것이 제일 큰 문제였고, 다음으로는 프랑스인들의 생활방식을 모른다는 사실 또한 큰 걱정거리였다. '가족들과 함께 프랑스로 오겠다는 결정이 얼마나 무모하였는가!'란 생각이 슬며시 몰려들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당시의 상황이 후회만 한다고 해결되는 것도 아니었기에, 일단 부닥친 일들을 하나하나 해결해 보기로 하였다. 제일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는 큰아이를 어딘가에 맡겨야 우리 부부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이었다. 당시 큰아이의 나이가 정확히 30개월이었고, 이 정도의 연령은 탁아소에 들어갈 수도 있고, 받아만 준다면 유치원에서 들어갈 수도 있었다.
후에 알게 된 것이지만 탁아소에는 프랑스인조차 자신의 아이들을 맡기기가 쉽지 않았다. 즉 프랑스에서도 육아 문제는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었다. 다행히 유치원에서 큰 아이를 받아준다고 해서 우리 부부로서는 걱정거리 하나를 줄일 수 있었다.
프랑스 유치원의 학년은 가장 어린 나이인 PS(Petite Section), MS(Moyenne Section) 그리고 GS(Grande 프랑스 정착기 19Section)로 나뉜다. 가장 나이 어린 유아들이 들어가는 PS는 만으로 2-3세에 해당하는 아동들이 입학하는데, 2021년을 기준으로 하면 2017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31일 사이에 태어난 아동들이 그 대상이 된다.
프랑스에는 주 정부에서 어린아이들을 맡아서 관리해주는 크레쉬(Crèche)라는 기관이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 크레쉬(Crèche)라는 기관에 프랑스인들조차 자신의 아이들을 맡기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프랑스의 부부들은 맞벌이 생활을 해야 하기에 어린아이를 어딘가에는 맡겨야만 자유롭게 직장생활을 할 수가 있다. 따라서 크레쉬(Crèche)에서 감당하기 어려운 탁아문제를 유치원에서 일부 대신해 주는 상황이었다. 즉 만 3세 유아를 둔 프랑스 학부모들은 크레쉬(Crèche) 대신 유치원에 입학시킴으로써 자연스럽게 탁아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었다.
학교마다 지역마다 다르게 운영되지만, 수업은 일반 초중고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이어진다. 중간에 점심시간이 있고 점심 이후에는 모든 원생이 교실에서 낮잠을 잔다. 원생들의 모든 등하교는 학부모 책임하에 이루어지고 담당 교사들은 학교 내에서의 학생 안전만 책임을 진다. 만일의 사고에 대비하여 학부모는 의무적으로 보험을 들어야 하고 이와 관련한 증서를 유치원에 제출하여야 한다.
학생들의 등하교는 모두 학부모들의 책임하에 이루어지는데, 일부 지역에는 마을 자치적으로 유치원 주변에서 등하교 지도를 실시하기도 한다. 학부모들이 아침 일찍 출근하거나 늦게까지 근무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학교에서 아이들을 관리해 주기도 하는데 흔한 경우는 아니다. 학부모가 늦은 시간까지 아이들을 데려가지 못하면 아이들은 시에서 운영하는 장소로 이동하게 되고, 너무 늦은 시간까지 아이들을 데려가지 않으면 자동으로 경찰에 부모를 고발하게 된다.
아침마다 아이와 함께 유치원에 가면 마을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유아들의 등교지도를 도와주는데, 보안관 모자를 쓴 한 아저씨가 별것도 아닌 좁은 거리의 건널목을 아이와 함께 아주 조심스럽게 건너 주던 모습이 지금도 기억에 생생하다.
솔직히 말해서 아저씨의 행동이 대단한 봉사는 아니었지만, 그래도 학생들을 위해서 자발적으로 그렇게 행동할 수 있다는 프랑스인들의 여유가 그저 부럽기만 하였다. 점심은 학교 내 설치되어 있는 레스토랑에서 이루어지는데 모든 교육비가 무료이지만 점심 식사비는 학부모들의 수입 정도에 따라서 차등하여 납부한다. 특이한 점은 학부모들이 점심 식사비를 학교에 납부하는 것이 아니고 시청(mairie)에 직접 납부한다는 것이다. 즉 학교는 학생들의 교육과 안전에만 신경을 쓰고 회계 및 시설관리와 관련한 모든 사항은 주 정부에서 관장을 함으로써 교사들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켜 주는 것이다.
수업은 1주일 중 월, 화, 목, 금요일에 진행된다. 수요일은 주로 아이들의 재능과 관련한 교육이 이루어지는데, 학부모들과 아이들의 선택에 따라 체육이나 음악, 미술 등의 특기 교육이 실시된다. 그러나 학부모들이 시간적인 문제로 아이들을 보살피기 어려운 경우, 상트르 드 롸시르(Centre de Loisir)라는 곳에서 유아나 학생들을 맡아 대신 관리해주고 있다. 유치원에 따라서 토요일 오전에도 수업하는 곳이 있는데, 이런 유치원은 다른 곳에 비하여 방학 기간이 더욱 긴 편이다.
Photo by Shutterst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