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맨위로

[축구와 인生死(28)] 진정한 다문화 축구의 나라 스위스 [Soccer]

#스위스축구 #다문화축구 #스위스역사 #축구역사 #유럽축구 #제프블래터 #스테판샤퓌자 #독일축구 #분데스리가 #유럽다문화 #코소보이민 #프랑스축구 #이탈리아축구 #중립국축구 #스위스월드컵

등록일 2024년06월24일 04시00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독일 - 8월 23일: 1997년 8월 23일에 열린 1997/98 1.분데스리가 경기에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가 보훔을 5:2로 이긴 경기, 스테판 샤푸이자가 4:1로 만드는 골을 넣은 후 모습. (사진: Andreas Rentz/Bongarts/Getty Images)

 

스위스는 유럽에서 축구를 가장 먼저 받아들인 나라다. 스위스에 있던 영국인 학생들이 풋볼을 전파하면서 첫 수입국이 되었던 것. 1850년대와 1860년대의 일이다.

 

당시 스위스에는 영국 유학생이 많았다. 알프스의 멋진 전경, 부유함, 은행과 엔지니어 분야의 발전이 영국 유학생들을 끌었다. 영국 학생들은 로잔, 제네바, 취리히에서 유학했다.

 

영국 유학생들은 1848년에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작성된 현대적 규칙에 따라 축구를 했던 사람들이다. 문헌에 따르면 기원전 2-3세기에 중국에서 고대 그리스시대에 공차기 놀이가 있었지만 지금과 같은 규칙으로 경기가 진행된 것은 1848년이 첫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스위스와 영국 학생들의 비공식 축구 경기로 시작된 스위스 축구는 로잔 풋볼&크리켓 클럽의 창설로 본격적으로 전파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1860년대와 70년대에 속속 축구팀이 창설됐다.

 

스위스는 영국과 함께 축구가 유럽으로 전파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축구의 부종가’쯤이 된다. 스페인에서는 영국에 의해 축구가 심겨졌지만 이 나라에서 축구가 인기를 끈 것은 스위스인이 세운 FC 바르셀로나가 창단한 1899년 이후다. 이탈리아도 스위스로부터 축구를 전수 받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초기 이탈리아팀의 감독과 주장은 스위스에서 축구를 배운 인물이었다.

 

 

스위스는 전통적으로 다민족, 다문화 국가다. 스위스는 오스트리아 침략군에 대항하기 위해 통합하고 연합해야 했고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여러 주가 연합을 했다. 스위스 사람들은 ‘나라를 지키는 일’에 온힘을 기울였고 전국민의 군인화를 이끌었다. 스위스는 군사적으로 강했고 이는 이 나라가 중립국이 되는 결정적인 이유가 됐다. 중립국이 되려면 군사력이 강력해야 한다. 그 어느누구도 시비를 걸 수 없도록 하기 위해서다.

 

중립국이기에 세계 모든 기구와 회담이 스위스에서 설립된다. FIFA 사무소가 스위스에 있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중립국의 위치에 있음은 독일의 회생에 큰 도움을 주었다. 독일어가 공용어 중 하나인 스위스는 2차 세계 대전 후 독일(서독)이 첫 국제 경기를 치를 수 있도록 맞대결을 주선해준 나라이다.

 

전 세계가 독일(서독)에 대해 적대적인 당시 상황에서 스위스는 고마운 나라였다. 독일(서독)은 또한 1954년 스위스에서 열린 월드컵에서 챔피언 자리에 오르는 ‘베른의 기적’을 경험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화마를 경험하지 않은 유일한 유럽 국가였던 스위스에서 열린 첫 전쟁 후 월드컵에서 서독이 챔피언이 된 것은 많은 것을 의미했다.

 

단순히 축구 경기에서의 승리라기보다 나라가 일어서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됐던 것이다. 당시 스위스 월드컵은 또한 TV로 생중계가 있었던 첫 번째 대회였다. 유럽 방송 연합은 1954년 스위스 월드컵 9경기를 유럽 전역으로 생방송으로 내보냈다. 당시 방송권료는 일푼도 없었다. 대신 TV 수상기가 엄청나게 판매됐다.

 

독일은 1989년 통독을 이룬 후에 스위스에 연락해 통독 후 첫 경기를 갖자고 제의했다. 과거 호의를 베푼 역사에 대한 감사의 표시였다. 스위스팀은 독일 슈트트가르트로 달려가 통독 후 첫 경기를 가졌다.

 

전 스위스 대표팀 감독이었던 울리히 슈틸리케는 “양국은 축구를 통해 결속이 잘 되어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풋볼리스트의 류청 기자에 따르면 슈틸리케는 스위스 감독이었을 당시 독일어권 중심의 선수 선발의 관행을 깨고 다양한 선수를 국가대표로 선발함으로써 스위스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고 한다. 슈틸리케는 1989년부터 1991년까지 스위스 대표팀 사령탑에 오른 바 있다.

 

 

진정한 다문화 축구가 포문을 열었다. 그리고 다문화에 대한 열림은 스위스의 축구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해리슨 스탁(The Global(ized) Game: A Geopolitical Guide to the 2014 World Cup의 저자)은 코소보, 코트디브와르, 마케도니아, 터키에서 온 이민 1세대, 2세대 덕분에 스위스 축구가 발전했다고 설명했다.

 

스위스는 지난 2016년 UEFA 유럽 챔피언십에서 프랑스에 이어 이민배경이 있는 선수를 보유한 팀 2위에 오른 바 있다. 프랑스는 65%였고 스위스는 61%였다. 이는 다시 한 번 단일민족, 단일문화로는 좋은 결과를 내기가 어려움을 알려주는 지표이다. 물론 늘 예외는 있다.

 

이러다보니 특이한 현상이 생기기도 한다. 스위스의 자카 형제는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났지만 상대 나라 선수로 만난 특별한 경험을 했다. 그라니트 자카와 타울란트 자카 형제는 2016년 유로에서 각각 스위스, 알바니아 대표 선수로서 출전해 맞대결을 펼쳤던 것이다.

 

코소보계 알바니아 출신 부모에게서 태어난 두 선수는 스위스 바젤에서 성장했는데 형 타울란트는 핏줄을 따라 알바니아 대표팀을, 동생은 자신이 자란 스위스의 대표팀 합류를 받아들였다. 이 경기에서 두 선수의 어머니는 스위스와 알바니아 국기가 절반씩 있는 티셔츠를 입고 두 아들 모두를 응원했다.

 

조선일보는 스위스 축구가 성장한 이유를 다문화/다민족의 힘으로 보았다.

스위스는 정치적으로 중립국가이다. 그로 인해 인구의 20%가 이민자 출신이다. 스위스의 주변 국가인 이탈리아, 코소보, 터키 출신들이 많다. 이민자들의 후세들은 스포츠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축구도 예외는 아니었다. 축구 선수 중 40%가 이민자 또는 외국계로 조사됐다. 유소년 축구 선수 비율은 50%를 넘어 60%를 육박하고 있다. 독일월드컵에 출전할 현 대표팀에도 이 같은 현상은 고스란히 나타나고 있다. 베스트11 멤버 중 5명의 몸속에 이민자의 피가 흐르고 있다. (출처: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6/03/23/2006032370271.html)

2018년 러시아 월드컵에 뛴 스위스 선수들은 대부분 다문화/민족 배경을 갖고 있었다. 일단 감독이 보스니아 출신의 블라디미르 페트코비치였다. 그리고 피트코비치의 핵심 선수는 형과 다른 나라 유니폼을 입고 뛰었던 그라니트 자카(아스날 미드필더)다. 주장인 슈테판 리히트슈타이너는 다인종/다문화 배경은 아니지만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다국어 능통 선수였다.

 

스위스는 2017년까지 인구가 820만 명이었다. 이중 독일계가 65%, 프랑스계가 18%, 이탈리아계가 10%를 차지한다. 언어는 독일어, 프랑스, 이탈리아어가 공용어이다.

 

스위스하면 생각나는 축구계 대표적인 인물은 제프 블래터다. 1998년부터 2016년까지 FIFA 회장직을 역임한 그는 스위스 로잔대학교 출신이다. 블라터는 재임 기간 동안 관료주의적이고 재정쪽에서의 부패로 인해 실패한 회장으로 여겨진다.

 

선수 중에는 스테판 샤퓌자가 역대 최고의 선수로 손꼽힌다. 샤퓌자는 분데스리가 도르트문트에서 106골을 넣은 역대 최고의 외국인 선수였다. 그는 차범근의 외국인 선수 최다 득점 기록을 넘어선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본 기사는 유료기사로 기사의 일부만 제공됩니다.
- 결제 즉시 유료 기사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디지털 콘텐츠 특성상 환불되지 않습니다. (단, 미사용시 환불 요청 가능)
- 결제한 내역은 마이페이지 결제내역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환불 및 변경 문의와 관련해서는 메인페이지 하단 [이용약관 및 고객지원]을 통해
더 자세한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정기회원권은 회원가입 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 정기회원권은 마이페이지 또는 사이트 우측 상단 이용권결제를 이용해주세요.
박병기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축구와 인生死(68)] 오만, 이제 막 국대축구 인프라 만들기 시작 [Soccer]
[축구와 인生死(67)] 팔레스타인, 전쟁의 아픔을 축구로 씻는다 [Soccer]
[축구와 인生死(66)] 젊고 유능한 팀 파마나, 축구계의 돌풍 예고 [Soccer]
[축구와 인生死(64)] 홈에서 월드컵 개최하면 반드시 우승할 나라, 에콰도르 [Soccer]
[축구와 인生死(63)] 귀네슈, 튀르키예와 한국 축구에 공헌한 인물 [Soccer]
[축구와 인生死(62)] 재능있는 선수 발굴로 상승세 오스트리아 [Soccer]
[축구와 인生死(60)] 유럽 최빈국, 축구도 최하위권인 몰도바 [Soccer]
[축구와 인生死(59)] 축구에 관심 없는 나라 리투아니아 [Soccer]
[축구와 인生死(58)] 소련의 암흑기에서 여전히 못 벗어난 라트비아 [Soccer]
[축구와 인生死(57)] 태국과 비슷한 수준의 에스토니아 [Soccer]
[축구와 인生死(56)] 마라도나가 손을 댔지만 여전히 답보 상태의 벨라루스 [Soccer]
[축구와 인生死(55)] 이전 같지 않은 축구 인기, 말레이시아, 김판곤이 가능성은 보여줘 [Soccer]
[축구와 인生死(54)] 놀라운 축구 사랑 성적으로 이어지지 않는 태국 [Soccer]
[축구와 인生死(53)] 신태용이 세우는 인도네시아의 축구
[축구와 인生死(52)] 축구가 크리켓을 넘어설 수 없는 나라 인도 [Soccer]
[축구와 인生死(51)] 중국은 왜 축구를 못하는 것일까? [Soccer]
[축구와 인生死(50)] '쌀딩크'의 나라 베트남 축구의 성장 [Soccer]
[축구와 인生死(49)] 로제 밀러의 나라 카메룬 [Soccer]
[축구와 인生死(48)] 축구광 카뮈의 나라, 알제리 [Soccer]
[축구와 인生死(47)] 전쟁을 잠시 멈추게 한 스타 드록바의 코트디부아르 [Soccer]
[축구와 인生死(46)] 축구가 일종의 종교같은 가나 [Soccer]
[축구와 인生死(45)] 폐쇄적인 나라, 리그는 가장 개방적, 사우디아라비아 [Soccer]
[축구와 인生死(44)] 70년대 황금기, 80-90년대 암흑기의 폴란드, 그 이유는? [Soccer]
[축구와 인生死(43)] 마약 카르텔로 1986년 월드컵 포기한 콜롬비아 [Soccer]
[축구와 인生死(42)] 에우제비우, 피구, 호날두의 나라 포르투갈 [Soccer]
[축구와 인生死(41)] Again 1966의 주인공 북한 축구, 아시아 최초 월드컵 8강 [Soccer]
[축구와 인生死(40)] 2026년부터 4년마다 월드컵 진출 보장된 뉴질랜드 [Soccer]
[축구와 인生死(39)] 축구가 인기 스포츠가 아닌 나라, 호주 [Soccer]
[축구와 인生死(38)] 관전보다 직접 플레이하는 걸 좋아하는 덴마크 사람들 [Soccer]
[축구와 인生死(36)] 축구할 때 밥하는 안 되는 축구사랑 나이지이라 [Soccer]
[축구와 인生死(35)] 프랑스에 영향을 받은 아프리카 축구의 강자, 세네갈 [Soccer]
[축구와 인生死(34)] 월드컵이 처음으로 개최된 나라, 우루과이 [Soccer]
[축구와 인生死(33)] 이집트, 아프리카의 뜨는 별 [Soccer]
[축구와 인生死(32)] 아프리카의 강호 튀니지, 프랑스를 꺾을 정도 [Soccer]
[축구와 인生死(31)] 벨기에가 축구를 잘하는 이유 3가지 [Soccer]
[축구와 인生死(30)] 야구 무관심, 오직 축구에만 관심 있는 나라 코스타리카 [Soccer]
[축구와 인生死(29)] 옛 유고연방 나라들: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마케도니아, 보스니아, 세르비아-몬테네그로 [Soccer]
[축구와 인生死(27)] 유소년 축구, 지도자 육성에 투자해 급성장한 아이슬란드 [Soccer]
[축구와 인生死(26)] 바르셀로나, 레알 마드리드 경기 안 보면 축구팬 아닐 정도, 스페인 축구 [Soccer]
[축구와 인生死(25)] 호모 루덴스가 보이는 일본 축구, 점점 강해지는 중 [Soccer]
[축구와 인生死(24)] 비쇼베츠의 나라 러시아, 당분간 월드컵 불출전 [Soccer]
[축구와 인生死(23)] 16강은 꼭 가지만 8강은 힘든 축구의 나라 멕시코 [Soccer]
[축구와 인生死(22)] 즐라탄 이후 암흑기 맞고 있는 스웨덴 [Soccer]
[축구와 인生死(21)] 손흥민을 키운 독일의 유스 아카데미, 실효성 이제 없나? [Soccer]
[축구와 인生死(20)] 반도의 정서 비슷한가? 이탈리아의 축구 [Soccer]
[축구와 인生死(19)] 우리에겐 히딩크의 나라: 네덜란드 [Soccer]
[축구와 인生死(18)] 리더가 멍들어 축구 전체가 멍들게 된 불가리아 [Soccer]
[축구와 인生死(17)] 하지가 세계적인 루마니아로, 하지가 축구 후진국으로 [Soccer]
[축구와 인生死(16)] 잦은 깜짝 승리의 주인공 슬로바키아 [Soccer]
[축구와 인生死(15)] 사회전반의 부정부패에 영향을 받은 체코의 축구 [Soccer]
[축구와 인生死(14)] 1950년대 골든팀이 지금은 FIFA 20-30위권 [Soccer]
[축구와 인生死(13)] 아시안컵 결승 진출, 역대 최고 성적낸 요르단 [Soccer]
[축구와 인生死(12)] 이란의 문화와 역사가 보이는 축구 [Soccer]
[축구와 인生死(11)] 축생축사의 아르헨티나, 마라도나&메시의 나라 [Soccer]
[축구와 인生死(10)] 초문화적 공화국 프랑스 [Soccer]
[축구와 인生死(9)] 독일 무너뜨린 일본의 즐기는 축구 [Soccer]
[축구와 인生死(8)] 사우디 에베르 르나르 누구? [Soccer]
[축구와 인生死(7)] 우루과이를 이끌 스타 누녜즈 [Soccer]
[축구와 인生死(6)] 호화군단 포르투갈 [Soccer]
[축구와 인生死(5)] 영국연합국 축구, 정치 & 문화 [Soccer]
[축구와 인生死(4)] 호모 루덴스를 위한 월드컵? [Soccer]
[축구와 인生死(3)] 월드컵 관심 낮음=잘된 일 [Soccer]
[축구와 인生死(2)] 한국인은 호모 루덴스?(2) [Soccer]
[축구와 인生死(1)] 한국인은 호모 루덴스?(1) [Soccer]

가장 많이 본 뉴스

뉴스 인물 교육 시리즈 짘놀

포토뉴스 더보기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