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맨위로

[축구와 인生死(51)] 중국은 왜 축구를 못하는 것일까? [Soccer]

#중국축구 #슈퍼리그 #축구부진 #중국대표팀 #축구인프라 #중국유소년축구 #축구성장 #중국축구리그 #중국축구문제 #황사머니

등록일 2024년07월11일 01시10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DOHA, QATAR - JANUARY 13: Zhu Chenjie of China celebrates with team mates after scoring their sides goal which was later disallowed during the AFC Asian Cup Group A match between China and Tajikistan at Abdullah Bin Khalifa Stadium on January 13, 2024 in Doha, Qatar. (Photo by Lintao Zhang/Getty Images)

 

 

중국은 왜 그렇게 축구를 못할까? 축구 팬들 대부분은 이런 질문을 던진다. 중국은 축구를 잘할 수 있는 인적자원과 시설이 준비되어 있는 나라지만 여전히 아시아에서도 상위권에 들어가지 못한다. 월드컵에 딱 한 번 출전했는데 그것도 한일 월드컵 주최국인 한국과 일본이 자동 출전권을 받게 됨으로써 일종의 ‘선물’을 받은 것이나 다름 없었다.

 

중국은 축구에 신경을 쓰지 못한 나라였다. 20세기 중반까지 정치적인 소용돌이 속에서 스포츠는 사치였기에 스포츠를 잘하는 나라가 될 수 없었다. 또한, 반엘리트주의가 판을 쳤기에 엘리트 스포츠는 더더욱 지지를 받지 못했다.

 

중국에서는 핑퐁외교 후부터 스포츠가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핑퐁외교 후 UN에 가입하는 등 스포츠는 중국이 세계무대로 나서는 중요한 도구가 됐다.

 

축구는 헨리 폭이라는 사업가의 노력으로 FIFA에 가입하면서 조금씩 관심의 중심으로 들어가기 시작했다.

 

중국 축구가 본격적으로 변하기 시작한 계기는 1993년 축구 프로화 계획이 나온 후부터다. 10년 계획에 따라 중국은 1994년 4월17일 프로축구 리그를 창설했다. 프로축구 리그는 꽤 성공적이었다. 평균 관중 동원수가 2만명이나 됐다.

 

중국 축구리그는 그러나 숫자에 비해 큰 성장을 하지는 못했다. ‘승부조작, 뇌물, 도박’ 등에 깊이 연루되어 있기 때문이다. 중국축구협회는 비리에 연루되어 있다. 심판도 비리와 연관되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 축구를 기초부터 발전시키고자 중국이 시도한 것은 ‘중국 축구의 중장기 발전계획’이다. 2016년에 발표된 이 계획안에는 축구지도 교사 수천 명 양성, 축구장 7만개 늘리기, 축구 특성화 학교 2만개 지정 등이 있다. 기초부터 제대로 하겠다는 시도다.

 

축구 영재가 탄생할 수 있는 인프라가 점점 강화되기 시작했다. 홍명보 전 항저우 감독은 “10년 후 중국 축구는 무섭게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한 바 있다. 북미에서 열리는 월드컵에서 중국은 어쩌면 세계 축구 무대에 무시못할 팀으로 대두될 가능성이 있다.

 

중국은 2050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축구 국가대표팀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중국의 경제 발전을 볼 때 아주 불가능한 이야기는 아니다. 중국은 2006년 독일 월드컵에서 이탈리아 대표팀을 24년 만에 우승 시키고 UEFA 챔피언스 리그와 월드컵을 모두 획득한 최초의 감독이 된 마르첼로 리피 감독을 영입해 선진 축구를 닮으려는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슈퍼리그로 불리는 중국 프로축구 리그는 2016년에 평균 관중동원 2만4천명을 기록했는데 이는 일본 프로야구, 인도 크레킷 프리미어 리그, 인도 축구 슈퍼리그에 이어 4위에 해당한다. 전 세계 축구 리그 중에서는 5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슈퍼리그의 인기팀인 광저우 헝다는 평균 관중 동원 4만 명을 기록했다.

 

슈퍼리그의 평균 연봉은 78만 달러로 꽤 높은 편이다. 전 세계 축구 리그 중 평균 연봉 순위 6위에 해당한다. 리그 TV 중계 상황을 보면 중국은 연간 중계권료가 2740억원으로 일본(2168억원)과 한국(65억권)보다 더 높다. 한국에 비하면 40배 이상이다.

 

중동의 ‘오일 달러’처럼 ‘황사머니’로 엄청난 양적 성장을 이룬 중국 슈퍼리그는 테베스, 오스카, 비첼, 헐크, 하미레스, 펠레 등의 A급 외국인 선수들을 영입해 중국 팬들의 눈을 즐겁게해줬다.

 

중국은 한국 축구에 대한 두려움이 있으면서 동시에 존중함이 있다. 한국 감독을 계속 영입했었는데 이장수, 장외룡, 박태하, 홍명보, 최용수, 이임생 등이 그들이다. 이장수 감독은 1998년부터 2017년까지 중국의 6개팀에서 활동했다. 장외룡 감독은 2011년 시작해 2017년까지 중국 프로리그 팀에서 사령탑에 올랐다. 

 

2009년 안정환이 다롄 스더에 입단하면서 국가대표급 선수로는 처음으로 중국에 진출했고, 이후 한국 선수들의 슈퍼 리그 진출이 늘어났다. 특히 아시아 쿼터제 덕분에 중국 구단들이 수비수로서 피지컬이 좋은 한국 선수들을 선호하게 되었다. 2019년에는 박지수, 김민재, 권경원 등 중앙수비수들이 활약했으나 슈퍼 리그의 재정난과 외국인 선수 제한 정책으로 인해 한국 선수들의 수가 줄어들었다. 현재 2024 시즌을 앞두고는 박지수만이 슈퍼 리그에서 활동 중이다.

 

중국 슈퍼 리그는 2022년 시즌부터 참가 구단 수를 기존 16개에서 18개로 늘리며 리그 확장을 도모했다. 이에 따라 팀당 경기 수도 30경기에서 34경기로 증가했다. 이러한 변화는 리그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중요한 단계로 평가받고 있다. 2019년 기준으로 축구 전문가들은 슈퍼 리그를 동아시아 리그 중 가장 성장 가능성이 높은 리그로 보았다. 막대한 자금력과 수준 높은 외국인 선수들, 그리고 많은 관중 수 덕분에 슈퍼 리그는 아시아 리그에서 압도적인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었다. 특히 광저우 헝다 같은 구단들은 막대한 자본을 바탕으로 리그의 변화를 주도했다.

 

이들은 고액 연봉으로 세계적인 선수들을 영입하고, 아시아 챔피언스리그에서도 두각을 나타내며 리그의 위상을 높였다. 그러나 이런 성장에도 불구하고 슈퍼 리그는 몇 가지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

 

슈퍼 리그의 주요 문제 중 하나는 유소년 시스템과 자국 선수들의 수준이다. K리그와 J리그에 비해 여전히 뒤처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이를 개선하지 않으면 장기적인 성공을 담보할 수 없다. 또한, 최근 몇 년간 코로나19 팬데믹과 경제적 어려움이 겹치면서 많은 팀들이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다. 슈퍼 리그 구단들의 과도한 외국인 선수 의존과 구단주의 지나친 개입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구단주의 무리한 개입으로 인한 비합리적인 운영 방식은 구단의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리그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과제로 남아 있다.

 

중국 슈퍼 리그의 확장과 성장 가능성은 여전히 높다. 중국은 축구와 농구를 제외하면 제대로 된 프로스포츠 리그가 거의 없기 때문에, 축구 리그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뜨겁다. 리그의 인기를 뒷받침하는 높은 관중 수와 충성도 높은 팬들, 그리고 꾸준히 증가하는 중계권료 수익은 슈퍼 리그의 밝은 미래를 기대하게 만든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슈퍼 리그는 재정 문제로 인해 몇몇 구단들이 해체되거나 리그에서 퇴출당하는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리그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재정 관리와 더불어 유소년 시스템 강화, 자국 선수 육성, 그리고 구단주의 합리적인 운영이 필수적이다. 중국 슈퍼 리그는 과거의 성공에 안주하지 않고,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전략적 계획을 세워야 할 시점에 있다.

 

중국의 국가대표 축구가 약한 이유는 슈퍼 리그가 더 성장하지 못하는 이유와 비슷하다.

 

중국은 14억이라는 막대한 인구와 세계 2위의 GDP를 보유하고 있어 축구 선수 배출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들에도 불구하고 중국 축구는 국제 무대에서 여전히 부진한 성과를 내고 있다. 이는 유소년 인구의 부족, 체계적인 유소년 육성 시스템의 부재, 선수들의 부실한 자기관리, 외국인 선수에 대한 지나친 의존 등의 이유 때문이다. 또한 축구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축구를 즐기는 인구가 적고, 부정부패 문제도 심각하다. 이러한 문제들은 중국 축구가 현재진행형으로 부진을 면치 못하는 주된 이유로 꼽히고 있다.

본 기사는 유료기사로 기사의 일부만 제공됩니다.
- 결제 즉시 유료 기사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디지털 콘텐츠 특성상 환불되지 않습니다. (단, 미사용시 환불 요청 가능)
- 결제한 내역은 마이페이지 결제내역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환불 및 변경 문의와 관련해서는 메인페이지 하단 [이용약관 및 고객지원]을 통해
더 자세한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정기회원권은 회원가입 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 정기회원권은 마이페이지 또는 사이트 우측 상단 이용권결제를 이용해주세요.
박병기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축구와 인生死(68)] 오만, 이제 막 국대축구 인프라 만들기 시작 [Soccer]
[축구와 인生死(67)] 팔레스타인, 전쟁의 아픔을 축구로 씻는다 [Soccer]
[축구와 인生死(66)] 젊고 유능한 팀 파마나, 축구계의 돌풍 예고 [Soccer]
[축구와 인生死(64)] 홈에서 월드컵 개최하면 반드시 우승할 나라, 에콰도르 [Soccer]
[축구와 인生死(63)] 귀네슈, 튀르키예와 한국 축구에 공헌한 인물 [Soccer]
[축구와 인生死(62)] 재능있는 선수 발굴로 상승세 오스트리아 [Soccer]
[축구와 인生死(60)] 유럽 최빈국, 축구도 최하위권인 몰도바 [Soccer]
[축구와 인生死(59)] 축구에 관심 없는 나라 리투아니아 [Soccer]
[축구와 인生死(58)] 소련의 암흑기에서 여전히 못 벗어난 라트비아 [Soccer]
[축구와 인生死(57)] 태국과 비슷한 수준의 에스토니아 [Soccer]
[축구와 인生死(56)] 마라도나가 손을 댔지만 여전히 답보 상태의 벨라루스 [Soccer]
[축구와 인生死(55)] 이전 같지 않은 축구 인기, 말레이시아, 김판곤이 가능성은 보여줘 [Soccer]
[축구와 인生死(54)] 놀라운 축구 사랑 성적으로 이어지지 않는 태국 [Soccer]
[축구와 인生死(53)] 신태용이 세우는 인도네시아의 축구
[축구와 인生死(52)] 축구가 크리켓을 넘어설 수 없는 나라 인도 [Soccer]
[축구와 인生死(50)] '쌀딩크'의 나라 베트남 축구의 성장 [Soccer]
[축구와 인生死(49)] 로제 밀러의 나라 카메룬 [Soccer]
[축구와 인生死(48)] 축구광 카뮈의 나라, 알제리 [Soccer]
[축구와 인生死(47)] 전쟁을 잠시 멈추게 한 스타 드록바의 코트디부아르 [Soccer]
[축구와 인生死(46)] 축구가 일종의 종교같은 가나 [Soccer]
[축구와 인生死(45)] 폐쇄적인 나라, 리그는 가장 개방적, 사우디아라비아 [Soccer]
[축구와 인生死(44)] 70년대 황금기, 80-90년대 암흑기의 폴란드, 그 이유는? [Soccer]
[축구와 인生死(43)] 마약 카르텔로 1986년 월드컵 포기한 콜롬비아 [Soccer]
[축구와 인生死(42)] 에우제비우, 피구, 호날두의 나라 포르투갈 [Soccer]
[축구와 인生死(41)] Again 1966의 주인공 북한 축구, 아시아 최초 월드컵 8강 [Soccer]
[축구와 인生死(40)] 2026년부터 4년마다 월드컵 진출 보장된 뉴질랜드 [Soccer]
[축구와 인生死(39)] 축구가 인기 스포츠가 아닌 나라, 호주 [Soccer]
[축구와 인生死(38)] 관전보다 직접 플레이하는 걸 좋아하는 덴마크 사람들 [Soccer]
[축구와 인生死(37)] 축구에 미친 나라 페루 [Soccer]
[축구와 인生死(36)] 축구할 때 밥하는 안 되는 축구사랑 나이지이라 [Soccer]
[축구와 인生死(35)] 프랑스에 영향을 받은 아프리카 축구의 강자, 세네갈 [Soccer]
[축구와 인生死(34)] 월드컵이 처음으로 개최된 나라, 우루과이 [Soccer]
[축구와 인生死(33)] 이집트, 아프리카의 뜨는 별 [Soccer]
[축구와 인生死(32)] 아프리카의 강호 튀니지, 프랑스를 꺾을 정도 [Soccer]
[축구와 인生死(31)] 벨기에가 축구를 잘하는 이유 3가지 [Soccer]
[축구와 인生死(30)] 야구 무관심, 오직 축구에만 관심 있는 나라 코스타리카 [Soccer]
[축구와 인生死(29)] 옛 유고연방 나라들: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마케도니아, 보스니아, 세르비아-몬테네그로 [Soccer]
[축구와 인生死(28)] 진정한 다문화 축구의 나라 스위스 [Soccer]
[축구와 인生死(27)] 유소년 축구, 지도자 육성에 투자해 급성장한 아이슬란드 [Soccer]
[축구와 인生死(26)] 바르셀로나, 레알 마드리드 경기 안 보면 축구팬 아닐 정도, 스페인 축구 [Soccer]
[축구와 인生死(25)] 호모 루덴스가 보이는 일본 축구, 점점 강해지는 중 [Soccer]
[축구와 인生死(24)] 비쇼베츠의 나라 러시아, 당분간 월드컵 불출전 [Soccer]
[축구와 인生死(23)] 16강은 꼭 가지만 8강은 힘든 축구의 나라 멕시코 [Soccer]
[축구와 인生死(22)] 즐라탄 이후 암흑기 맞고 있는 스웨덴 [Soccer]
[축구와 인生死(21)] 손흥민을 키운 독일의 유스 아카데미, 실효성 이제 없나? [Soccer]
[축구와 인生死(20)] 반도의 정서 비슷한가? 이탈리아의 축구 [Soccer]
[축구와 인生死(19)] 우리에겐 히딩크의 나라: 네덜란드 [Soccer]
[축구와 인生死(18)] 리더가 멍들어 축구 전체가 멍들게 된 불가리아 [Soccer]
[축구와 인生死(17)] 하지가 세계적인 루마니아로, 하지가 축구 후진국으로 [Soccer]
[축구와 인生死(16)] 잦은 깜짝 승리의 주인공 슬로바키아 [Soccer]
[축구와 인生死(15)] 사회전반의 부정부패에 영향을 받은 체코의 축구 [Soccer]
[축구와 인生死(14)] 1950년대 골든팀이 지금은 FIFA 20-30위권 [Soccer]
[축구와 인生死(13)] 아시안컵 결승 진출, 역대 최고 성적낸 요르단 [Soccer]
[축구와 인生死(12)] 이란의 문화와 역사가 보이는 축구 [Soccer]
[축구와 인生死(11)] 축생축사의 아르헨티나, 마라도나&메시의 나라 [Soccer]
[축구와 인生死(10)] 초문화적 공화국 프랑스 [Soccer]
[축구와 인生死(9)] 독일 무너뜨린 일본의 즐기는 축구 [Soccer]
[축구와 인生死(8)] 사우디 에베르 르나르 누구? [Soccer]
[축구와 인生死(7)] 우루과이를 이끌 스타 누녜즈 [Soccer]
[축구와 인生死(6)] 호화군단 포르투갈 [Soccer]
[축구와 인生死(5)] 영국연합국 축구, 정치 & 문화 [Soccer]
[축구와 인生死(4)] 호모 루덴스를 위한 월드컵? [Soccer]
[축구와 인生死(3)] 월드컵 관심 낮음=잘된 일 [Soccer]
[축구와 인生死(2)] 한국인은 호모 루덴스?(2) [Soccer]
[축구와 인生死(1)] 한국인은 호모 루덴스?(1) [Soccer]

가장 많이 본 뉴스

뉴스 인물 교육 시리즈 짘놀

포토뉴스 더보기

현재접속자 (명)